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북산 김수철 "계산적적도" "무릉춘색도" 본문

글과 그림

북산 김수철 "계산적적도" "무릉춘색도"

새샘 2022. 12. 4. 15:53

김수철, 계산적적도, 종이에 담채, 119.0x46.0cm,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김수철의 <계산적적도溪山寂寂圖>는 작품 이름을 <겨울 산수(동경산수도冬景山水圖)>로 표기하고 있다.

 

화면 오른쪽 위에 적힌 화제는 "계산적적무인 溪山寂寂無人間 호방임포처사가好訪林逋處士家 (고요하게 물이 흐르는 산은 물어볼 사람 없어도 임포 처사의 집을 잘도 찾아가네)"이다.

송나라 시인 임포(967~1028)는 속세를 피해 서호의 고산孤山에 숨어 매화를 아내로 학을 자녀로 기르면서 사는(매처학자梅妻鶴子) 은일隱逸 시인이었다.

 

이 그림에서는 간략한 필치와 단순한 형태, 엷지만 선명한 색채가 두드러진다.

산과 바위의 음영 표현 없이 윤곽선만으로 표현되어 김수철 그림의 특징인 간결함이 잘 드러나 있다.

산과 바위를 연한 먹빛으로 칠하고 태점苔點(산이나 바위, 땅 또는 나무 줄기에 난 이끼를 표현하는 작은 점)을 찍어 산의 굴곡을 표현했으며, 가지마다 호분점胡粉點(동양화에 사용되는 흰색 물감으로 찍은 점)을 찍어 매화꽃을 나타냄으로써 장식 효과를 높이고 있다.

온통 먹빛인 가운데 임포가 머물고 있는 집과 임포의 옷색은 붉은색이며, 다리 건너 그를 찾아오는 이의 옷은 연푸른색으로 서로 산뜻한 대비를 이룬다.

화면 왼쪽은 거대한 바위로 가득찬 반면 오른편 위와 아래 공간은 시원하게 틔어 있어, 북산의 간결한 필치와 극명한 대비 효과가 잘 나타나 있다.

 

 

김수철, 무릉춘색도, 1862년 무렵, 종이에 담채, 150.5x45.6cm, 간송박물관

 

김수철의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는 화면 왼쪽 위에 적힌 김수철이 지었다는 다음 제시題詩를 통해 그림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종도수처무릉춘 種桃隨處武陵春 (복사나무 심은 곳마다 무릉도원의 봄이거늘)

나필운중거문진 那必雲中去問津 (어찌 반드시 구름 속으로 들어가 나루터를 묻는가)

상견당년원이객 相見當年源裏客 (그때의 도원 속의 나그네를 만나보니)

다응본분력전인 多應本分力田人 (본분이 응당 농사에 힘쓰는 사람이로세)

 

임술중추 제북산사의일폭 위보산학사 청좌 송료음생 壬戌中秋 題北山寫意一幅 爲寶山學士 淸座 松寮唫生

(1862 임술년 음력 8월 보산학사를 위해 북산의 뜻을 담은 그림 한폭에 제시를 담아 드립니다.

자리에 두고 보십시오. 송료음생)"

 

<무릉춘색도>는 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무릉계武陵溪의 선경仙境을 굳이 찾지 않더라도 복숭아나무를 좋은 곳에 골라 심어 놓으면 그곳이 바로 무릉도원이 될 수 있음을 표현한 김수철이 창조해 낸 풍취있는 선경을 그린 그림이다.

 

하지만 이 그림은 학산파인 북산풍 그림의 특징인 솔이지법 화풍보다는 정형 산수에 가깝다는 느낌이 든다.

초옥에 앉아 자연을 관조하는 인물을 그린 이 그림은 몽당붓(독필禿筆:  끝이 거의 다 닳아서 없어진 붓)을 써서 인물과 주변 산수를 간략하게 표현했다.

푸른색의 담채와 담묵이 주조를 이루는 청신하고 세련된 감각을 통해 조선 말기 화단의 근대적인 미의식이 어느 정도 표현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그림에 제시를 적은 송료음생이란 인물은 김수철은 아니며 그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임술년은 1862년으로 짐작되므로 당해년이나 그 이전에 그렸졌음을 알 수 있다.

 

※출처

1. 이용희,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 - 동주 이용희 전집 10'(연암서가, 2018)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검색, 김수철 '겨울 산수'(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32) (계산적적도)

3. https://costmgr.tistory.com/3688 (계산적적도)

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hyh45&logNo=20120089435 (무릉춘색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028 (무릉춘색도)

6. 구글 관련 자료

 

2022. 12. 4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