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웨덴
- 미국 플로리다
- 오스트리아
- 일본 규슈
- 폴란드
- 알래스카 내륙
- 하와이
- 덴마크
- 미국 알래스카
- 싱가포르
- 영국 스코틀랜드
- 중국 베이징
- 미국 옐로우스톤
- ㅓ
- 체코
- 영국
- 알래스카
- ㅣ
- 영국 스코틀랜트
- 알래스카 크루즈
- 헝가리
- 독일
- 미얀마
- 프랑스
- 울릉도
- 노르웨이
- 남인도
- 미국 하와이
- 러시아
- 미국 요세미티
- Today
- Total
새샘(淸泉)
2020. 4/15 신안 흑산도-홍도 여행 2일째 셋글: 홍도2[유람선 관광2-거북바위, 만물상바위, 부부탑, 석화굴, 독립문바위, 슬픈여, 공작새바위, 녹섬 여자바위] 본문
2020. 4/15 신안 흑산도-홍도 여행 2일째 셋글: 홍도2[유람선 관광2-거북바위, 만물상바위, 부부탑, 석화굴, 독립문바위, 슬픈여, 공작새바위, 녹섬 여자바위]
새샘 2020. 6. 9. 12:17흑산도-홍도 여행 전체 여행로
4/14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뉴엔젤호)-흑산도-4/15 흑산도-(뉴돌핀호)-홍도-4/16 홍도-(파라다이스호)-목포
4/15 홍도 유람선 관광 여행로
홍도1구 유람선 선착장-방파제 등대-도승바위-남문바위-병풍바위-실금리동굴-외계인바위-흔들바위-곰바위-기둥바위-시루떡바위(상제비여)-주전자바위-악어바위-원숭이바위-도담바위-몽돌해수욕장-거북바위-만물상바위-부부탑-석화굴-홍도2구-홍도항로표지관리소-진섬-독립문바위-높은섬-탑섬-슬픈여-공작새바위-녹섬 여자바위-발전소-홍도1구 유람선 선착장
중심지인 홍도1구의 남쪽 해안인 남동안, 남안, 남서안에 이번에는 북쪽 해안으로 올라간다.
유람선 출발항이었던 홍도1구 동안의 연안여객선터미널 뒤쪽(서쪽)의 홍도1구 서안의 몽돌해수욕장에서부터 시작.
도담바위를 넘자마자 움푹 들어간 아늑한 만은 연안여객선터미널 뒤쪽(북쪽)의 홍도해변이며, 선착장과 몽돌해수욕장이 있어 모텔 건물이 여러 채 모여있다.
아래 사진 한가운데 우뚝 선 하얀 4층 건물은 남도횟집모텔, 그 왼쪽은 흑산초등학교 홍도분교.
홍도해변의 북쪽 끝 바닷가에 홍도10경 중 제9경 거북바위가 고개를 북쪽으로 쑥 내밀고 있다.
거북바위는 홍도를 수호하는 수호신으로 용신을 맞이하고 액귀를 쫓고 섬사람들의 생사화복을 관장하며 풍어와 안전항해를 보살펴준다고 믿고 있다.
거북이 머리쪽에서 본 거북바위
거북바위와 만물상 사이의 해변 위로 보이는 홍도 최고봉인 해발고도 368m 깃대봉
해식동굴
홍도 10경 중 제5경인 만물상바위는 바닷물 염분에 의해 암석 표면이 풍화되어 생긴 이른바 벌집풍화 honeycomb(일명 타포니 tafoni) 지형으로서 만 가지 형상이 뒤섞여 있는 자연예술 조각공원이다.
바위에 꽃이 핀 것 같다고 하여 꽃바위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에서 찾은 만물상바위(출처-국가지질공원
http://www.koreageoparks.kr/cms/article/view.do?postNo=60&pageId=KR0307010000&cateNo=8)
만물상바위를 지나 뒤돌아본 모습
홍도 10경 중 제7경 부부탑은 2개의 바다기둥 즉 시스택 sea stack이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신부에 해당하는 것은 풍화·침식되어 아랫부분만 남아 있고 신랑에 해당하는 것만 남아 있어 일명 남근바위 또는 서방바위라고 한다.
만물상바위와 석화굴 사이의 구멍 뚫린 해식동들
해안절벽의 조개껍질 주름 문양의 수평층리
석화굴石花窟은 홍도 10경 중 제3경이다.
홍도 유일의 동굴 천장에서 종유석이 자라고 있는 해식동이다.
종유석이 석양 노을을 받으면 꽃같이 아름답게 보인다 해서 돌꽃굴 즉 석화굴이란 이름이 붙었다.
동굴 천장의 종유석은 해마다 아래를 향해 20~30㎝ 정도 자란다고 한다.
홍도 북단에 위치한 홍도의 2번째 마을인 홍도2구
홍도2구 마을을 지나 북쪽 해안 끝자락에 서 있는 홍도항로표지관리소 등대와 바로 앞에 있는 진섬
홍도2구에서 해상 1.5km 떨어진 앞바다 섬인 독립문바위(왼쪽 바위섬 아래 큰 구멍이 뚫려 있음)와 독립문바위보다 훨씬 작은 구멍이 뚫린 높은섬(오른쪽 가장 큰 섬)
홍도 10경 중 제8경 독립문바위는 바위가 독립문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홍도 북쪽에 있어 북문 또는 큰 구멍이 있어 구멍바위라고도 한다.
