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체코
- ㅓ
- 1ㄴ
- 남인도
- 덴마크
- 중국 베이징
- 알래스카 내륙
- 일본 규슈
- 미국 알래스카
- 알래스카 크루즈
- 노르웨이
- 폴란드
- 싱가포르
- 영국 스코틀랜트
- 러시아
- 스웨덴
- 미국 요세미티
- 오스트리아
- 하와이
- 미국 플로리다
- 미국 옐로우스톤
- 미얀마
- 헝가리
- 프랑스
- 미국 하와이
- 영국
- 울릉도
- 독일
- 알래스카
- 영국 스코틀랜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2/11/03 (1)
새샘(淸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edOV/btrQeTYaqz1/LKghyL8aH6HAapijDTu0Lk/img.png)
헬레니즘(그리스주의) Hellenism 철학은 두 가지 경향을 드러냈는데 이 둘은 헬레니즘 문명 전체를 나란히 관류했다. 첫째, 에피쿠로스 철학 Epicureanism과 스토아 철학 Stoicism으로 대표되는 주류 시대정신은 이성을 인간 삶의 고뇌를 연결하는 열쇠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결합된 철학과 과학이 바야흐로 분리되는 시점에 이르렀지만, 이 시대정신은 분명 그리스적 영향의 표현이었다. 둘째, 회의주의와 다양한 종교를 통해 구현된 비주류적인 또 다른 시대정신은, 이성을 거부하고 진리에 도달할 가능성을 부인했으며 신비주의에 귀착하거나 신앙에 의존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자와 종교가는 서로 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한 가지 점—즉, 인간 존재가 시련에서 해방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글과 그림
2022. 11. 3.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