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코로나19 돌연변이와 백신에 관한 가장 궁금한 질문 13가지 본문
미국의 격주 발행 경제잡지 '포브스 Forbes'는 올 1월 16일 감염병 전문가인 주디 스톤 Judy Stone이 쓴 <코로나19 돌연변이와 백신에 대한 가장 흔한 12가지 질문 12 Most Common Questions About Covid Mutations And Vacccines>이란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 제목은 12가지 질문으로 되어 있지만 내용을 보면 13가지 질문과 답변이다.
1. 돌연변이 균주(변이주)
변종變種 variant(mutant) species과 변이주變異株 variant(mutant) strains는 다른 개념이다.
종種 species이란 개념은 생물 분류 단위의 기본 단위로서, 일반적으로 생물의 종류라고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균주菌株[주株, 세포주細胞株] strain란 종의 하위 개념으로서, 같은 종이긴 같지만 유전체 염기서열이 조금 달라진 결과 일부 특징이 원래 종과 달라진 것을 표현한 용어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염기서열 유사도 similarity가 90% 이상이면 같은 종으로 분류하며,
원래 종과 비교하여 유전체 변이 정도가 10% 미만이면 변종이 아닌 변이주라고 부른다.
영국과 남아공에서 유래된 코로나바이러스 돌연변이에 대한 의문이 많이 나오고 있다.
지금 조사 중인 영국 변이주는 B117 또는 VU1-202012/01이라 불린다.
바이러스와 세균에게서 유전체 돌연변이는 항상 일어나는 일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감염력이나 발병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 변이주의 유전암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지금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 중이다.
돌연변이를 확인한다고 해서 돌연변이 효과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변이주에 감염된 확진자가 많을수록 돌연변이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무작위적으로 일어나는 돌연변이는 본질적으로 좋고 나쁜 것이 아니라 진화의 한 방식일 뿐이다.
앞으로 더 많은 바이러스 돌연변이주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WHO의 테드로스 Tedros 박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핵심은 모든 코로나19 바이러스 즉 SARS-CoV-2의 전파를 가능한 빨리 차단하는 것이며, 더 많이 확산될수록 바이러스 돌연변이는 더 많아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 가지 큰 문제는 돌연변이 확인을 위한 변이주의 염기서열 분석이 다른 나라에 비해 미국이 훨씬 늦게 진행된다는 점이며, 그래서 미국보다 다른 나라에서 먼저 변이주의 특징을 밝히게 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그 어느 때보다 지금 미국은 정치적 및 사회적 대응이 혼란 상태라는 점에 있다.
2. 영국 변이주의 전파력이 더 강한가?
그렇다.
이 변이주의 전파력은 훨씬 강하여 어린이도 많이 감염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파지수[감염재생산지수, R0[알 놋 R naught(0, 제로 zero): 감염자 1명이 평균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2차 감염자 수]는 1.1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감염자 1명이 다른 사람 1.1명을 감염시킨다는 의미다.
영국 변이주의 전파지수는 평균 1.5로서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50% 더 많은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70% 더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3. 코로나19 변이주에 감염되면 더 심하게 앓는가?
현재로선 더 심하게 앓는다는 증거는 없다.
하지만 많은 병원의 중환자실은 빈 곳이 없을 정도로 우리 의료체계는 현재 한계점에 도달해 있다.
따라서 우리 의료체계로는 전파력이 더 강한 변이주에 감염된 환자 물결을 감당할 수 없다.
4. 코로나19는 독감보다 증상이 더 심한가?
당연히 그렇다.
코로나19 치사율은 평균 2%로 치사율이 0.1%인 독감(인플루엔자 influenza)의 20배에 달한다.
코로나19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또 다른 심각성은 급성 감염 후 그 증상이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사람이 많다는 점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증상이 지속되는 '장기 지속 증상자'의 원인이 무엇이며, 증상 범위가 보다 확장되는 원인이 무엇인지 거의 알지 못하고 있다.
5. 새로운 변이주에 의한 재감염이 더 쉽게 일어나는가?
현재로선 그렇지 않다.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면역력 또한 변이주에 대해서도 같은 수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6. 코로나19 백신으로 새 변이주를 예방할 수 있는가?
그렇다.
WHO의 스와미나단 Swaminathan 박사는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와 약물, 그리고 개발 중인 백신은 지금까지의 어떤 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해서도 그 치료 및 예방 효과에 있어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약물이나 백신 효과가 감소되는 새로운 돌연변이주의 출현은 시간 문제일 뿐이다.
