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24. 4/6 여수 금오산 향일암 본문

여행기-국내

2024. 4/6 여수 금오산 향일암

새샘 2024. 5. 6. 10:41

 

여수시에서 가장 큰 섬이며 우리나라에서 9번째로 큰 섬 돌산도突山島 남쪽 끝 향일암로에 자리잡은 금오산金鰲山 향일암向日庵양양 낙산사 홍련암, 남해 금산 보리암, 강화 낙가산 보문사와 더불어 한국의 4대 해수관음기도처 중 하나이다.

조계종 19교구 본사인 구례 지리산 화엄사의 말사로서 '해를 향한 암자'라는 뜻의 향일암은 644년(신라 선덕여왕 13) 원효대사가 원통암圓通으로 창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통암은 그 후 금오암 金鰲庵에 이어 책육암策六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13년(숙종 39)부터 1715년(숙종 41)까지 인묵대사仁默大使가 지금 있는 자리에 지어 '향일암'이라 하였다.

현재 전하는 건물은 모두 1986년에 다시 지었으며, 2009년 화재로 대웅전을 비롯한 많은 건물들이 불탔다.

화재 후 3년 만인 2013년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향일암 불전배치도(출처: 향일암 홈페이지 http://www.hyangiram.or.kr/bbs/content.php?co_id=1040)

 

일주문 계단 왼쪽 옆에 매표소가 있고, 계단 오른쪽 옆에는 돌로 만든 향일암 안내석이 서 있다.

 

일주문 오르는 계단과 ' 향일암 소개 푯말' 그리고 '남해제일 관음성지 향일암' 안내석.

 

안내석 옆에 아래쪽에 새겨진 '바다에서 떠오르는 일출이 아름다운 곳 향일암' 안내 푯말

 

향일암 안내석에 소개된 창건 연대는 자료에 나와 있는 644년(선덕여왕 13)이 아닌 659년(선덕여왕 8)로 되어 있지만 잘못된 것이다.

왜냐면 659년은 태종 무열왕 6년이고 선덕여왕 8년은 639년이기 때문이다.

 

벚꽃이 만발한 일주문 오르는 계단 중간의 불상 뒤에 선 산타

 

향일암 일주문

 

일주문을 지나서 계단 한가운데 또 하나의 불상이 있다.

 

일주문을 지나서 계단에 서 있는 또 다른 문인 향일암 등용문 아래 용이 떠받치고 있는 여의주 조각상이 있다.

통상적인 사찰의 4문(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 또는 해탈문)이 아닌 등용문은 자신이 원하는 시험에 합격을 기원하는 용도로 향일암에서 세웠을 것이다.

 

계단을 다 오르면 대웅전, 해탈문, 전망대로 가는 이정표가 나온다.

 

해탈문 가는 길의 바라밀다원茶院에는 침향쌍화차 광고판이 붙었다.

 

절의 규모가 작은 탓에 첫문인 일주문 다음에 바로 마지막 문인 해탈문(불이문)이 나온다.

그것도 인공으로 만든 문이 아니라 절벽의 커다란 암석 사이로 난 좁은 바위 틈 즉 돌문이다.

해탈문 왼쪽 앞에 서 있는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사찰로 들어가는 산문山門 가운데 하나로 불이문不二門이라고도 한다.

불이不二는 분별심을 내지 않고 평안의 경지를 뜻하는데, 이러한 상징적인 의미 때문에 해탈문을 지나면 바로 부처님을 모신 불전(대웅전大雄殿)이 나온다."

 

해탈문을 지나 불전으로 가는 길에 핀 동백꽃

 

불전 오르는 계단 아래쪽의 향일암 종무소

 

향일암의 주불전인 대웅보전 앞마당.

대웅보전 왼쪽에 직각으로 서 있는 왼쪽 건물이 범종각이고, 오른쪽에 직각으로 서 있는 건물은 기도접수처이다.

 

주불전인 대웅보전

 

12년 전인 2012년 8월에 새샘이 향일암에 들렀을 때는 주불전主佛殿(중심 불전)의 편액은 지금의 '대웅보전'이 아닌 '원통보전'이었다.

그것은 주불전 한가운데 모신 본존불本尊佛(으뜸부처)이 석가모니불이 아닌 관세음보살이기 때문이다.

대웅보전에 모신 삼존불은 가운데 본존불 관세음보살, 오른쪽(좌협시불左夾侍佛/脇侍佛) 관세음보살, 왼쪽(우右협시불) 지장보살이다.

 

범종각

 

대웅보전 오른쪽의 기도접수처 건물 안에 향일암종무소 편액과 영구암靈龜庵 현판이 나란히 걸려 있다.

'靈龜庵' 편액은 경봉鏡峰스님(1892~1982)이 뒷산에 있는 바위가 거북 등처럼 생겼다 하여 절 이름을 영구암이라 하면서 써준 것이라고 한다.

 

대웅보전 왼쪽 바로 옆길의 이정표를 따라 바위틈 사이로 보이는 좁은 돌문 계단을 따라 관음전과 해수관음보살상 있는 곳으로 오른다.

 

바위틈 돌문을 하나 더 지나면...

 

관음전 오르는 계단이 나온다.

 

계단을 오르면서 바라본 관음전

 

관음전 오른쪽 옆 모습

 

관음전은 보통 주불이 아닌 관음보살상만을 모신 전각이다.

