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23년 10대 바이오미래유망기술 본문

글과 그림

2023년 10대 바이오미래유망기술

새샘 2023. 3. 27. 21:33

 

국내 생명공학 관련 주요 연구기관 세 곳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Bioscience and Biotechnology(KRIBB),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BPRC),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olgy Information(KISTI)은 공동으로 매년 초마다 ≪○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선정·발표하고 있다.

 

<2023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4개의 기술 분야 즉 기초생명과학 및 공통기반기술 분야인 플랫폼 바이오 Platform Bio의약품 및 보건의료 분야인 레드 바이오 Red Biod농림수축산·식품 및 바이오농업 분야인 그린 바이오 Green Bio산업공정·환경·해양 및 바이오소재 등 바이오화학 분야인 화이트 바이오 White Bio 별로 각각 2~3개의 기술이 포함되었다.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이란 생명현상 연구(생명과학)를 기반으로 하여[바이오], 앞으로 5~10년 이내에 기술적 또는 산업적 실현이 가능하며[미래], 기술적 및 산업적 혁신성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게 전망되는[유망] 기술을 말한다.

 

네 분야별 미래유망기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플랫폼 바이오(기초·기반 생명과학) 분야

 

1. 생체 내 면역세포 실시간 분석 In situ immune cell live imaging/sequencing

 

○다양한 면역세포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관련 유전자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을 분석한다.

복잡한 면역반응과 질환별 면역세포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여 인체 면역 원리를 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활용한다.

 

2. AI 기반 인공 단백질 설계 AI-based artificial protein design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유용한 기능을 보유한 인공 단백질을 설계한다.

○실험적 접근 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설계하여 기존 단백질의 단점을 보완하고, 생산과 유통에 있어 획기적인 장점을 가진 인공 단백질을 제공한다.

 

3. 세포 역노화 Cell rejuvenation

 

세포 재프로그래밍 cell reprogramming 등의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면서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시킨다.

○세포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퇴행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여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고 노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B. 레드 바이오(의약품 및 보건의료) 분야

 

4. 개인 맞춤형 암 백신 Personalized cancer vaccines

 

암 환자별 특이 항원에 대한 자료 분석을 통해 개발된 다양한 형태―DNA, RNA, 펩타이드―의 맞춤형 암 백신을 만든다.

○종양 항원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암 백신 라이브러리 library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치료용 암 백신 및 예방용 암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한다.

 

5. 임상 적용 가능한 유전자편집기술 Clinical grade gene editing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치료 등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고도화시킨다.

보다 높은 유전자 편집 효율성과 안전성을 기반으로 유전자 돌연변이 등 다양한 희귀 및 난치 질환에 대한 임상적 치료 가능성을 제고한다.

 

6. 비침습적 신경조율기술 Non-invasive neuromodulation

 

○인지 기능 저하 등 뇌기능 문제를 부작용과 거부감 없이 회복시킴으로써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접근방법인 비침습적 신경조율기술을 개발한다.

약물이 아닌 국소 신경망 자극을 통해 부작용과 거부감이 적고, 개인의 돌봄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팬데믹 이후 증가하고 있는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C. 그린 바이오(농림수축산·식품 및 바이오농업) 분야

 

7. 배양육/대체육 고도화 Advanced cultured meat/alternative meat

 

○기후 변화, 팬데믹 대응을 위해 동물세포 배양, 식물 유래 단백질 등을 통해 친환경, 고기능성 대체육류를 생산한다.

축산업에 요구되는 자원과 공간, 온실기체 배출을 크게 감축하여 환경을 보호하면서 미래 식량 문제도 해결한다.

 

8.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Biocrusts microbiome

 

생물지각 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체)을 파악하고 개발하여 건강한 토양생태계를 유지시킨다.

○탄소, 질소 등의 생지화학적 순환과 토양 내 영양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토양 안정성 및 동식물 보존 등 건강한 토양 생태계를 유지하고 복원시킨다.

 

 

D. 화이트 바이오(산업공정·환경·해양 및 바이오소재 등 바이오화학) 분야

 

9. 합성생물학 적용 미생물공장 Synthetic microbial factory

 

합성생물학으로 재설계된 생합성 경로를 갖게 만든 생명공학 미생물을 이용하여 천연물질, 화학합성 대체물질 및 유용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비해 목표물질 생산 효율이 높고 여러 종류의 대사반응들이 조합되어 있어 복잡한 물질도 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바이오 제조 역량이 크게 향상된다.

 

10.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건강 및 생체 영향 평가 Microplastics biomonitoring

 

미세플라스틱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장기별 독성 및 유해성 검증을 통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환경 유해인자로 심각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유입량과 잠재적인 악영향에 대한 평가를 통해 환경 및 건강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총서 318권,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2023. 2.

 

2023. 3. 27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