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18. 7/6 미국 하와이 여행 오아후섬 마지막날 5일째 여섯글: 토마스 광장, 호놀룰루 미술관, 호놀룰루 미술관 학교 본문

여행기-해외

2018. 7/6 미국 하와이 여행 오아후섬 마지막날 5일째 여섯글: 토마스 광장, 호놀룰루 미술관, 호놀룰루 미술관 학교

새샘 2021. 2. 17. 12:32

<하와이주 위치>

하와이 전체 여행로

6/26 인천공항-6/26 호놀룰루공항-(비행기)-6/26~29 하와이섬-(비행기)-6/29~7/2 마우이섬-(비행기)-7/2~6 오아후섬

<하와이 전체 여행로>

 

오아후섬 전체 여행로

7/2 호놀룰루공항-숙소-와이키키 루어스 거리-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7/3 하와이 카이 조망점-할로나 바람구멍 조망점-모래 해변-해양생물공원-마카푸우 점 등대-라니카이 해변-라니카이 기념비-카일루아 해변공원-뵤도인 사원-누우아누팔리 조망점-해양생물공원-카할라 호텔리조트-알라 모아나 센터-푹유엔 해물식당-7/4 다이아몬드헤드산 조망점-하나우마만 조망점-폴리네시아 문화센터-지오반니 새우트럭-라니아케아 해변-릴리우오칼라니 교회-할레이와 상가지구와 해변-돌 파인애플 농장-와이켈레 프리미엄 아울렛-와이키키 해변 독립기념일 불꽃축제-7/5루어스 거리-하와이 미육군박물관-드루시요새 해변-힐튼하와이안빌리지 카하나모쿠 해변-힐튼 하와이안 빌리지-와이키키 스타라이트 루아우쇼-7/6 차이나타운-호놀룰루항-중심업무지구-하와이주립미술관-하와이주 의회의사당-이올라니 궁전-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카와이아하오 교회-하와이주립도서관-호놀룰루시청(호놀룰루 헤일)-하와이퍼시픽대학교 호놀룰루캠퍼스(알로하 타워상가)-알로하 타워-호놀룰루항-토마스광장-호놀룰루미술관-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숙소-진주만-호놀룰루공항

 

7/6 호놀룰루 탐방로

차이나타운-누우아누 천-문화광장-쑨원 동상-누우아누 천 다리-호놀룰루항 15부두-북왕 거리-윌콕스 동상-첫 하와이안 센터-타마린드 공원-하와이주립미술관-하와이주 의회의사당-이올라니 궁전-카메하메하 대왕 동상-알리이올라니 헤일(하와이주 대법원)-카와이아하오 교회-하와이주립도서관-호놀룰루시청(호놀룰루 헤일)-하와이퍼시픽대학교 호놀룰루캠퍼스(알로하 타워상가)-알로하 타워-호놀룰루항-토마스광장-호놀룰루미술관-호놀룰루미술관 학교-블라이스델 콘서트홀-칼라카우아 가-와이키키 해변-숙소-진주만-호놀룰루공항

 

호놀룰루항 구경을 마치고 버스를 타고 호놀룰루 도심지 남동쪽 경계인 워드 가 Ward Ave 동쪽에 있는 토마스광장 호놀룰루 미술관으로 향한다.

 

토마스 광장 남왕거리 South King ST 버스 정류장에서 내리면 길 건너 북쪽의 토마스 광장은 공사중으로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었다.

호놀룰루 최초의 공원으로 지정된 토마스 광장 Thomas Square은 이며, 이름은 영국 해군 제독이었던 리처드 다톤 토마스 Richard Darton Thomas의 이름을 딴 것이다.

1843년 토마스 제독은 군함을 타고 하와이에 상륙하여 당시 영국이 지배하던 호놀룰루를 하와이 왕국의 카메하메하 3세 왕에게 정식으로 인계한다는 뜻으로 하와이 왕국 국기를 전달한 공로가 있다.

토마스 광장은 미국 성조기 없이 하와이주 깃발만을 게양할 수 있는 4개의 장소 중 한 곳이다.

 

차단막 옆으로 난 출입구를 통해 토마스 광장 안으로 들어가면 벵골고무나무(바냔나무, 벵골보리수) banyan tree 숲이 있다.

토마스 광장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북쪽에 있는 호놀룰루 미술관으로 향한다.

미술관 앞 남베레타니아 거리 동쪽 끝 모퉁이의 광장 입구.

 

토마스 광장 벵골고무나무 숲에서 분수가 뿜어나오고 있다.

벵골고무나무 숲 앞 잔디밭에는 대가족이 소풍 나온 듯 많은 짐이 쌓여 있고, 그 뒤로 호놀룰루 미술관이 보인다.

토마스 광장 북쪽길인 남베레타니아 거리 South Bertania St 건너 하와이주 최대 규모인 호놀룰루 미술관이 보인다.

