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남인도
- 영국 스코틀랜트
- 일본 규슈
- 체코
- 알래스카 크루즈
- ㅓ
- 덴마크
- 오스트리아
- 울릉도
- 영국
- 미국 요세미티
- 하와이
- 노르웨이
- 알래스카 내륙
- 미국 옐로우스톤
- 스웨덴
- 프랑스
- 알래스카
- 1ㄴ
- 싱가포르
- 폴란드
- 러시아
- 미국 하와이
- 헝가리
- 영국 스코틀랜드
- 독일
- 미얀마
- 미국 알래스카
- 중국 베이징
- 미국 플로리다
- Today
- Total
목록동식물 사진과 이야기 (225)
새샘(淸泉)

우리 땅에 자라는 나무 가운데 재질이 가장 단단하다.홍두깨에서 다듬잇돌 대용, 병사들의 육모방망이까지 두루 쓰였다.단군신화에도 등장하는 민족의 나무다.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박달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의 해발 1,000미터 이하 산지에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일본 등에 분포한다. 학명은 베툴라 슈미드티 Betula schmidtii, 영어는 Bakdal birch(박달 자작나무) 또는 Schmidt birch(슈미트 자작나무), 중국어 한자는 단목檀木, 박달목朴達木, 초유楚楡 등. 30미터까지 높게 자라는 큰키나무인 박달나무는 비교적 오래 사는 나무로서 대체로 추운 지방에서 자란다.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설악산과 묘향산 부근에 특히 많다..

열매 모양이 둥근 부채인 미선尾扇(가늘게 쪼갠 대의 한끝을 둥글게 펴고 실로 엮은 뒤, 종이로 앞뒤를 바른 둥그스름한 모양의 부채)과 닮았다고 해서 미선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의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인 미선나무는 해발 50~160m의 비교적 낮은 돌이나 자갈이 많이 깔려 있어 수분이 많이 들어오는 곳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며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다. 학명은 아벨리오필룸 디스티쿰 Abeliophyllum distichum, 영어는 Korean abeliophyllum(한국미선나무) 또는 white forsythia(흰개나리), 그리고 중국어 한자는 미선목尾扇木이나 단선목團扇木으로 쓴다. ○자생지 높이 1~1.5미터쯤 되는 낮은 떨기나무인 미선나무는 겨울에 잎이..

주로 남부 지방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참나무속의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물참나무는 참나무 종류 중 가장 크게 자란다.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Mongolian oak)의 변종으로 보고 있으며, 잎 가장자리 톱니가 신갈나무보다 더 날카롭다. 제주도에서 '물가리(나무)'라고 부른다.학명은 쿠에르쿠스 몽골리카 변종 크리스풀라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영어는 Mulcham oak(물참 참나무), wavy Mongolian oak(물결톱니 신갈나무), watery oak(물 참나무) 따위로 표기하며, 중국어 한자는 수유水楢 또는 작목柞木이다. '참나무'를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거짓이 없는 나무'인데, 나무는 본디 참말만 하므로 이 참나무란 '진실로 나무다운 나..

나뭇가지로 귀신을 쫓아냈다 하여 환자 걱정이 없는 무환자無患子나무가 되었다.열매껍질은 머리를 감을 때 비누 대신 쓸 수 있다.돌덩이처럼 단단하고 표면이 반질거리는 새까만 씨앗으로 염주를 만든다. 무환자나무과 무환자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 무환자나무는 추위에 약해 제주도와 남쪽 지방인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심어 키운다. 학명은 사핀두스 무코로시 Sapindus mukorosi, 영어는 Indian soapberry(인도무환자나무), 중국어 한자는 무환수無患樹로 쓴다.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 볼 수 있는 무환자나무는 잎이 가죽나무처럼 긴 대(가늘고 긴 막대)에 작은잎이 양쪽으로 달리며 톱니가 없다.6월에 꽃이 피어서 가을에 열매가 익는데 열매가 단단하다.둥근 돌열매(석과石果)를 이루고, 열매 밑쪽..

