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러시아
- 영국 스코틀랜트
- 1ㄴ
- 미국 플로리다
- 덴마크
- 중국 베이징
- ㅓ
- 남인도
- 미국 알래스카
- 하와이
- 스웨덴
- 영국 스코틀랜드
- 프랑스
- 알래스카 크루즈
- 노르웨이
- 일본 규슈
- 울릉도
- 미얀마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미국 옐로우스톤
- 알래스카 내륙
- 오스트리아
- 영국
- 알래스카
- 독일
- 미국 요세미티
- 싱가포르
- 미국 하와이
- Today
- Total
새샘(淸泉)
2000년 이후 서울에서 발굴된 유적들 2: 서울 한양도성1 본문


<2000년 이후 발굴조사 목록 - 서울 한양도성1>

이전에 '서울성곽'이라 하였지만 2011년 이름이 변경되어 지금은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사적 제10호)이란 멋진 이름으로 불린다.
그러나 2000년 이전까지는 한양도성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인 전혀 없었다.
1999년 주한 러시아대사관을 새로 지으면서 발굴 과정에서 한양도성의 일부를 확인했을 뿐이다.
한양도성에 대한 발굴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한양도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하여 도성의 체계적 관리뿐만 아니라 도성에 대한 학술연구와 구조 등을 파악하기 위한 발굴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한양도성의 본격적인 발굴의 시작은 숭례문 주변 지역에 대한 조사부터였다.
먼저 2001년 서소문과 숭례문 사이 구간에 대한 조사가 있었는데, 서소문동 58-58번지 일대에 남아 있는 성벽 유구 구간 3.7미터와 인접한 5.1미터 콘크리트 옹벽 구간에 대한 원형 여부를 확인하는 조사였다.
발굴조사 결과 콘크리트 옹벽 구간은 1960년대 건축물 건축 당시 성벽은 이미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3.7미터 성벽 유구 구간에서는 약간의 성벽 뒤채움석이 보이지만 이미 1960년대 건축 당시 성벽을 잘라내고 다른 석재를 다시 쌓은 것으로 발굴단은 판단했다.

2003년과 2005년에는 숭례문 주변의 대한상공회의소 남쪽 담장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앞서 살펴본 서소문 지역 발굴 구간과 이어지는 곳이다.
2003년 2차에 걸친 조사에서 성벽의 유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아 대한상공회의소 담장을 철거한 이후 2005년에 다시 조사했다.
그 결과, 잔존 성벽 구간에서는 지댓돌(지대석址臺石: 건축물을 세우기 위하여 잡은 터에 쌓은 돌)이 노출되었고, 성벽 뒤채움 부분에서는 판축板築다짐층[판자와 판자 사이에 흙을 넣고 공이로 다진 층]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담장 철거 구간에서는 성벽 유구가 노출되지 않았으며, 담장 안쪽에 옛 담장이 확인되었다.
2003년에는 한양도성 주변 타워호텔 부근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수도관을 부설하면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지역은 한양도성의 광희문에서 남소문 구간의 복원 지점 끝부분에서 연장되는 곳으로 타워호텔 바로 앞이다.
조사 결과 지표상에는 도성의 흔적이 남아 있지는 않았지만, 이 구간에 대한 성곽 유구와 성벽 축조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2007년과 2008년에는 서울 타워호텔(지금의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호텔) 자리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2007년에는 테니스장과 주차장을 조사했는데, 성벽 뒤채움부와 기초 유구들이 확인됨으로써 대체적인 성벽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08년에는 호텔 골프연습장과 별관 앞쪽 주차장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골프연습장에서는 이렇다 할 유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차장 지역에서는 성벽 기초 유구가 노출되어 성벽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과정에서 호텔 본관 건물 남쪽 계단 축대에서 '검자육백척劍字六百尺'[천자문의 49번째 글자인 '검劍' 자 순번에 해당하는 군현의 백성들이 쌓은 600척 구간이 시작된다는 뜻]이란 글자가 새겨진 각자刻字성돌이 발견되어 조선 태조 때에 축성된 성벽을 해체하고 건물 축대를 쌓았을 것으로 발굴단은 추측했다.
2010년에는 장충동1가의 한양도성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조사 지역은 광희문에서 약 300미터 떨어져 있는 곳으로 한양도성의 성벽이 위치했던 지역으로 추정되었다.
조사 결과, 주택건물의 앞쪽 지역에는 성벽은 물론 다른 유구도 확인되지 않았지만, 주택 뒤쪽 대지에서 성벽 유구가 확인되었다.
노출된 성벽은 조사 지역 북쪽 인근까지 남아 있는 성벽의 연장선상에서 확인된 것으로, 발굴단은 성벽 형태로 보아 인근의 성벽과 마찬가지로 세종 때 고쳐 보수한 것으로 보았다.

