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23. 1/14(토) 1150차 서울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본문
산책로
잠실역 7번-올림픽로-올림픽공원 세계평화의 문-서울의 만남 성화-몽촌토성 산책로-올림픽수영경기장 앞-북 2문-성내올림픽파크 한양수자인아파트 앞-(택시)-석촌호수 서호 남쪽 흥부골돼지갈비(5km, 1시간 30분)
![](https://blog.kakaocdn.net/dn/KqkEc/btrWrayMbou/5CAcgR51KeOVKeYaqSKf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zSRZ/btrWtfzmEBp/WOMEdn2uK2TtvD3RopcJT1/img.jpg)
산케들
산들, 正允, 大谷, 百山, 牛岩, 慧雲, 回山, 새샘(8명)
새해 정월 두 번째 산행지는 하남 금암산이었는데, 비 때문에 혜운 회장이 아침 일찍 보낸 카톡에 올림픽공원 산책 후 영화 보러가자는 글이 올랐다.
집을 나서니 모자를 쓰면 느끼지 못할 정도의 실비(이날 강우량은 1.6mm)가 내릴 뿐인데다 5도의 기온(이날 최고기온 8.4도)에 바람도 없어 질퍽한 흙길만 아니면 트레킹에는 별 문제가 없을 듯하다.
한강 남쪽인 잠실역 7번에 모습을 드러낸 산케 여덟 모두가 한강 남쪽 거주자인 건 우연? 필연?
혜운 회장이 오늘 산행지를 원 계획대로 할 것인지 아니면 올림픽공원으로 할 것인지와, 만약 올림픽공원을 걷는다면 잠실롯데시네마에서 영화 '영웅'을 볼 것인지를 결정하자고 제안한다.
산케들이 의견을 주고받은 결과 비가 와서 질퍽질퍽한 산길을 걷는 것보단 올림픽공원 산책하는 것으로 하고, 영화 관람은 산책이 끝난 다음 영화 보고 싶은 산케들만 가는 것으로 합의를 봤다.
10시 5분에 잠실역을 출발하여 올림픽로를 따라서 올림픽공원 건너편 횡단보도에 이르니 올림픽공원을 상징하는 세계평화문의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brA7mT/btrWq3T1H8N/pZH12eo2tTVuojkUnGqk7K/img.jpg)
올림픽공원 정문에 해당하는 평화의 문의 정식 명칭은 세계평화의 문이다,
평화의 문으로 들어가기 전, 문 앞 평화의 광장에 서서 평화의 문, 오른쪽에 보이는 올림픽공원 표지판, 그리고 왼쪽에 있는 88 서울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호돌이와 2018 평창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수호랑(참가자와 관중 모두를 보호한다는 '수호'와 정선아리랑의 '랑'의 합성어)을 배경으로 인증샷부터 먼저 만들었다.
![](https://blog.kakaocdn.net/dn/11RnD/btrWqPBGUrl/g5zfGZHQPvmbn9UDo9K6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6gIRQ/btrWqCJmULq/0U6QwOukYXhHuQs8eJTZZk/img.jpg)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 추천하여 선정했다는 올림픽공원 9경 가운데 첫 번째인 1경 '세계평화의 문'은 김중업 건축가의 작품인데, 정작 김중업은 준공 4개월 전에 세상을 떠나 완성된 평화의 문을 보지 못했다.
높이 24m, 폭 37m, 지붕 길이 62m의 크기인 평화의 문은 한민족의 우수성과 저변에 자리한 우리 얼을 표현한 작품으로서,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날개를 편 모습을 하고 있다.
처마 모양의 지붕 아래쪽에는 서양화가 백금남이 고구려 강서대묘의 사신도四神圖(왼쪽 지붕 앞 백호 뒤 청룡, 오른쪽 지붕 앞 주작 뒤 현무)를 단청으로 입혀 놓았다.
좌우로 나뉜 처마 모양 지붕을 연결하는 보 앞에는 올림픽을 상징하는 올림픽 엠블럼 Olympic emblem이 붙어 있다.
문의 기둥 앞에는 올림픽 당시 대통령 노태우가 쓴 글이 반구 화강암에 새겨져 있는 '서울올림피아드 기념비'가 있다.
