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영국 스코틀랜트
- ㅓ
- 알래스카 크루즈
- 폴란드
- 울릉도
- 미국 옐로우스톤
- 헝가리
- 영국 스코틀랜드
- 하와이
- 영국
- 남인도
- 1ㄴ
- 미얀마
- 미국 플로리다
- 오스트리아
- 프랑스
- 알래스카
- 싱가포르
- 미국 알래스카
- 덴마크
- 중국 베이징
- 일본 규슈
- 미국 하와이
- 알래스카 내륙
- 체코
- 스웨덴
- 러시아
- 미국 요세미티
- 독일
- 노르웨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2/10/29 (1)
새샘(淸泉)

조선시대의 그림에 관한 논평이나 이론인 화론畵論과 그림 역사인 화사畵史에 대한 얘기다.본래 유교문화권의 중심인 중국에서는 천오륙백년 전부터 화론, 화사, 화법畵法(그림 그리는 방법), 화품畵品(그림의 품격) 등이 크게 번성했었다.예를 들면 남제 말기 화가인 사혁謝赫(?~?)이 지은 ≪고화품록古畵品錄≫이라든지, 당나라 장언원張彥遠(815~879)의 ≪역대명화기歷代名畫記≫ 이래로 수많은 화인전畵人傳(화가의 전기), 화법, 화론 등이 있었다. 이와 비하면 우리나라에서는 화론은 말할 것도 없고, 흔한 화인전도 그 내용이 아주 적고 변변하지 못해 볼 만한 것이 적다.그 이유는 무엇일까?아마도 그림 문화권 중심지인 중국의 관련 서적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문화권 전체의 공유재산으로서 가능했기 때문일 것이다.더구나..
글과 그림
2022. 10. 29. 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