한양도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발굴 유적 중 하나는 우리나라 스포츠의 중심이었던 동대문운동장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이다.
동대문운동장은 어린 시절 고등학교 야구대회를 봤던 장소로 기억이 생생한데, 서울시는 이곳 동대문운동장 자리에 디자인 관련 대규모 문화공간을 조성하고자 사전에 이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2008년 실시하였다.

발굴 면적은 총 31,000제곱미터나 되고 실제 발굴조사 기간도 1년이 넘는 장기간의 조사였던 만큼 발굴 결과 역시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중요한 유적과 유물들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대문운동장 부지는 한양도성 성벽이 지나가는 자리이고, 훈련도감의 부속 관청인 하도감下都監이 있던 자리로, 이와 관련된 유적들이 확인됨으로써 한양도성의 원형 확인은 물론 조선시대 한양의 관청을 이해하는 많은 자료들을 제공하였다.

발굴 지역은 크게 야구장과 축구장 부지로 나눌 수 있다.
야구장 부지에서는 일제강점기 훈련원공관의 기와보도步道[기와를 세로로 촘촘히 박아서 만든 보행로]시설과 화단 터, 연못 터 등이, 조선시대 화약 제조 관서인 염초청焰硝廳과 하도감 관련 건물 터 스무 곳과 철 관련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축구장 부지에서는 조선시대 한양도성 관련 유구들과 도성 방어 군사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군사 유적으로는 건물 터 열 곳, 집수시설 두 곳, 우물터 네 곳이 확인되었고, 한양도성의 석축 성벽과 이간수문二間水門[두 칸으로 된 수문]인 홍예수문 두 칸, 치성雉城[성 위에 낮게 쌓은 담] 등이 확인되었다.

이후 2014년 개관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ongdaemun Design Plaza, DDP)는 서울의 대표적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동대문운동장 기념관과 유구전시장을 조성하여 동대문운동장 관련 시설뿐 아니라 이간수문 등 한양도성 관련 유적들을 그대로 보존 전시하여 보여주고 있다.

2008년에는 종로구 교남동 뉴타운 재가발사업과 관련하여 인왕산에서 돈화문으로 이어지는 내외 능선에 근린공원을 조성하고자 하여 종로구청의 의뢰로 발굴이 실시되었다.
이 지역은 한양도성 성벽이 남북 방향으로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송월동 1-44번지 일대로서 강북삼성병원에서 서울시 교육청을 지나가면 기상청 서울관측소가 있는 그 부근이다.
주변에는 홍난파 가옥이 있다.


발굴 결과 한양도성 성벽 유구가 전반적으로 잔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발굴단은 성벽의 성돌 모양을 보았을 때 태조·세종·숙종 때 쌓았던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남아 있는 성벽 길이는 약 130미터 정도이고, 외벽은 2~11단이 잔존하며 높이는 1~4미터가량이었다.
글자가 새겨진 각자성돌도 확인되었으며, 발굴단은 새겨진 글자가 '면산상말免山上末', '?산말山末' 등으로 추정하였다.
발굴 이후 이 근린공원의 이름은 월암月岩근린공원이 되었다.
※출처
1.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의 발굴현장'(역사공간, 2017)
2. 구글 관련 자료
2022. 5. 14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타인하우스의 공평한 분배 (0) | 2022.05.23 |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2부 그리스•로마 세계 - 3장 그리스의 실험 2: 상고기 그리스(서기전 800~480년) (0) | 2022.05.21 |
그림, 다시 태어나 (0) | 2022.05.13 |
긍재 김득신 "강변회음도" "파적도(야묘도추도)" (0) | 2022.05.11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2부 그리스•로마 세계 - 3장 그리스의 실험 1: 그리스의 암흑시대(서기전 1150~800년)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