꽃턱과 꽃대가 주머니처럼 비대해지면서 작은 꽃들이 그 안에 들어가 꽃이 보이지 않아서 무화과無花果란 이름이 붙었다.지중해 연안이 고향이며 성경에도 여러 번 등장한다.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인 뽕나무는 외국에서 들여온 나무다.겨울이 잎이 떨어지는데, 추위에 비교적 약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남, 경남 등의 바닷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그리스 Greece·이란 Iran 등지에서는 오래전부터 무화과나무를 심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으로 들여온 것은 13세기 무렵으로 추정된다.따라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그보다 훨씬 뒤이며, 나무 크기로 보아 근래에 심은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본 가장 큰 무화과나무는 울릉도에 있는 것이었다.가슴높이 줄기지름이 30센티미터가 훨씬 넘었다.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매일 새 꽃이 핀다.애국가 가사에 '무궁화 삼천리'가 들어가면서 나라꽃(국화國花)으로 자리매김했다.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인 나라꽃 무궁화는 전국에서 널리 심고 있다. 무궁화無窮花는 '꽃이 끝없이 핀다'는 뜻이 들어 있다. 학명은 히비스쿠스 시리아쿠스 Hibiscus syriacus, 영어는 Mugunghwa 또는 Rose of sharon(샤론의 장미), 중국어 한자는 근謹이나 목근木槿으로 쓴다. ○우리나라 꽃 무궁화 우리나라 꽃 무궁화.애국가에 등장하고 있는 꽃나무.우리 국민은 무궁화를 무척 좋아하며, 어떤 면에서는 존중하기까지 한다.이는 우리 민족이 얼마나 나라 사랑을 강조하는지 잘 보여준다. 고대 중국 지리책 ≪산해경山海經≫에는 "군자의 나라, 의관을..

늦가을 하얗거나 황금빛의 자그마한 꽃이 모여 피며 향기가 강하다.남부 지방에 자라는 늘푸른잎을 가진 자그마한 나무다.한자 표기를 '계桂'라고 하므로 계수나무와 혼동하기도 한다. 물푸레나무과 목서속에 속하는 늘푸른 넓은잎 떨기나무인 목서류는 조경용으로 많이 심으며, 대부분이 중국과 일본에서 들여온 도입종이다.목서木犀란 이름은 본래 중국에서 나무껍질의 색상과 무늬가 '코뿔소(서우犀牛)'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학명은 오스만투스 프라그란스 Osmanthus fragrans, 영어는 fragrant tea olive(향기 차올리브) 또는 sweet osmanthus(향기꽃나무), 중국어 한자는 목서木犀, 계수桂树, 계화桂花 등으로 표기한다. 거문도와 일본에 나는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

나무가 단단하고 질겨서 도리깨를 비롯한 농기구로 널리 쓰였다.껍질은 진피秦皮라 하여 안약으로 이용되었다.서양에서도 쓰임이 많아 유럽의 신화에도 등장한다.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들메나무는 옛 사람들이 짚신이 잘 벗겨지지 않게 단단히 동여매던 끈인 '들메'를 만드는 나무라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학명은 프락시누스 만드슈리카 Fraxinus mandshurica, 영어는 Manchurian ash(만주물푸레나무), 중국어 한자는 화거류花拒柳 또는 납조蠟條로 쓴다. ○도리깨 지금도 농가에서 가끔 곡식의 낟알을 떠는 데 쓰는 농구인 도리깨를 볼 수 있지만, 예전에는 도리깨가 한 집에 여러 개씩 있었다.닷새에 한 번씩 서는 장에 가면 으레 도리깨채와 도리깨발의 재료가 되는 물..

봄 기운이 살짝 대지에 퍼져나갈 즈음 잎이 나오기 전에 눈부시게 새하얗고 커다란 꽃을 피운다.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 하여 북향화北向花라고도 하는 목련. 목련과 목련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인 목련木蓮은 나무에 핀 연꽃이란 뜻의 이름이다.학명은 마그놀리아 코부스 Magnolia kobus, 영어는 magnolia(매그놀리아), 중국어 한자는 목련·신이辛夷·목란木蘭 등으로 쓴다. 필자가 목련 종류의 나무를 처음 본 것은 나이 서른이 훨씬 넘어서였다.필자가 자란 산골에는 물론, 초등학교(당시에는 보통학교)가 있었던 면사무소 소재지 마을에도 없었고, 군청 소재지에도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다.중학교에 다니던 대구 시내에서도 목련 종류의 나무를 본 적이 없었다.대구농림학교에는 좁은 면적..

참외 모양의 열매가 나무에 달린다는 뜻의 목과木瓜에서 모과가 되었다.모과는 울퉁불퉁 못생겼지만 향기가 그윽하며 기침약으로도 쓰인다. 장미과 명자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큰키나무로 10미터 높이까지 자란다.학명은 카에노멜레스 시넨시스 Chaenomeles sinensis, 영어는 Chinese flowering-quince(중국 꽃-마르멜로), 중국어 한자는 목과木瓜로 쓴다. "모과도 과일인가?"라는 말이 있다.모과는 과일 중에서 제일 나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모과는 생것으로 먹을 만한 것을 못 되는 것 같다."이웃집 누구는 인물이 모과 같아서 좋은 신랑 얻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말도 한다.모과는 울퉁불퉁 제멋대로 생겨서 질서가 없는 편이다.모과처럼 생기기를 바라는 사람을 없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