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18. 7/6 미국 하와이 여행 오아후섬 마지막날 5일째 셋글: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 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 호놀룰루 2차 대전 추모비 본문
2018. 7/6 미국 하와이 여행 오아후섬 마지막날 5일째 셋글: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 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 호놀룰루 2차 대전 추모비
새샘 2021. 1. 29. 11:25하와이 전체 여행로
6/26 인천공항-6/26 호놀룰루공항-(비행기)-6/26~29 하와이섬-(비행기)-6/29~7/2 마우이섬-(비행기)-7/2~6 오아후섬
오아후섬 전체 여행로
7/2 호놀룰루공항-숙소-와이키키 루어스 거리-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7/3 하와이 카이 조망점-할로나 바람구멍 조망점-모래 해변-해양생물공원-마카푸우 점 등대-라니카이 해변-라니카이 기념비-카일루아 해변공원-뵤도인 사원-누우아누팔리 조망점-해양생물공원-카할라 호텔리조트-알라 모아나 센터-푹유엔 해물식당-7/4 다이아몬드헤드산 조망점-하나우마만 조망점-폴리네시아 문화센터-지오반니 새우트럭-라니아케아 해변-릴리우오칼라니 교회-할레이와 상가지구와 해변-돌 파인애플 농장-와이켈레 프리미엄 아울렛-와이키키 해변 독립기념일 불꽃축제-7/5루어스 거리-하와이 미육군박물관-드루시요새 해변-힐튼하와이안빌리지 카하나모쿠 해변-힐튼 하와이안 빌리지-와이키키 스타라이트 루아우쇼-7/6 차이나타운-호놀룰루항-중심업무지구-하와이주립미술관-하와이주 의회의사당-이올라니 궁전-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카와이아하오 교회-하와이주립도서관-호놀룰루시청-호놀룰루 헤일-알로하 타워상가-알로하 타워-호놀룰루항-호놀룰루미술관-토마스광장-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숙소-진주만-호놀룰루공항
7/6 호놀룰루 탐방로
차이나타운-누우아누 천-문화광장-쑨원 동상-누우아누 천 다리-호놀룰루항 15부두-북왕 거리-윌콕스 동상-첫 하와이안 센터-타마린드 공원-하와이주립미술관-하와이주 의회의사당-이올라니 궁전-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카와이아하오 교회-하와이주립도서관-호놀룰루시청-호놀룰루 할레-알로하 타워상가-알로하 타워-호놀룰루항-호놀룰루미술관-토마스광장-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숙소-진주만-호놀룰루공항
의회의사당 지구 탐방로
리처즈 거리 그늘막-하와이주립미술관-한국전 및 베트남전 기념물-주청사 및 주의회의사당-자유의 종-이올라니 궁전[정문-벵골고무나무숲-이올라니 궁전 박물관-대관식 가설건물(켈리이포니 헤일)-이올라니 막사(헤일 코아)-궁전 음악회]-우체국/세관/법원-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호놀룰루 2차 대전 추모비-카와이아하오 교회-하와이주립도서관-호놀룰루시청
이올라니 궁전을 나와 남왕 거리 South King St 맞은 편에 있는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을 보러 간다.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 오른쪽(북쪽) 건물은 입구에 여러 개의 아치형 문이 있고, 그 위쪽 벽에 이름이 새겨져 있다.
하와이주 우체국 Post Office/세관 Custom House/법원 Court House이 있는 건물.
이올라니 궁전 바로 앞 길 건너에 금빛으로 빛나는 동상과 시계탑 건물이 보인다.
이 동상은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이고, 시계탑 건물은 현재 하와이주 대법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리이올라니 헤일이다.
동상 바로 앞 길거리에 서 있는 카메하메하 1세(대왕) 왕 동상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
1810년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하와이 왕국 Kingdom of Hawaii을 건국하고 초대 왕으로 즉위한 카메하메하 1세 Kamehameha I즉 카메하메하 대왕 Kamehameha the Great(1736?~1819; 재위 1782~1819)을 기리는 높이 5. 5미터의 이 동상은 하와이 주도 호놀룰루의 도심지 중심지구인 의회의사당지구에서도 한가운데 지역에 위치한다.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은 이 동상 포함 미국 영토 안에 모두 4개가 있는데, 가장 많은 사람이 찾는 동상이 바로 이 동상이다.
1883년 건립된 이 동상은 제작은 두 번째이지만 가장 먼저 건립된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이다.
그 이유는 1878년 유럽에서 제작된 첫 번째 동상은 하와이로 운송 도중 배가 난파되어 바다 속으로 침몰되었으며, 그 후 1912년 바다에서 건져내었지만 건립 예정지였던 호놀룰루에 이미 대왕 동상이 세워져 있었기 때문에 대왕 생가가 있는 하와이섬(빅섬 Big Island)의 코할라 Kohala에 두 번째로 세운 것이다.
