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랑스
- 중국 베이징
- 미국 요세미티
- 미얀마
- 미국 옐로우스톤
- 영국
- 체코
- 러시아
- 오스트리아
- 알래스카 내륙
- ㅓ
- ㅣ
- 일본 규슈
- 울릉도
- 미국 플로리다
- 덴마크
- 스웨덴
- 알래스카 크루즈
- 영국 스코틀랜트
- 싱가포르
- 독일
- 미국 하와이
- 폴란드
- 하와이
- 미국 알래스카
- 영국 스코틀랜드
- 노르웨이
- 알래스카
- 남인도
- 헝가리
- Today
- Total
새샘(淸泉)
2015. 9/12 813차 서울 둘레길 7코스 앵봉산코스와 서오릉 본문
트레킹로: 구파발역 3번출구-방아다리생태공원-앵봉산(235m)-서오릉로-서오릉-착한낙지일산서오릉점(8km, 3시간20분)
산케들: 素山, 慧雲, 百山, 丈夫, 恩平, 東峯, 道然, 元亨, 야자박사, 주병, 새샘(11명)
서울둘레길 7코스 봉산-앵봉산 구간 중 앵봉산(235m)을 거쳐 조선왕릉인 서오릉을 둘러보는 걷기 좋은 트레킹을 나선다.
가을 날씨 답게 아침 최저 기온 16도, 낮 최고 기온 24도에 흐린 후 맑음으로 트레킹하기에 최적 조건이 아닐 수 없다.
0930 구파발역 3번 출구를 출발하여 통일로를 건너서 열병합발전소 앞을 지난다.
서울둘레길 7코스 앵봉산 구간 들머리다.
이곳이 방아다리 생태공원의 방아다리 꽃길로서 갖가지 꽃을 활짝 피운 식물이 우리 산케들을 맞아준다.
장어국이나 추어탕에 넣는 향신료인 흔히 방아잎이라고 불리는 배초향 꽃
가막사리
앵봉산으로 가는 도중의 방아다리 꽃길과 산길
쉼터에서 일렬로 늘어선 북한산 의상능선과 비봉능선을 바라보면서 휴식
오른쪽 능선 끄트머리에 솟아 오른 바위가 사모바위이고, 사모바위 왼쪽으로 솟아 오른 봉우리가 의상능선의 끝인 문수봉.
전망대 오름길
전망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인천 계양산-가운데 맨 뒤로 흐릿하게 보이는 가장 높은 봉우리가 인천 계양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일산지구
오늘 트레킹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인 앵봉산 정상(235m)에서 각자 싸온 간식을 풀어 놓고 즐겁게 먹은 다음 출발 전 인증샷!
서오릉을 향해 내려가면서 잠깐 담소 휴식
서오릉로 직전의 작은 농원과 외로운 곰돌이 지킴이
서오릉로의 서오릉 진입로
서오릉 둘러보기: 매표소-단풍길-경릉-대빈묘(장희빈묘)-홍릉-창릉-소나무길-단풍길-명릉
서오릉西五陵은 경기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에 위치하고 있는 5기의 능陵(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2기의 원園(순창원, 수경원), 1기의 묘墓(대빈묘) 등 모두 8기의 왕실능이 있는 조선왕릉이다.
지리적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구리 동구릉東九陵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서오릉 관리사무소 및 역사문화관
서오릉매표소
경릉敬陵 - 조선 7대 임금 세조의 맏아들로서 덕종德宗으로 추존된 의경세자(10438~1457)와 왕비 소혜왕후 한씨의 능.
덕종은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20세에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아우인 예종이 다음 왕위에 올랐다.
예종의 뒤를 이어 덕종의 아들 성종이 임금에 즉위하자 아버지를 추존하고 어머니 소혜왕후는 인수대비로 존호를 올렸다.
능침 배치는 정자각에서 볼 때 왕이 왼쪽(西), 왕비는 오른쪽(東)에 모시는 것이 원칙이나 경릉에서는 반대다.
경릉 홍살문과 정자각 - 정자각 뒤 좌우로 볼록하게 솟아올라 있는 것이 능침이다.
보통 왕과는 반대로 왼쪽 능침이 소혜왕후릉이고, 오른쪽 능침이 덕종릉.
대빈묘大嬪墓 - 조선 19대 왕 숙종(1661~1720; 재위 1674~1720)의 후궁을 거쳐 왕비가 되었다가 폐위된 희빈 장씨(장희빈; 1659~1701)의 묘.
희빈 장씨가 첫왕자인 경종을 낳자 희빈으로 올리고 인현왕후를 폐위한 다음 왕비로 책봉했다.
희빈 장씨는 인현왕후를 무고한 죄로 사약을 받아 세상으로 떠났다.
아들인 경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옥산부대빈으로 추존되고 묘의 이름을 대빈묘라 하였다.
대빈묘는 원래 경기 광주에 있었으나 1969년에 이곳으로 이장하였다.
장희빈묘 앞에서의 산케 기념촬영
대빈묘에서 홍릉 가는길
작살나무와 열매
홍릉洪陵 - 조선 21대 임금 영조(1694~1776; 재위 1724~1776)의 원비 정성왕후 서씨(1692~1757)의 능.
정성왕후는 66세에 창덕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능침 왼쪽이 비어 있는 것은 영조가 생전에 정성왕후에 함께 묻히려 우허제(본인의 능 자리를 미리 만듬)를 쓰도록 했기 때문.
영조의 능은 구리 동구릉의 원릉이다.
창릉昌陵 - 조선 8대 임금 예종(1450~1469; 재위 1468~1469)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1498)의 능으로서 서오릉에서 가장 먼저 조성된 능.
왼쪽이 예종능이고 오른쪽이 안순왕후능.
소나무길
소나무길과 서어나무길이 서로 만나는 지점의 쉼터
매표소로 내려가는 소나무길가에 매달린 때죽나무 열매
소나무길가에서 발견한 망태버섯
소나무길을 내려가면서 왼쪽 소나무숲 너머로 보이는 익릉翼陵(조선 19대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 김씨 능) 정자각과 능침
소나무길가의 좀작살나무 열매
서오릉 재실
명릉明陵 - 조선 19대 숙종(1661~1720; 재위 1674~1720)과 계비 인현왕후 민씨(1667~1701), 둘째 계비 인원왕후 김씨(1687~1757)의 능.
정자각 바로 뒤에 있는 2개의 능침 중 왼쪽이 숙종 능, 오른쪽이 인현왕후 능이며(바로 아래 사진에는 정자각에 가려서 능침이 보이지 않음), 왼쪽 뒤로 보이는 능침이 인원왕후 능이다.
서오릉로를 따라 뒤풀이장소인 착한낙지집으로 가고 있다.
착한낙지집에서 뒤풀이와 낙지메뉴
2017. 4. 2 새샘
'산행트레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5/28 합천 해인사 소리길 (0) | 2017.06.09 |
---|---|
2015. 9/28 815차 서울둘레길 3코스 중 탄천-성내천 (1) | 2017.04.10 |
2015. 9/5 812차 가평 칼봉산 경반계곡 (0) | 2017.03.01 |
2017. 2/19 881차 겸 재경용마산악회 가평 호명호수길 시산제 (0) | 2017.02.21 |
2016. 8/28 858차 문경새재 황톳길 (0) | 2017.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