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신종 바이러스 이름 짓기 본문

글과 그림

신종 바이러스 이름 짓기

새샘 2020. 3. 28. 22:54

2020년 1월 7일 중국 보건 당국이 바이러스 유전체 genome 전체 염기서열을 공개한 후,

이 신종바이러스는 우한바이러스 Wuhan virus 또는 우한 폐렴 등으로 불렀으나,

1월 13일 WHO에서는 '20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019-Novel Coronavirus(2019-nCoV)'로 명명하고

사용하기 시작했다.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처럼 WRS-CoV[Wuhan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우한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등으로 명명될 것이라는 많은 과학자들의 예상을 뒤집고

WHO가 이렇게 이름 지은 이유는 2015년 신종 전염병 명명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면서,

그 조건에 맞지 않는 '우한'이란 지역 이름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긴급조치였다.

 

새로운 명명법은 질병의 이름이 없는 신종 감염병에 해당하며, 지리적 위치, 사람 이름, 음식이나 생물종,

문화, 인구, 산업 또는 직업이 들어가는 단어를 피해야 하며,

과도한 공포를 유도하는 단어도 배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월 11일 WHO는 2019-nCoV의 새로운 이름은 'Coronavirus Disease(COVID)-2019

[코로나바이러스 질병-2019]'로 명명하고,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코로나19'로 명명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국제바이러스 분류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코로나바이러스 연구 그룹(Coronaviridae Study Group, CSG)에서는 COVID-19의

바이러스 이름은 SARS-CoV와 관련되었다는 의미로 'SARS-CoV-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라는 명명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3종의 명명 역사(출처의 영문 그림을 새샘이 번역)

 

ICTV에 따르면, 신종 감염병의 경우 WHO가 첫 번째, 전문가 그룹이 두 번째,

바이러스인 경우 ICTV가 순차적으로 명명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과거 MERS의 경우는 바이러스 이름이 먼저 명명된 반면, SARS는 감염병 이름이 먼저 명명되었다.

 

이번 COVID-19의 경우는 감염병 이름과 바이러스 이름이 거의 동시에 만들어졌다.

'COVID-19'나 '코로나19'는 감염병 이름이며,

SARS-CoV-2는 코로나19란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인 바이러스 이름이다.

 

SARS-CoV-2의 구조 전자현미경 사진(출처의 영문 그림을 새샘이 번역)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 envelope에 돌기[스파이크 spike, S] 단백질이 전자현미경에서

왕관 모양을 띄는 특징을 가진 단일가닥 외피보유 RNA 바이러스로서 60~140nm

[1nm는 10억분의 1 m]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게 알파-, 베타-, 감마-, 델타-의 4개 무리로 나뉘는데,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감염되는 것은 알파-와 베타-의 2종류 코로나바이러스 무리이며,

지금까지 사람에게 감염된 코로나바이러스(HCoV)는 모두 7종 species이다. 

이들 코로나바이러스는 소, 낙타, 고양이, 쥐, 박쥐 등의 동물을 매개로 하여 사람에게 전파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 SARS-CoV,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MERS-CoV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 무리에 속하며, 급성 호흡기 증상이 특징인 심각한 전염병을 유발한다. SARS-CoV와 MERS-CoV 치명률은 각각 최대 10%와 35%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인 SARS-CoV-2COVID-19 발생 초기 중국 우한의 비정형 폐렴  환자에게서

분리한 유전체 염기서열이 SARS-CoV의 유전체와 82%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어

SARS-CoV와 같은 베타-코로나바이러스 무리로 확인되었다.

 

※이 글은 더나은사회실험포럼의 재미한인연구자 문성실이 쓴 'COVID-19 유행 및 연구 동향'

(BRIC View 동향리포트, 2020)에서 발췌한 것으로, 출처의 영문 그림을 새샘이 번역하여 싣고

일부 내용은 수정·보완하였다.

 

2020. 3. 28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