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수면 교육 본문

글과 그림

수면 교육

새샘 2021. 1. 14. 12:40

<사진 출처:  twitter.com/safety900/status/1151290790380838912>

 

우리는 한평생을 살면서 25년을 잠으로 보낸다.

그럼에도 우리는 수면睡眠[잠을 자는 일]의 양과 질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를 알지 못한다.

 

진정한 심수深眠 즉 우리의 피로를 풀어 주고 원기를 회복시켜 주는 깊은 잠을 자는 데 필요한 시간은 하룻밤에 한 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그 깊은 잠은 15분 짜리의 작은 구성 단위로 나뉘어 한 시간 반 간격으로 노래의 후렴처럼 되풀이한다.

 

간혹 어떤 이들은 열 시간을 내리 자고서도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한 탓에 피로가 전혀 풀리지 않은 채로 깨어난다.

그와 반대로, 자리에 눕자마자 깊은 잠에 떨어지는 방법을 알게 되면, 하루에 한 시간만 자면서도 그 기간을 온전한 원기 회복의 시간으로 활용할 있게 될 것이다.

 

어떻게 하면 그런 식으로 수면을 통제할 수 있을까?

 

먼저 자기의 수면 사이클을 알아내야 한다.

그것을 알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예를 들어, 저녁 무렵에 나타나는 갑작스런 노곤함이 한 시간 반 간격으로 다시 찾아온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그 시각을 분 단위까지 기록하면 된다.

만일 저녁 6시 36분에 노곤함을 느꼈다면 다음의 피로감이 찾아오는 시각은 아마도 밤 8시 6분, 9시 36분, 11시 6분 등이 될 것이다.

 

바로 그 시각에 심수 열차가 지나갈 것이므로 때를 놓치지 말고 열차에 올라타야 한다.

 

그 순간에 맞추어 잠자리에 들었다가 자명종을 사용해서라도 반드시 세 시간 후에 깨어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다.

 

이런 방법을 되풀이한다면 우리의 뇌는 차츰차츰 수면의 단계를 압축해서 중요한 부분만을 유지하는 것에 길들여진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아주 적게 자고도 피로를 완전히 풀고 개운한 몸으로 일어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마도 언젠가는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수면을 통제하는 방법을 가르치게 될 날이 올 것이다.

 

※출처: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열린책들, 2011)

 

2021. 1. 14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