그리고 문의 한가운데인 네 기둥 사이에는 88올림픽 당시의 성화로 만든 '평화의 성화'가 지금도 타고 있으며, 문의 좌우 양쪽으로 화강암 기둥위에 탈을 올려놓은 '열주탈'이 두 줄씩 서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Rwm4J/btrWqq3jbR1/wwZ1wVVUipkQKDpLvYMT7k/img.jpg)
인터넷에서 찾은 위 사진에 보이는 사신도 단청 중 왼쪽 앞 백호와 오른쪽 앞 주작(사진 출처-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96357)
![](https://blog.kakaocdn.net/dn/Io7mH/btrWp0cFDvt/VRSOMKMdxn0L7PSdaXRJ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eZOGp/btrWnox9d8e/QA7wkz1QWLeFO3XgVlbG21/img.png)
위 사진에 보이지 않는 사신도 단청 중 왼쪽 뒤 청룡과 오른쪽 뒤 현무(사진 출처-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96357)
![](https://blog.kakaocdn.net/dn/U934o/btrWmnsGiBS/5bH6gPTQr3MEP1Alzauz9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GJ17/btrWlkJxOoH/A0QAIXgFhk2orlOGS9wShK/img.png)
평화의 문 앞에 있는 88올림픽 당시 노태우 대통령이 쓴 '인류에 평화를 민족에 영광을'이라 쓴 글이 반구 화강암에 새겨진 기념 조형물인 서울올림피아드 기념비
![](https://blog.kakaocdn.net/dn/b06lSr/btrWqDBvYG1/tPopXUthpnxYcOZbAK2tik/img.jpg)
평화의 문 정중앙에서 타오르고 있는 평화의 불
![](https://blog.kakaocdn.net/dn/rXIm6/btrWqQ8rZy5/QoRkl1trGjRm9xRvaQmu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q1gY/btrWopcIpX6/TXCAQbYrWEV9sIlnUd3Ze0/img.jpg)
평화의 문 좌우로 30개 씩 두 줄로 모두 60개가 화강석 기둥 위에 서 있는 청동주물제 열주列柱탈은 조각가 이승택의 작품이다.
익살스러운 우리 민족 고유의 얼과혼이 담긴 전통 민속탈을 모티브로 하여 만든 것으로, 탈의 앞뒤 모습이 모두 다르므로 60개 120면이 제각각 서로 다른 특유의 해학적 얼굴을 하고 있다.(사진 출처-http://perfume700.tistory.com/4137)
![](https://blog.kakaocdn.net/dn/bEGYwo/btrWsT4dfPq/KPKWbyCzr7ZVcyHxVIG5C0/img.png)
평화의 문 뒤쪽 평화의 광장 끝에는 기념비가 하나 서 있고 그 뒤로 엄청 많은 깃발들이 휘날리고 있다.
이 화강암 기념비는 '서울의 만남'이란 제목의 기념 조형물로서, 주위 바닥을 빙 돌면서 5개의 공 모양의 조형물로 오륜을 상징하였고, 바닥에는 우리나라의 고유인 돌무더기 성황당을 마련하여 88올림픽 참가국인 160개 국에서 가져온 4천 개의 '세계의 돌(만국석萬國石)'을 모자이크 형식으로 콘크리트에 기단에 박아놓았다.
따라서 이 서울의 만남은 서울올림픽에서 세계인들의 만남을 상징하는 것이다.
당시 이 돌을 모으기 위해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는 돌의 축제 Stone Festival를 열었다.
또한 평화의 광장 맨 끝에는 엄청 많은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이것은 세계의 돌(만국석)과 함께 세계인들의 만남을 상징하는 160개 국의 깃발인 '세계의 국기(만국기萬國旗)'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Dd4R6/btrWsjB1guL/lA3Kjl5hRLYlSbrkk9za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HJed9/btrWr6bE7xr/wwNXbaNgYcs2pJoBhKeVH0/img.jpg)
인터넷에서 찾은 올림픽 기념조형물 서울의 만남 바닥에 4,000개의 돌이 박혀있는 모습(사진 출처-https://m.blog.naver.com/kimrg/220744614293)
![](https://blog.kakaocdn.net/dn/BDAS4/btrWoqvSJVu/QmZcGWQ7avRXWm9Hi0Kifk/img.png)
올림픽공원의 산책로인 몽촌토성 산책로 들머리로 들어간다.
