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18. 1/21 924차 서울 백사실계곡-북악하늘길 본문
트레킹로: 창의문-원각사앞-백사실계곡-북악하늘길-북악팔각정-북악하늘길-길상사(7km, 3시간)
산케들: 又耕, 晏然, 素山, 丈夫, 松潭, 長山, 慧雲, 회산, 德仁, 空華, 元亨, 새샘(12명)
오늘은 백사실계곡을 거쳐 북악하늘길을 걷는 트레킹날이다.
최근 며칠간은 낮기온이 영상을 기록하면서 추위없이 지내고 있고, 오늘도 그런 날씨가 이어진다.
어제가 대한이었는데 역시 "포근하지 않는 대한은 없다"는 옛말 그대로다.
북악산길 산책로 안내지도
0930 경복궁3번출구에서 모인 12명의 산케들이 1020번 버스를 타고 출발점인 창의문/윤동주문학관에서 0956 하차.
창의문彰義門은 서울성곽 4소문 중 하나이며 자하문이라고도 부른다.
4소문 중 유일하게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문이다.
1018 백사실계곡 들머리 직전의 멋들어진 시 한구절과 그림이 걸린 부암동 백석동길 목조건물
백사실계곡과 계곡을 관통하는 개천인 백석동천 - '백사실계곡'이란 이름은 선조 때 영의정까지 지냈던 문신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의 별서別墅(농막)가 있던 실(마을, 동네)의 계곡'이란 의미이다.
이 계곡을 흐르는 개천이 백석동천白石洞川이며, 이 일대를 백석동천白石洞天이라 부른다.
백석은 백악산 즉 북악산의 별칭이고 동천은 산천으로 둘러싸인 경치좋은 곳을 뜻하므로 '산과 물로 둘러싸인 경치좋은 북악산지역'이 바로 백석동천인 것이다.
서울시는 2009년 백사실계곡 일대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도룡농 서식처가 있으며 버들치와 가재 등도 서식한다.
1024 백사실계곡과 백석동천
별서터(오른쪽)와 연못(왼쪽)
1031 백사실계곡에서 북악하늘길로의 오름길
1106 북악하늘길로 들어서서 북악팔각정에 도착하기전 나무데크에서의 과메기 간식 시간
북악팔각정 앞 조망점에서 바라본 북한산 - 맨 왼쪽의 족두리봉부터 비봉능선의 향로봉-비봉-사모바위-승가봉과 의상능선 최고봉인 문수봉, 그리고 보현봉과 형제봉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북한산을 배경으로 열두산케가 다함께 오늘 트레킹의 인증샷을 남겼다.
1201북악팔각정을 출발하여 북악하늘길을 따라 성북동 방향으로 가는 도중의 하늘마루 쉼터 - 여기서 남쪽으로 질러 내려가는 길이 일명 121사태때 북한공비 김신조일당이 청와대를 향해 내려왔던 '김신조루트'이다.
1215 북악하늘길 다모정 쉼터
1217 성북동 방향 내림길에서 바라본 정릉 일대와 국민대 캠퍼스
1236 오늘 트레킹의 종점인 길상사. 여기서 성북마을버스 02번을 타고 한성입구역으로...
1254 한성대입구역에서 내려 뒤풀이식당 가는 도중에서 만난 성북천 오리들
1411 한성대입구역 성북천변 고기집에서의 뒤풀이를 즐기는 산케들
2018. 1. 22 새샘
'산행트레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3/24 932차 강릉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0) | 2018.03.26 |
---|---|
2018. 3/18 931차 서울 은평둘레길-북한산 둘레길 구름정원길 8구간 (0) | 2018.03.21 |
2018. 1/7 922차 서울둘레길 중 은평둘레길 봉산 단배산행 (0) | 2018.01.08 |
2016. 12/18 873차 안산 구봉도 대부해솔길 1코스 (0) | 2017.12.16 |
2017. 10/28 913차 서울 월드컵공원(하늘공원-노을공원) (0) | 2017.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