호놀룰루 미술관 Honolulu Museum of Art(HoMA)은 1922년 호놀룰루 미술 아카데미 Honolulu Academy of Arts란 이름으로 창립된 사설 미술관으로서, 1927년부터 일반에게 공개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5만 점 이상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고, 특히 미국 내에서는 아시아 및 범태평양 지역 미술 작품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다.

 

2011년 마이키키 하이츠에 있던 현대미술관 Contermporary Museum in Mikiki Heights은 호놀룰루 미술 아카데미 Honolulu Academy of Arts에 통합된 후 이름이 지금의 호놀룰루 미술관으로 바뀌었다.

 

다음 해인 2012년 호놀룰루 미술관, 리네코나 미술센터 Art Center at Linekona, 첫 하와이안 센터 현대미술관 Contemporary Museum at First Hawaiian Center 등 3개 미술관이 통합되면서 지금의 호놀룰루 미술관이 탄생했으며, 호놀룰루 미술관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미술관이 이름이 바뀌게 된다.

 

통합 후 변경된 미술관 이름을 보면 호놀룰루 미술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마이키키 하이츠 현대미술관은 '호놀룰루 미술관 스폴딩 집 Honolulu Museum of Art Spalding House'으로, 리네코아 미술센터는 '호놀룰루 미술관 학교 Honululu Museum of Art School'로, 그리고 첫 하와이안 센터 현대미술관은 '첫 하와이안 센터 호놀룰루 미술관 Honolulu Museum of Art at First Hawaiian Center'으로 각각 바뀌었다.

 

토마스 광장 쪽 남베레타이아 거리에서 바라본 호놀룰루 미술관

 

정문 양쪽을 지키고 있는 한 쌍의 말 사이를 지나 호놀룰루 미술관 정문 입장.

대리석으로 만든 이 말은 18세기 중국 청나라 때 만든 것으로 중국 정부가 1971년 호놀룰루 미술관에 기증하였다.

1971년은 미국과 중국이 핑퐁외교 Ping-pong diplomacy를 시작한 해이며, 이듬해인 1972년 헨리 키신저 Henry Alfred Kissinger(1923~)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극비리에 중국을 방문하였다.

미술관 출입문 양쪽 벽에는 사람의 두개골 작품이 걸려 있고, 문 가운데에는 입장료 안내판이 서 있다.

 

입장료 안내판 뒤에 더덕더덕 붙어 있는 호놀룰루 미술관 스티커들(이곳도 예술작품?)

 

미술관 전시실에 들어가는 대신 복도에서 뒤뜰에 전시된 조각 작품을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

호놀룰루 미술관을 나와 토마스 광장 동쪽길 빅토리아 거리 Victorial St에 있는 호놀룰루 미술관 학교 Honolulu Museum of Art School 건물을 구경한다.

1908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호놀룰루 미술관에 통합되기 이전에는 리네코나 미술센터 Art Center at Linekona(리네코아 학교 Linekna  School)란 이름을 갖고 있었던 곳으로, 지금 호놀룰루 미술관에서 실시하는 모든 미술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미술관 학교 계단 위 출입문 앞에는 목마상이 서 있다.

인터넷에서 찾은 목마상(출처-www.google.com/maps/uv?pb=!1s0x7c006de773b00745%3A0x7113183588bcb05!3m1!7e115!4shttps%3A%2F%2Flh5.googleusercontent.com%2Fp%2FAF1QipPZc59xPof7vbAYWGb83pZphNT9wYPonQyuhHPE%3Dw234-h176-k-no!5shonolulu%20museum%20of%20art%20school%20-%20Google%20%EA%B2%80%EC%83%89!15sCgIgAQ&imagekey=!1e10!2sAF1QipMxqTrmftelrXTOHZSEzIdPRWnnz6LzLg_fpzFr&hl=ko&sa=X&ved=2ahUKEwijm-O6_PDuAhXJ3mEKHWJDDAUQoiowE3oECB8QAw)

 

토마스 광장 남쪽 길인 남왕 거리 South King St 건너편에 있는 블라이스델 콘서트홀 Blaisdell Concert Hall을 바라보는 것이 호놀룰루 미술관 지역의 마지막 일정.

이 콘서트홀은 호놀룰루시가 1964년 조성한 도심지의 주민센터 community center인 닐 에스 블라이스델 센터 Neal S. Blaisdell Center의 부속 건물이며, 콘서트홀 외에도 다목적 경기장, 전시장, 화랑(갤러리), 회의장 등이 있다.

주민센터 이름은 조성을 주도했던 당시 호놀룰루 시장의 이름을 딴 것이다.

 

토마스 광장 남쪽 남왕 거리에서 바라본 블라이스델 콘서트홀

2021. 2. 17 산타,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