WHO의 건강긴급 프로그램 책임자 마이크 라이언 Mike Ryan 박사는 변이주가 바이러스 전파력을 높이는 동안 격리,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 두기와 같은 기본적인 감염관리대책만으로도 코로나19 팬데믹을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고국 아일랜드에서 확진자 수가 급증한 이유는 변이주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교류가 늘고 물리적 거리 두기를 하지 않은 것이 주된 이유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변이주에 대한 대책은 경기 규칙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승리하는데 필요한 것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해오던 노력을 배가하기만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7. 백신은 안전한가?
지금까지 백신은 놀랍도록 안전하고 효과가 있으며, 그 감시(모니터링) monitoring는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나타난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다.
화이자 백신 접종 1백만 건 가운데 11.1건의 아나필락시스가 보고되었고, 이 중 71%가 접종 15분 이내에 발생했다.
이 부작용 발생자 대부분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이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이 부작용이 자가면역질환 autoimmune disease[면역세포가 병원체가 아니라 보호해야 할 자기세포를 공격함으로써 나타나는 질환]이나 벨 마비 Bell's palsy[얼굴 신경 한쪽에 생기는 마비] 이력을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났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
팬데믹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US CDC)는 모든 사람이 백신을 맞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사망과 장기간 지속되는 증상과 같은 위험성이 백신 접종에 따른 부작용보다 훨씬 더 높기 때문이다.
8. 인종이나 집단에 따라 백신 안전성의 차이가 있는가?
WHO의 브루스 아일워드 Bruce Aylward 박사는 백신 안정성의 차이를 예상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백신 접종의 긴급성을 감안하면 특정 국가나 인종을 대상으로 철저한 백신 임상시험을 할 시간이 없다고 강조했다.
9. 다른 백신과 섞어서 맞아도 되는가?
면역을 갖게 하는 방식이 완전히 다른 백신들을 섞어 접종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인 이점에 대한 논의가 일부 되고 있다.
지금 미국에서 접종되고 있는 것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두 종으로 모두 mRNA 기반 백신이다.
두 백신의 작용은 비슷하지만 구성 성분은 서로 다르며, 2번의 접종 때 다른 백신을 접종하면 해를 끼치는지, 이익이 되는지, 아니면 해도 이익도 없는지에 대한 아무런 자료가 지금으로선 없다.
아무런 자료가 없다는 것이 운이 좋은 건가?
10. 백신을 맞은 후에도 코로나19에 걸리는가?
안 걸린다.
어떤 백신이라도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든 것은 없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모두 mRNA 즉 전령 RNA로 제조된 것이다.
극소량의 유전물질이 우리 몸의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드는데 이용된다.
백신이 우리 몸의 DNA를 변화시키거나, 감염을 일으키거나,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수도 없다.
그리고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11. 언제 항체가 생기며, 생긴 항체는 얼마 동안 지속되는가?
화이자 백신은 접종 10일 후 예방효과가 꽤 좋게 나타나, 2번째 접종 때까지의 기간 동안 52% 예방효과를 보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첫 번째 접종 후 3주 동안의 예방효과는 73%였다.
사람들이 백신을 맞았는데도 효과가 없다는 불평을 만약 듣는다면
그것은 백신이 예방효과를 나타내기 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어떤 백신도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며,
2번째 접종 후 이 두 백신의 예방효과는 95%로 놀라울 정도로 높지만 100%는 아니다.
12. 백신을 맞고 나면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지 않아도 되는가?
이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혼란의 여지도 있다.
백신을 맞고 나면 예방 수칙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렇지 않다!
백신은 심각한 질병을 예방하지만, 감염이나 무증상 전파까지 예방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그래서 우리 모두 당분간 계속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당신에게 가장 편안한 마스크를 찾아내어 그 마스크를 패션으로 만들어라!
가장 좋은 마스크는 입에 꼭 맞고, 촘촘히 짜여진 3겹의 면 소재나 수술용 마스크처럼 합성 소재로 만든 것이다.
13. 환자와 접촉했어도 증상만 없다면 생업을 계속해도 되는가?
안 된다.
확진자와 접촉했다면 7~10일 동안 격리할 필요가 있다.
이 조치는 전파 연결고리를 차단하여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증상이 없더라도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Forbes, Jan 16, 2021, '12 Most Common Questions About Covid Mutations And Vaccines'.
2021. 1. 25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원의 문제 (0) | 2021.01.30 |
---|---|
양송당 김시 "한림제설도" (0) | 2021.01.28 |
유머의 정석 (0) | 2021.01.22 |
선사고고학의 포문을 연 주먹도끼,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 (0) | 2021.01.20 |
신사임당 "초충도"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