세 번째 대왕 동상은 1969년 미국 수도 워싱턴 DC 국회의사당,
그리고 마지막인 네 번째 대왕 동상은 1997년 하와이섬(빅섬) 힐로 Hilo에 건립되었다[새샘 블로그 2020. 4. 11 글 '2018. 6/27 미국 하와이 여행 하와이섬 2일째 마지막 넷글: 힐로2'].
매년 6월 11일은 카메하메하 대왕날 King Kamehameha I Day로 지정된 하와이주의 공휴일이다.
이 날은 1871년 당시 카메하메하 5세 왕이 외할아버지인 카메하메하 대왕을 기리기 위해 선포하였다.
대왕날의 기념행사의 하나는 6월 11일에 가장 가까운 금요일이 되면 동상에 꽃 화환을 둘러 장식하는 것이다.
대왕 동상 뒷 건물은 하와이 왕국 Kingdom of Hawaii 카메하메하 5세 왕궁이었고, 뒤를 이은 하와이 공화국 Republic of Hawaii 정부청사였던 알리이올라니 헤일 Aliilolani Hale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부흥 Italian Renaissance Revival 건축양식의 이 건물은 카메하메하 5세가 1872년부터 자신의 왕궁으로 짓기 시작하여 자신의 사망 후인 1874년에 준공된 2층 건물.
'알리이올라 헤일'이란 하와이말은 카메하메하 5세의 이름인 알리이올라니를 딴 것으로 '천왕의 집 the House of Heavenly King' 즉 '왕궁'이란 뜻이다.
하지만 건물 착공 후 카메하메하 5세는 당시 하와이 왕국 정부 청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서 궁전이 아닌 청사 건물로 변경하도록 명령했다고 한다.
준공 이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관공서로 사용되어오다가 여러 번에 걸친 개조와 증축을 거쳐,
지금은 하와이주 대법원 Hawaii Supreme Court을 비롯하여 사법역사센터와 대법원 법률도서관 등 하와이주 대법원 및 관련 기관이 사용하고 있다.
건물 중앙은 원형 홀 형태이며, 1층에는 사법역사센터와 대법원장실이, 2층에는 법정과 행정실이 있으며, 대법원 법률도서관은 연결된 뒤쪽 건물에 있다.
알리이올라니 헤일 아치문을 들어가서 뒤돌아본 카메하메하 대왕 동상 뒷모습과 왕자귀나무에 가린 이올라니 궁전
안쪽에 1층 중앙에 위치한 카메하메하 5세 왕 사법역사센터 King Kamehameha V Judiciary History Center
사법역사센터 문 옆 벽에 걸린 카메하메하 5세 왕(1830~1872; 재위 1863~1872) 초상
사법역사센터 1913년 법정 전시실
법정 재판장이 된 산타
사법역사센터 주 전시실 Main Gallery 전시물
카메하메하 대왕(1세 왕)의 왕비로서 남편 사후 가장 강력한 정치 권력을 휘둘렸던 카아후마누 Kaahumanu(1768~1832) 초상화.
그녀는 카메하메하 대왕의 다른 왕비가 낳은 두 아들로서 왕위를 차례로 물러받은 카메하메하 2세와 3세때 섭정의 지위를 가지고 공동정치를 하면서 왕보다 더 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1850년대 호놀룰루 도심지와 호놀룰루항 모형도
대법원 법정
하와이 계엄령 당시(1941~1944) 전시실
1층에서 2층 오르는 계단
하와이 대법원(알리이올라니 헤일)을 나와 남왕 거리 S. King St를 따라 남동쪽 호놀룰루 시청 쪽으로 갔다.
하와이대법원 블럭 남서쪽 끝에 하얀 돌로 만든 높은 비가 한 개 서 있다.
비에 새겨진 글을 보니 2차 대전때 사망한 하와이 거주 미국인들을 기리는 호놀룰루 2차 대전 추모비 Honolulu World War II Memorial.
1944년에 건립된 '거꾸로 된 T 자' 모양의 5.5미터 높이의 하얀 추모비 가운데는 추모글[모든 인류를 위하여 우리 땅의 아름다움과 자유를 지키려는 이번 세계대전에서 목숨을 잃은 하와이의 모든 미국인들을 기리면서]이 새겨져 있고,
추모비 꼭대기에는 미국의 나라새(국조國鳥)인 거대한 흰머리수리 bald eagle 한 마리가 화살 13개와 올리브 가지를 붙잡고 있는 조형물이 붙어 있다.
이 새 조형물은 미국(흰머리수리)의 힘(화살)과 평화(올리브 가지)를 상징한다.
추모비 아래쪽 가로 벽면에는 880명의 사망자 이름이 새겨져 있다.
2021. 1. 29 새샘, 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