향일암 관음전은 원효대사가 이곳에 원통암을 창건한 터로 알려졌다.

 

관음전의 관음보살상과 탱화(불상 뒤에 걸린 불화)

 

관음전 왼쪽 바깥벽 탱화

 

관음전 왼쪽 마당에 자리한 해수관음보살상.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이 해수관음보살상으로 향일암이 한국의 4대 해수관음기도처로 꼽히는 것이다.

해수관음보살상 오른쪽 옆에 있는 노란 기도문하트가 많이 붙은 몸통줄기가 두 개로 뻗은 큰 나무는 같은 뿌리에서 나온 나무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각기 서로 다른 나무다.

왼쪽 후박나무와 오른쪽 동백나무의 뿌리가 땅속에서 하나로 붙은 뒤 땅 위로 올라올 때는 각각의 몸통줄기가 뻗어나온 것.

이렇게 두 나무의 뿌리만 합쳐진 나무를 연리근連理根, 두 나무의 줄기만 합쳐진 나무를 연리지連理라 하며, 두 형태의 나무 모두 연리목連理木 즉 사랑나무라고 부른다.

 

해수관음보살상 앞 난간에는 하트 기도문이 주렁주렁 매달려있고, 난간 뒤로 섬 하나 보이지 않는 망망대해가 펼쳐진다.

 

관음전 앞길 난간 위에 빽빽이 걸린 하트 기도문

 

관음전 앞에서 내려다본 원효대사의 좌선대(바로 앞에 있는 군데군데 흰색을 띤 큰 바위)와 주황색 지붕의 삼성각, 그리고 향일암 앞바다(사진 출처-위키백과 향일암 https://ko.wikipedia.org/wiki/%ED%96%A5%EC%9D%BC%EC%95%94).

 

관음전에서 내려다보이는 전망대인 일출마당으로 내려간다.

 

일출마당에서 올려다본 원효대사 좌선대(바로 앞 큰 네모바위)와 그 뒤 관음전(흰색 난간 뒤 주황 지붕 전각)

 

일출마당에서 조망한 앞바다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일출마당과 관음전

 

대웅보전 있는 곳으로 다시 올라가는 길에 보이는 관음전

 

대웅보전에서 올랐던 관음전 가는 길 입구로 나와 바로 오른쪽 옆 뒤쪽 계단을 올라가니 '비밀의 길'이란 이정표가 있다.

2020년 5월에 만들어졌다는 이 비밀의 길을 따라가보니 관음전 오르는 길과 비슷하게 바위틈으로 난 돌문과 돌계단으로 이어지는 좁은 길로서 일출광장 앞까지 가는 길이었다.

 

비밀의 길을 되돌아나와 범종각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천수관음전으로 간다.

 

천수관음전에는 가운데 천수천안관세음보살, 왼쪽(우협시) 용왕대신, 오른쪽(좌협시) 남순동자를 모신다.

천수천안관세음보살千手千眼觀世音菩薩은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으로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 용왕대신龍王大神은 바다의 신 즉 해신海神, 그리고 남순동자南巡童子는 남방을 순행하면서 53명의 선禪지식을 두루 섭렵한 동자童子다.

용왕대신과 남순동자가 관세음보살 양쪽에서 협시하고 있는 것은 용왕대신처럼 바다와 같이 깊고 넓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심과 동자와 같은 해맑은 미소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세음보살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천수관음전 아래쪽에 보이는 바위 뒤에 템플스테이 전각이 있는데, 일반인 출입을 막아놓아 내려가보지 못했다.

 

천수관음전과 범종각 사이의 500년 묵은 팽나무

 

대웅보전 앞마당으로 올라와 기도접수처 옆 난간에서 내려다본 돌산도 거북목

 

대웅보전(왼쪽)과 기도접수처(오른쪽) 사잇길 입구에 있는 불교용품점 뒤 계단 위 전각이 삼성각이다.

 

삼성각 가는 계단 옆에 놓인 다양한 모습의 작은 불상과 돌거북들

 

삼성각 가는 길의 경전바위.

가운데가 약간 갈라진 경전바위는 아래쪽 바위 표면에 보이는 가로세로로 긁혀 있는 자국들이 마치 경전의 글자를 새긴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북두칠성인 칠성신(칠성부처), 산신령인 산신, 깨달음의 경지에 오른 16나한 중 하나인 나반존자 독성의 세 분을 모신 삼성각은 불교가 우리 전통신앙인 삼신신앙을 받아들인 것이다.

 

스님들의 생활 공간인 삼성각 옆 요사채인 책육당과 출입문인 반야문, 그리고 길옆 기단 위에 놓인 돌거북들.

 

책육당에서 찻길로 내려가는 계단 옆 돌거북들

 

향일암에서 내려가는 찻길.

주차장에서 향일암으로 올라올 때는 향일암으로 바로 오르는 계단길로 왔지만 내려갈 때는 마을을 거쳐 빙 둘러서 내려가는 이 콘크리트 포장길을 따라간다.

 

찻길 난간에서 내려다본 거북목

 

콘크리트 포장길

 

찻길 오른쪽 옆으로 향일암 계단길이 보인다.

 

향일암 주변 주택과 상점들

 

찻길 왼쪽 언덕 위에 활짝 핀 벚꽃

 

찻길과 계단길이 만나는 지점에서 1시간 30분에 걸친 향일암 탐방 끝!

2024. 5. 6 새샘과 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