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 본문

동식물 사진과 이야기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

새샘 2021. 3. 9. 19:20

동식물 사진과 이야기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에 대한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 글은 당연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사진 출처-출처자료 1)>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사진 출처-출처자료 1)>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사진 출처-출처자료 4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_%EB%8F%84%EB%8F%99_%EC%B8%A1%EB%B0%B1%EB%82%98%EB%AC%B4_%EC%88%B2)>

측백側栢나무(영문 oriental arborvitae, 학명 Platycladus orientalis)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비늘잎 큰키나무다.

하지만 대부분의 측백나무는 떨기나무처럼 자란다.

 

<(왼쪽)측백나무 꽃(사진 출처-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ivaplus&logNo=11016588621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과 (오른쪽)측백나무 열매(사진 출처-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8%A1%EB%B0%B1%EB%82%98%EB%AC%B4)>

국가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이며, 4월에 꽃이 피며, 열매는 처음에 연녹색이지만 가을에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측백나무란 이름은 ≪본초강목≫에 잎이 옆으로 자라기 때문에 붙었다고 적혀 있다.

작고 납작한 비늘 모양의 잎이 나란히 포개져 있어서 보통 바늘잎나무와는 다르다.

 

측백나무의 고향에 대해서는 중국이라는 주장과 한반도에 본래부터 자라던 주장이 맞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측백나무는 대체로 정선, 영월, 단양, 대구, 안동, 영양 등의 석회암 지대나 퇴적암 지대 절벽에서 자란다. 중국 주周나라 때 임금 능에는 소나무, 왕족 묘에는 측백나무를 둘레나무로 심도록 하여, 소나무 다음으로 대접 받는 나무이기도 했다.

또 측백나무는 소나무와 잣나무와 함께 선비의 절개와 고고한 기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나무다.

 

1962년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대구 도동道洞 향산香山의 측백나무 숲은 나무 높이가 5~7미터 정도되는 700여 그루의 나무가 절벽에서 자라고 있으며, 소나무, 말채나무, 느티나무 등이 어우러져 있다.

주변 숲은 함부로 나무를 베어 황폐해졌지만 절벽 바위틈에 자라는 측백나무 숲은 베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을 수 있었다.

천연기념물 지정 당시에는 달성군에 속해 있어 '달성의 측백수림'으로 불렸었다.

 

서울 중화심으로 이루어지는 우리의 문화정책에도 불구하고 1호가 지방에 있다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기 때문에, 도동의 측백나무 숲이 관심을 끌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이 측백나무 숲은 조선 초기 문신 서거정(1420~1488)의 ≪사가집四佳集≫에 실린 대구십영大丘十詠의 하나인 제6영 북벽향림北碧香林이란 제목으로 시를 읊었다.

 

"절벽의 푸른 삼나무[곧게 뻗은 측백나무를 의미]는 기다란 옥삭玉槊[벽옥碧玉으로 만든 창의 긴 자루] 같은데 

                                                                 <고벽창삼옥삭장 古璧蒼杉玉槊長>

  거센 바람 끊임없이 사계절이 향기롭구나  <장풍부단사시향長風不斷四時香>

  정성스레 다시 더욱 힘들여 가꿔 놓으면    <은근갱착재배력慇懃更着栽培力>

  맑은 향기를 온 고장이 함께 할 수 있으리  <류득청분공일향留得淸芬共一鄕>"

 

※출처

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362200010000

2. 박상진 교수의 나무세상 webbuild.knu.ac.kr/~sjpark/v1/bbs/bbs.php?cmd=view&board_name=b22&bid=48&count=y

3. 문화재청, '문화재 이야기 여행 천연기념물 100선', 2015.

4. 위키백과 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_%EB%8F%84%EB%8F%99_%EC%B8%A1%EB%B0%B1%EB%82%98%EB%AC%B4_%EC%88%B2

 

2021. 3. 9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