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학명에 korea·corea·우리 지명이 표기된 고유종 식물 4: 배암나무, 분취, 국화방망이, 장군풀, 껄껄이풀 본문
고유종固有種 endemic species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생물종을 말하므로,
우리나라 고유종 식물이란 대한민국 주권이 미치는 영토에서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식물이다.
16. 배암나무 Korean viburnum, 학명 Viburnum koreanum
한국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갈잎 떨기나무, 암수한그루, 산분꽃나무과.
강원도 설악산 이북 해발 900미터 이상의 높은 산에서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와 일본 홋카이도에서도 자란다.
6~7월에 흰꽃이 짧은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모여 피는 모인우산꽃차례[취산聚繖꽃차례, cyme]를 이룬다.
회색 줄기가 차츰 적갈색으로 변하며, 나무껍질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생긴다.
손바닥 모양의 잎은 3개로 갈라진다.
여름이면 달리는 둥근 핵과核果 drupe[1개의 크고 단단한 씨(핵)를 다육질이 감싸고 있는 열매]는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백당나무와 비슷하지만, 열매가 열리지 않는 헛꽃(장식꽃, 무성화無性花)이 피지 않아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17. 분粉취 Seoul saussurea, 학명 Saussurea seoulensis
한국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여러해살이풀, 암수한그루, 국화과.
경기도와 강원도 산지에 자생하는 한반도 특산종이다.
서울분취라고도 하며, 풀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 솜털이 나 있으며, 이 흰 솜털 때문에 분취란 이름이 붙었다.
7~9월 자주색 통꽃만으로 이루어진 머리모양꽃차례(두상頭狀꽃차례)가 1~3개 달린다.
달갈모양이거나 타원형 달걀모양의 뿌리잎은 땅 위에 붙어 로제트 모양으로 퍼지며, 줄기잎은 피침형이거나 선형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18. 국화菊花방망이 Korean butterweed, 학명 Tephroseris koreana
한국 고유종.
여러해살이풀, 암수한그루, 국화과.
강원, 충북, 경북 등과 북한의 함북, 함남, 평북의 깊은 산지 바위틈에서 자생한다.
풀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다.
6~8월에 피는 노란꽃은 수평꽃차례 corymb[편평꽃차례, 산방繖房꽃차례:
길이가 다른 여러 개의 꽃자루 끝에 달린 꽃들이 모여 위에서 보면 수평을 이뤄 편평하게 된 꽃 모양]를 이룬다.
곧게 선 줄기는 자줏빛이 돈다.
세모꼴 심장 모양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국화방망이란 이름은 풀의 전체 모양은 금방망이와 비슷한데, 꽃이 국화를 닮았기 때문에 붙었다고 한다.
19. 장군將軍풀 Korean rhubarb, 학명 Rheum coreanum
한국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여러해살이풀, 암수한그루, 마디풀과.
백두산 등 해발 20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의 풀밭과 계곡 주변 돌이 많은 곳에서 자생하는 함경도 특산종이며,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장군풀 기념 우표도 있다.
전체 높이가 2미터 이상으로 매우 키가 크며,
줄기는 곧추 서는데 속은 비어 있고 세로로 줄이 있다.
꽃은 6~8월경에 황백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술모양꽃차례[모두송이꽃차례,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전체 모양으로는 큰 원뿔꽃차례[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룬다.
장군풀의 꽃 사진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없는데,
이는 남한에서는 장군풀이 아닌 대황을 약초로 키우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렇지만 두 풀의 꽃은 거의 같다고 하므로 대황 꽃을 장군풀 꽃이라 해도 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둥근 심장형의 큰 뿌리잎은 모여나며, 손바닥 모양의 5~7개의 결각이 있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는 반면,
2개의 줄기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많은 자료에서 장군풀을 대황大黃이라고도 부른다고 하여 같은 풀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장군풀 Rheum coreanum과 대황 Rheum undulatum(=Rheum rhabarbarum)은 서로 다른 종이다.
장군풀과 대황의 차이점은 서로 다른 뿌리잎 모양으로서,
장군풀 잎은 결각으로 갈리는 반면 대황 뿌리잎은 결각이 거의 없이 밋밋하다.
노란 뿌리를 약용하는 대황과 구별하기 위해 장군풀이나 약용하는 장군풀 뿌리를 왕대황王大黃이라고도 부른다.
20. 껄껄이풀 Korean hawkweed, 학명 Crepis coreana
한국 고유종.
여러해살이풀, 암수한그루, 국화과.
북한 함북 부전고원과 백두산 등 고원지대 풀밭에 자생한다.
꽃은 7~9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 종 모양의 머리모양꽃차례[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어 혀모양꽃들이 모여 달린다.
높이 30~60센티미터의 줄기는 곧추 서고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타원모양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이 넓게 원줄기를 감싸며,
윗 부분 잎은 피침형이거나 선형이다.
껄껄이풀이란 이름은 잎 가장자리의 톱니 때문에 나물로 먹으면 감촉이 부드럽지 못하고 껄껄하기 때문에 붙었다는 얘기가 있다.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index.do
2.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main/Main.do
3. 산림청 국립수목원,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2015.
2020. 12. 27 새샘
'동식물 사진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제8호 서울 재동 백송 (0) | 2021.03.19 |
---|---|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 (0) | 2021.03.09 |
학명에 korea·corea가 표기된 고유종 식물 3: 오동나무, 복분자딸기, 개느삼, 벌개미취, 처녀치마 (0) | 2020.12.18 |
학명에 korea·corea가 표기된 고유종 식물 2: 개나리, 매자나무, 매미꽃, 솜다리, 연잎꿩의다리 (0) | 2020.12.07 |
학명에 korea·corea가 표기된 고유종 식물 1: 구상나무, 회양목, 백양꽃, 노랑붓꽃, 홀아비바람꽃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