옛날 중국으로 가는 배들이 이 문을 드나들었다고 한다.
인터넷에서 찾은 독립문바위(출처-신안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tour.shinan.go.kr/home/tour/island_tour/hongdo/gallery/show/37306#none)
독립문바위 북쪽의 높은 섬에도 가운데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아래 사진 왼쪽 앞이 띠섬, 바로 그 뒤에 겹쳐 있어 섬의 오른쪽 끝의 탑 모양만 섬이 탑섬, 그리고 가운데 이름 모를 작은 섬들과 오른쪽의 홍도 바로 앞의 가로로 길죽한 섬이 진섬이다.
왼쪽 끝의 띠섬/탑섬과 오른쪽 끝의 진섬
유람선이 탑섬 가까이 가지 않아 보지 못했던 탑섬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다.
(출처-신안군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photo_gallery/photo_gallery_02/show/37375?content_print=true&)
홍도 10경 중 제4경인 탑섬은 차별침식을 받아 형성된 시스택들의 형상이 탑 모양이나 군함 모양을 닮아 탑섬 또는 군함바위라 한다.
아래의 탑섬은 22층이며, 탑섬을 보고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한다.
홍도 북안의 해안절벽
홍도 북안에는 또 다른 거북바위가 있다.
북안을 지나서는 항로를 남쪽으로 돌려 홍도 북동안을 따라 내려간다.
앞에 보이는 홍도 앞 섬을 지나 5분쯤 가면 바위가 가족을 형성하고 있는 슬픈여가 나온다고 한다.
위 사진의 섬을 지나 남으로 내려가면서 선미에서 바라본 홍도 해변 풍광.
아래 사진의 섬과 위 사진의 섬이 같은 섬이다.
동쪽 바다 저멀리 약 26km 지점에 위치한 흑산도는 실루엣만 보일 뿐이다.
슬픈여를 향해 남으로 가면서 바라본 홍도 최고봉인 깃대봉이 왼쪽 봉우리 바로 뒤 조그맣게 보인다.
홍도 10경 중 제6경인 슬픈여는 해안절벽 앞에 있는 여러 개의 작은 바위로 이루어진 시스택 바위가족이다.
'여'란 암초岩의 '초'에 해당하는 우리말로서 썰물때 바다 위로 드러나고 밀물때 물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를 말한다.
슬픈여는 일곱 남매가 바다에 나간 부모님이 풍랑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자 바다로 걸어 들어가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왼쪽의 큰바위인 부모바위를 중심으로 일곱 자녀의 바위가 동그랗게 모여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상이다.
슬픈여에서 유람선 도착을 기다리고 있는 어선이 한 척 있다.
홍도해안에서 잡은 살아 있는 생선을 선상에서 바로 싱싱한 회로 떠서 판매하는 해상 포장마차다.
슬픈여 주변의 홍도 북동 해안 절벽은 수직절리를 형성하고 있다.
홍도 10경 중 하나 남은 제10경 공작새바위가 보이기 시작한다.
공작새바위는 수직절리가 발달한 해안 침식지형의 바위 모습이 마치 공작새 같은 자태로 보여 붙은 이름.
슬픈여를 지나 홍도1구 유람선 선착장을 향해 가면서 바라본 홍도 북동안의 해식동과 시스택 sea stack
드디어 유람선이 출발했던 홍도1구 선착장이 홍도1구 남안의 녹섬 사이로 보이기 시작.
유람선이 녹섬 앞으로 돌아가니 앞 쪽에 녹섬 등대가 보인다.
녹섬은 네이버 지도에 노적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녹섬을 앞에서 바라보니 섬의 형태가 특이하게도 여자가 앉아서 양 다리를 길게 뻗고 쩍 벌리고 있는 형상이다.
그래서 녹섬과 주변 홍도1구의 항공사진을 네이버지도에서 찾아 캡처하였다.(출처-https://map.naver.com/v5/search?c=13938151.1770310,4121888.2481923,14,0,0,2,dha&p=8FjkOOMfGaY4lbNn6K-Jmg,-42.17,-45.55,80,Float)
녹섬의 두 다리 사이로 보이는 여자바위
녹섬을 지나 돌아본 모습
녹섬 오른쪽(북쪽)을 바라보니 해안에 발전소와 해수 담수화 시설이 있다.
유람선이 출발했던 홍도1구 유람선 선착장으로 들어간다.
유람선이 선착장 부두에 도착함으로써 2시간 동안 홍도 해변을 한바퀴 일주한 유람선 투어 끄~읕!
2020. 6. 9 새샘과 산타
'여행기-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5/8 인천 강화 석모도 낙가산 보문사 (2) | 2020.06.18 |
---|---|
2020. 6/10-11 연천1-고대산 자연휴양림 (0) | 2020.06.15 |
2020. 5/8 인천 강화 정족산 전등사 (0) | 2020.06.06 |
2020. 4/15 신안 흑산도-홍도 여행 2일째 둘글: 홍도1[유람선 관광1-도승바위, 남문바위, 병풍바위, 실금리동굴, 흔들바위, 곰바위, 기둥바위, 시루떡바위, 도담바위] (0) | 2020.06.03 |
2020. 5/8 강화 초지진 초지돈대 (0) | 2020.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