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동식물 사진과 이야기 (216)
새샘(淸泉)

봄 기운이 살짝 대지에 퍼져나갈 즈음 잎이 나오기 전에 눈부시게 새하얗고 커다란 꽃을 피운다.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 하여 북향화北向花라고도 하는 목련. 목련과 목련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목련木蓮은 나무에 핀 연꽃이란 뜻의 이름이다.학명은 마그놀리아 코부스 Magnolia kobus, 영어는 magnolia(매그놀리아), 중국어 한자는 목련·신이辛夷·목란木蘭 등으로 쓴다. 필자가 목련 종류의 나무를 처음 본 것은 나이 서른이 훨씬 넘어서였다.필자가 자란 산골에는 물론, 초등학교(당시에는 보통학교)가 있었던 면사무소 소재지 마을에도 없었고, 군청 소재지에도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다.중학교에 다니던 대구 시내에서도 목련 종류의 나무를 본 적이 없었다.대구농림학교에는 좁은 면적..

참외 모양의 열매가 나무에 달린다는 뜻의 목과木瓜에서 모과가 되었다.모과는 울퉁불퉁 못생겼지만 향기가 그윽하며 기침약으로도 쓰인다. 장미과 명자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로 10미터 높이까지 자란다.학명은 카에노멜레스 시넨시스 Chaenomeles sinensis, 영어는 Chinese flowering-quince(중국 꽃-마르멜로), 중국어 한자는 목과木瓜로 쓴다. "모과도 과일인가?"라는 말이 있다.모과는 과일 중에서 제일 나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모과는 생것으로 먹을 만한 것을 못 되는 것 같다."이웃집 누구는 인물이 모과 같아서 좋은 신랑 얻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말도 한다.모과는 울퉁불퉁 제멋대로 생겨서 질서가 없는 편이다.모과처럼 생기기를 바라는 사람을 없을 것이다. ..

멸종된 화석 나무로 알았으나 1940년대에 중국 양쯔강 Yangtze River(장강长江/長江) 상류에서 처음 살아 있는 나무를 찾아냈다.원뿔 같은 모양새가 아름다워 공원이나 가로수로 많이 심고 있다. 측백나무과 메타세쿼이아속에 속하는 갈잎 바늘잎 큰키나무로서 겉씨식물이며, 학명은 메타세쿼이아 글립토스트로보이데스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영어는 Metasequoia(메타세쿼이아) 또는 dawn redwood(조상 미국삼나무), 중국어 한자는 수삼水杉이다. 메타세쿼이아는 미국 원산인 낙우송落羽松과 매우 닮았으며, 잎이 어긋나는 낙우송과는 달리 이 나무는 위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잎이 마주나기 때문에 구별이 된다.가을이 되면 약간 단풍이 드는데, 작은 가지를 붙인 채로 떨어진다..

호문목好文木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을 만큼, 옛 선비와 화가들이 무척 아끼고 사랑했던 꽃나무다.수많은 시가詩歌와 그림이 전해지며, 몇백 년 묵은 나무도 곳곳에 있다.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매실나무의 학명은 프루누스 무메 Prunus mume, 영어는 Chinese plum(중국자두) 또는 Japanese apricot(일본살구), 중국어 한자는 매梅 또는 매화梅花로 쓴다. ○매화나무? 매실나무? 같은 나무를 두고 '매화나무'라고 하면 꽃을 생각하는 것 같고, 열매를 생각하면 '매실나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린다.매화나무는 아름다운 모습에 대한 이름이고, 매실나무는 식욕을 돋우는 이름으로 그 뜻이나 맛이 서로 다른 느낌이다. 과실나무 이름은 거의 과실 이름 뒤에 나무를 붙이고, 과..

유럽의 가로수로 널리 심는 마로니에는 열매가 가시가 나 있다고 하여 우리말로 가시칠엽수가 되었다.우리나라에서는 가시칠엽수보다 열매에 가시가 없는 일본 원산의 칠엽수七葉樹를 더 흔히 만날 수 있다. 학명은 에스큘루스 히포카스타눔 Aesculus hippocastanum, 영어는 marronnier(마로니에) 또는 common horse chestnut(말밤나무), 중국어 한자는 서양칠엽수西洋七葉樹다. ○감미로운 이름 '마로니에' 마로니에 marronnier는 칠엽수과 칠엽수속 즉 에스큘루스 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다.모두 북반구에서 자라면 손바닥처럼 갈라지는 큰 잎을 가지고 있어 쉽게 구별된다.대개 7개의 작은 잎으로 되어 있어 '칠엽수'란 이름이 붙었다. 이 글에서는 나무 이름을 칠엽수가 아닌..