![](https://blog.kakaocdn.net/dn/bVfaz0/btrWrIvgstx/QwCKmPylbnCiGYlYkEJdEk/img.jpg)
위 사진의 들머리 오른쪽 잔디밭에는 올림픽공원 4경인 조각 작품 '대화'가 있다.
몹시 사이가 좋지 않아 매일 싸움만 하는 쌍둥이가 대화를 단절하자 이에 분노한 신이 벌로 눈을 빼앗아 서로 볼 수 없게 만든 뒤 평생 옆에 붙어 대화를 하도록 했다는 알제리 신화에 바탕을 둔 작품이다.
입은 다물어져 있지만 서로를 향해있는 쌍둥이의 모습에서 '말하기보다는 먼저 경청하는 것이 대화의 첫걸음’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고, 또 서로 이야기를 잘 듣기 위해 머리가 포개질 정도로 가까이 다가간 모습이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듯하다.
이 작품을 통하여 이 작품을 만든 알제리 작가는 서울올림픽에서 만나는 모든 지구인들이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자아를 실현하고 마침내 자신을 초월할 수 있음을 믿는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XHnir/btrWnoroXsL/Q8WEUrZAaLKKe8nOQxt4YK/img.jpg)
올림픽공원의 핵심이자 최고의 명소인 5경 몽촌토성夢村土城 산책로 오르는 계단.
사적 제297호 몽촌토성夢村土城은 한성백제시대의 토성으로 하남위례성의 대피성인 남성(본성은 북성인 풍납토성)으로 추정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문제는 아직까지 도성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궁궐터나 건물터와 같은 유적, 그리고 왕실에서 사용되는 유물이 발굴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성벽 둘레 2,285m, 성벽 높이 6.7m, 성벽 안쪽 면적은 216,000평방미터의 규모이며, 북벽의 단을 쌓은 곳에는 울짱(나무 울타리)을 세우고 그 외곽에 인공호수인 해자(몽촌해자라 부름)를 만들어 외부 침입에 대비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xXQ7e/btrWsj26kAu/7LkMXyRf2UmdE1KjQE9J8K/img.jpg)
10시 38분 몽촌토성 산책로 오르는 계단 정중앙에는 백제 13대 근초고近肖古왕(재위 346~375)이 왜왕에게 하사했다고 전해지는 7개(七)의 가지(支)처럼 칼날(刀)이 달려있는 칠지도七支刀(일본 국보 고고자료 제15호) 그림과 해설이 맨 아래 계단부터 끝 계단까지 나누어 붙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U3GQy/btrWrq2v7h6/3RsyRy5TfTQ3vxROnVE1HK/img.jpg)
몽촌토성 위로 난 산책로를 따라 북쪽을 향해 걸어간다.
![](https://blog.kakaocdn.net/dn/bQ0E9I/btrWqP2H4UC/AwLaPd8F66MCH9xtmuPgZk/img.jpg)
몽촌토성 산책로 위에서 걷기 시작하면서 왼쪽으로 내려다보니 칠지도 계단과 남쪽 잔디광장 뒤쪽에 지붕이 비스듬히 기운 램프 ramp 모양의 건물 한성백제박물관이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kwQbv/btrWtfF75C7/AsVHUkeoB5fov4kuN4KUk1/img.jpg)
그리고 정면으로는 몽촌해자 건너편의 서울올림픽파크텔(가운데 윗 부분이 파란 건물)이, 그 왼쪽에는 리모델링 중으로 건물 바깥에 방지막을 쳐놓은 올림픽회관도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bJkQAw/btrWsU9TRs9/mpNXSOYKdbDtxGkRx5HJd1/img.jpg)
몽촌토성 산책로를 걸으면서 앞을 보니 소나무 숲 뒤로 평화의 광장에 있는 세계평화의 문(뒤쪽)과 세계의 국기(뒤쪽)가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cE59XJ/btrWqDBvZ9w/Vk5lHHznTG9aTlavyn71y0/img.jpg)
몽촌토성 산책로 잔디밭에 서 있는 소나무 가운데 옆으로 누운 소나무의 자태가 가장 멋지다.
