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러시아
- 1ㄴ
- 헝가리
- 노르웨이
- 스웨덴
- 알래스카
- 하와이
- 중국 베이징
- 영국 스코틀랜드
- 영국
- 남인도
- 오스트리아
- 미국 알래스카
- 싱가포르
- 덴마크
- 폴란드
- 독일
- 프랑스
- 미국 하와이
- 체코
- 울릉도
- 일본 규슈
- 미국 요세미티
- ㅓ
- 알래스카 크루즈
- 미국 옐로우스톤
- 미얀마
- 미국 플로리다
- 알래스카 내륙
- 영국 스코틀랜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2/12/04 (1)
새샘(淸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KIS1/btrSIrrZ6SY/KMxucVZ9CgnNTNAFDjrCaK/img.jpg)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김수철의 는 작품 이름을 冬景山水圖)>로 표기하고 있다. 화면 오른쪽 위에 적힌 화제는 "계산적적무인 溪山寂寂無人間 호방임포처사가好訪林逋處士家 (고요하게 물이 흐르는 산은 물어볼 사람 없어도 임포 처사의 집을 잘도 찾아가네)"이다.송나라 시인 임포(967~1028)는 속세를 피해 서호의 고산孤山에 숨어 매화를 아내로 학을 자녀로 기르면서 사는(매처학자梅妻鶴子) 은일隱逸 시인이었다. 이 그림에서는 간략한 필치와 단순한 형태, 엷지만 선명한 색채가 두드러진다. 산과 바위의 음영 표현 없이 윤곽선만으로 표현되어 김수철 그림의 특징인 간결함이 잘 드러나 있다. 산과 바위를 연한 먹빛으로 칠하고 태점苔點(산이나 바위, 땅 또는 나무 줄기에 난 이끼를 표현하는 작은 점)을 찍어 산의 ..
글과 그림
2022. 12. 4.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