글과 그림

20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새샘 2025. 7. 26. 18:17

코로나19 바이러스 SARS-CoV-2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출처-출처자료2)

 

코로나19 바이러스 SARS-CoV-2의 3-D 사진(출처-출처자료2)

 

2019년 2월 중국 후베이성(호북성湖北省) 우한(무한武汉/武漢)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이 퍼졌다.

중국 정부는 초기에 언론 발표를 통제하며 감염을 관리하려 노력했지만 질병의 무서운 확산 속도를 감당하지 못했다.

결국 2020년 1월 중국 정부는 1,100만 명이라는 엄청난 수의 사람이 사는 우한시를 물리적으로 봉쇄했다.

이미 몇백 만 명이 도시를 빠져나간 뒤였다.

우리나라의 설날처럼 중국에도 춘절春節이 있어 사람들이 그날을 기해 가족과 친지를 찾아 세계 도처로 대이동한 것이다.

 

중국인 노동자가 많이 거주하는 이탈리아 Italia(영어 Italy) 북부지방을 시작으로 전 유럽에서 무서운 기세로 코로나바이러스 coronavirus 환자가 발생했다.

오늘날의 편리한 교통수단이 질병 확산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불과 몇 주 만에 유럽과 중동 지역을 거쳐 대서양을 건너 미국에서 100만 명이 넘는 감염 환자가 발생했다.

2020년 3월, 중국 우한시가 봉쇄된 지 두 달도 지나지 않아 WHO는 신종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고 인정하고 팬데믹 pandemic(대유행병, 범세계적유행병)을 선언했다.

그동안 사용하던 '우한 폐렴'이라는 이름 대신 '2019년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ronavirus Disease-19'을 줄여 '코비드 19 COVID-19'라고 공식적으로 정했다.

단 이 글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코로나-19'라는 이름을 쓰고자 한다.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자들은 코로나-19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바이러스이며, 역학조사를 통한 우한 시내에서 야생동물이 활발히 거래되던 도매시장을 최초 진원지로 의심했다.

인간에게 옮기는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대표적인 포유류로 박쥐와 설치류(쥐 종류)가 있는데, 박쥐는 약 130종, 설치류는 약 100종이 인간과 동물을 공통으로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를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런 동물들을 '자연숙주自然宿主 natural host'라고 부른다.

문제는 자연숙주의 바이러스가 다른 동물(중간숙주)을 거쳐 인간에게 옮겨지는 경우다.

인간에게 넘어온 바이러스는 새로운 숙주에 적응하기 위해 변이를 일으킨다.

바이러스 입장에서야 새로운 숙주가 자신에게 공격당해 일찍 죽으면 자신도 같이 죽게 되니 일반적으로 덜 치명적인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가끔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변신할 수도 있다.

그런 이유로 이번 코로나-19도 전파 초기에는 상당히 치명적인 양상을 보였다.

 

질병을 극복하는 가장 근본적이면도 원시적인 방법은 질병에 걸려 이겨내는 것이다.

질병에 걸리면 자연적으로 면역이 생기고, 면역이 생긴 사람이 전체 인구의 70퍼센트 정도가 되면 질병의 유행이 사라진다.

이런 상황을 '무리면역(집단면역) herd immunity'이라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를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무책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가 인간의 몸에 적응하면서 전염성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변이하기 때문에, 변이 바이러스를 계속 추적해 검출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높은 감염률이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무리면역을 선언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 안에 숨어 증식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증은 세균 감염증에 비해 치료제를 만들기가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그래서 바이러스 감염증은 치료제보다 예방 백신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백신은 만들기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나의 백신을 사용하기까지 엄격한 임상시험 단계를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개발한 코로나 백신의 긴급 사용을 허용해 최대한 빨리 접종하기 시작했다.

그런 결정을 통해 우리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백신을 만났다.

 

※출처
1. 김은중, '이토록 재밌는 의학 이야기'(반니, 2022)
2. 새샘 tstory 2020. 2.18 글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체와 종류'(https://micropsjj.tistory.com/17039728)

3. 구글 관련 자료

2025. 7. 26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