![](https://blog.kakaocdn.net/dn/bcjEfk/btrWrrf38C6/om6lqkZFVX5oqlvNRFBmEk/img.jpg)
잔디밭 뒤 언덕 숲 땅 위로 아스라히 깔린 비안개!
![](https://blog.kakaocdn.net/dn/ZBJpr/btrWrqBsUdD/6NTHeNexMfO0WKEBhcRCKk/img.jpg)
산책로를 벗어나 잔디밭 위에서 몽촌토성을 배경으로 만든 또 하나의 인증샷!
![](https://blog.kakaocdn.net/dn/3pc1t/btrWrrtCzf5/KnburPIzSRkdVfLI2p6z1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EyIl/btrWpoSaNxN/2NmwQskdomIF1GXzVGk63k/img.jpg)
산책로 옆 잔디밭에 우뚝 서 있는 황량한 모습의 나무는 580살 묵은 은행나무 보호수로 조선 초기에 심은 것으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dbolmF/btrWopqeBtx/JUihTGYGa17lg5j455aGP1/img.jpg)
몽촌토성 산책로를 내려가면서 보이는 88마당.
![](https://blog.kakaocdn.net/dn/cAbor0/btrWqDaqAAe/r4B2z4c8EquJ5MXw53lRSK/img.jpg)
11시 20분 올림픽수영경기장과 체조경기장 사이를 지나 북2문으로 빠져나가면서 1시간 정도 걸렸던 올림픽공원 산책을 끝낸다.
![](https://blog.kakaocdn.net/dn/nxT8a/btrWqD9jhSW/CuA8rIIKd051cKaNeuqGo0/img.jpg)
북2문 다리 아래를 흐르는 성내천에서 먹이를 찾아다니는 왜가리와 오리들.
![](https://blog.kakaocdn.net/dn/pKqyr/btrWml2IlYK/wu1HkQ49xT2raBw89m3T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P8OA/btrWqRfaqEw/3Jt3nLWTCKlnwyku48TOTk/img.jpg)
북2문을 나와 강동대로를 건너 성내동 성내올림픽파크 한양수자인아파트 앞에서 택시를 타고 우암이 추천한 석촌호수 서호 근처의 돼지갈비집 흥부골 앞에 11시 51분 도착.
![](https://blog.kakaocdn.net/dn/BHw2n/btrWrHQEjEY/Y2lJLKBuJZ8a2uOc5kz1Ek/img.jpg)
잠실에서 가성비 좋기로 이름난 흥부골에서 정윤 전임의 후원으로 맛난 돼지갈비로 뒤풀이.
산케들의 뒤풀이로 처음 갔던 이 식당은 숙련된 도우미가 돼지갈비를 굽고 잘라주는 것 외에도, 후식으로 냉면과 공기밥 된장이 무료이고, 아이스크림과 여러 종류의 커피 제공 등이 좋았다.
뒤풀이하면서 영화 보는 데 대해 의논 결과 '영웅' 상연시각이 2시 30분부터라 표가 있더라도 많이 기다려야 하고 영화를 원하지 않는 산케들도 있어 영화는 각자 알아서 보는 것으로 결정.
사진 찍을 생각 없이 부지런히 먹고 있는 산케들을 고개만 돌리라고 해놓고 셀카로 한 컷 찰칵!
![](https://blog.kakaocdn.net/dn/5UANE/btrWlkJxPg6/I37z24Mpk1ZKRqCcK8DUw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wVQV/btrWp0qhPML/1AudiKz9KlwXSxORZVwVO1/img.jpg)
2023. 1. 16 새샘
'산행트레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2/5(일) 1152차 서울 구룡산 (0) | 2023.02.06 |
---|---|
2023. 1/29(일) 1151차 서울 남산공원 (2) | 2023.01.31 |
2023. 1/8(일) 1149차 서울 안산 봉수대와 자락길 단배산행 (0) | 2023.01.09 |
2022. 12/24(토) 1148차 서울 북한산자락길 (0) | 2022.12.26 |
2022. 12/18(일) 1147차 강화 교동도 송년여행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