20세기 초인 1907년 황폐한 우리 산을 복구하기 위해 도입하기 시작한 나무가 바로 미국 원산의 리기다소나무다.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늘푸른 바늘잎 큰키나무인 리기다소나무는 재질이 소나무보다 못하지만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주어 우리 숲의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 학명인 피누스 리기다 Pinus rigida의 종 이름을 그대로 따서 리기다소나무가 되었다.리기다 rigida란 종 이름은 '딱딱한 rigid'이란 뜻으로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살아가는 강한 생명력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우리나라 산과 들에서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소나무가 바로 리기다소나무이기도 하다. 영어는 pitch pine은 송진 소나무란 뜻으로 송진松津 pitch(또는 rosin)을 많이 뿜어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며, 송진..

떡갈나무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참나무과 참나무속 여섯 종—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가운데 잎이 가장 크고 두꺼우며 뒷면에 갈색의 짧은 털이 융단처럼 깔려 있고, 도토리 열매가 딜린다.잎에 떡을 싸서 쪄 먹는 쓰임새 때문에 '떡갈이나무'라 하다가 떡갈나무가 되었다.한반도 전역의 해발 800미터 이하의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생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 학명은 쿠에르쿠스 덴타타 Quercus dentata, 영어는 Korean oak(한국참나무), 중국어 한자는 곡槲, 작柞, 대엽력大葉櫟, 포목袍木 등으로 쓴다. ○갈잎나무 줄기와 가지에서 성큼성큼 생략이 많지만 잎과 열매에는 섬세하게 신경을 쓰고 있는 떡갈나무.산속에서 조용히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기품 있는 나..

흔히 등나무라 불리는 등은 쉼터의 그늘을 만들어주며 연보랏빛 꽃이 주렁주렁 매달리는 아름다운 콩과식물의 갈잎 넓은잎 덩굴나무다.경남과 전남 일부 지역세서 자생하며 전국 정원과 공원에 심고 있다.껍질을 벗겨 닥나무와 함께 종이를 만들었고, 줄기는 등공예에 이용되었다. 학명은 위스테리아 플로리분다 Wisteria floribunda, 영어는 Japanese wisteria(일본등) 또는 common wisteria(보통등), 중국어 한자는 등藤 또는 여라女蘿. '등나무 등藤'자는 '풀 초艸'자와 '물 솟을 등滕'(또는 '오를 등騰')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로서, 위로 감아 올라가는 식물이란 뜻이다.이는 등나무의 생태적인 성질을 말하는 형성문자다.'등滕' 또는 '등騰'자는 모두 무엇을 감고 올라간다는 뜻이 ..

겨울에도 피는 동백冬柏나무의 진한 붉은 꽃은 정열적인 사랑의 상징이고, 꽃이 질 때는 통째로 떨어지는 모습이 깔끔하다.남부의 따뜻한 곳에서만 자라는 차나무과의 늘푸른 넓은잎 작은키나무.알사탕 굵기의 씨앗에서 짠 동백기름은 머릿기름이다.학명은 카멜리아 자포니카 Camellia japonica, 영어는 Japanese camellia(일본동백) 또는 common camellia(보통동백), 중국어 한자는 산다목山茶木 또는 다매茶梅. ○떨어지는 동백꽃 - 춘수락椿首落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따뜻한 지역에 나는 동백나무는 그 꽃도 아름답지만, 윤이 나는 진초록의 잎이 빽빽이 난 것이 더욱 아름답다.잎 좋고 꽃 좋고 한 것이 동백나무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데, 내륙에서는 겨울나기에 문..

북유럽이 고향이며 노르웨이를 비롯한 원산지에서는 아름드리나무로 자라 큰 숲을 이룬다.질 좋은 목재를 생산하는 나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조경수로 심는다.학명은 피체아 아비스 Picea abies, 영어는 Norway spruce(노르웨이가문비), 중국어 한자는 구주당송歐州唐松 또는 흑피목黑皮木. 독일가문비나무는 일찍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곳곳에서 심고 있다.이 나무는 북유럽 여러 나라와 독일, 폴란드, 러시아 등 넓은 지역에 퍼져서 난다.유럽의 산림 문명이라고 하면 소나무와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독일 산림의 90퍼센트 이상이 소나무와 가문비나무 두 가지로 되어 있을 정도다. 독일가문비라는 이름은 좀 잘못된 것이다.이 나무의 본고장 유럽에서는 노르웨이가문비 Norway spr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