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22. 7/3 제주돌문화공원1: 공원 입구, 전설의 통로,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상징탑, 제주전통가옥, 하늘연못 본문

여행기-국내

2022. 7/3 제주돌문화공원1: 공원 입구, 전설의 통로,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상징탑, 제주전통가옥, 하늘연못

새샘 2022. 9. 27. 11:17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교래리)에 자리한 제주돌문화공원제주 생성과 제주 인류문화의 뿌리인 돌문화, 설문대할망 신화, 민속문화를 집대성한 역사와 문화의 공간이다.

 

한라산 영실에서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제주 섬을 창조한 거인 여신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의 돌'에 관한 설화를 주 테마로 100만 평의 드넓은  대자연의 대지 위에 제주 돌문화의 면면과 제주민의 생활상 등을 직접 접하고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을 민관합동으로 조성하여 2006년 개원하였다.

 

이 공원은 첫째도 환경, 둘째도 환경, 셋째도 환경이란 원칙 아래 제주의 정체성, 향토성, 예술성을 살려서 탐라의 형성 과정, 탐라의 신화와 역사와 민속문화를 시대별로 총정리하였으며, 가장 아름다운 교육 공간을 조성하여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는 것을 신념으로 건립했다고 한다.

 

제주돌문화공원의 전시시설로는 제주 돌 박물관, 돌문화 전시관, 오백장군 갤러리, 용암석 전시관(어머니의 방), 야외전시장, 전통초가마을 등이 있고, 건립 중인 전시관은 설문대할망전시관이다.

 

관람 코스는 3개 코스로서, 제1코스는 돌문화관-오백장군 갤러리-어머니의 방으로 이어지는 전설의 통로와 숲길 1,300m 구간, 제2코스는 돌문화전시관-돌문화야외전시장의 970m 구간의 숲길, 제3코스는 제주전통초가마을을 재현한 돌한마을 1,080m 구간이다.

 

제주공항에서 131번 버스를 타고 제주돌문화공원 정류장에서 내려 입구 길에서 바라본 풍광.

4차선 진입로 가운데 선돌 몇 개와 그 뒤로 액운을 막아준다는 방사탑防邪塔이라 불리는 돌탑들이 서 있고, 바로 그 오른쪽에는 '濟州石文化公園'이라 세로로 새겨진 선돌 표석과 그 아래 기단석에는 가로로 '제주돌문화공원'이라 새겨져 있다..

표석 오른쪽에 있는 초가집은 안내소, 뒷산은 바농오름이다.

초가집 오른쪽에는 머리를 쳐든 모습을 한 두 개의 큰 돌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오른쪽 큰 돌에 새겨진 글은 '제주돌문화공원 JEJU STONE PARK 濟州石文化公園'이다.

 

선돌들과 제주돌문화공원 표석, 그리고 선돌 왼쪽 뒤의 방사석들.

 

매표소 가는 길에 있는 돌하르방 카페

 

매표소 가는 길 옆 잔디밭에 서 있는 제주돌문화공원 상징 로고 표석

 

 

매표소이자 돌문화공원 전시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

 

매표소 옆 산수국.

돌문화공원에는 떨기나무인 산수국과 함께 탐라산수국이 많이 심어져 있는데, 두 나무의 차이는 둥그란 큰 꽃 가운데 푸른색 참꽃 주위에 피는 4장의 꽃잎을 가진 헛꽃에 암술과 수술의 유무로서 없으면 산수국, 있으면 탐라산수국이다.

하지만 산수국의 헛꽃에도 암술과 수술을 가진 종류도 있다고 하니 절대적인 기준은 아닌 모양. 

 

매표소를 지나 길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면 카트 탑승장이 나온다.

공원 안을 걸어 다닐 수도 있지만 너무나 넓은 공간이라 카트를 타고서 해설을 들으면서 구경하는 것이 보통인 모양.

 

카트 탑승장 앞 선돌 사이로 난 길이 돌박물관으로 가는 지름길인 전설의 통로.

 

카트 탑승장 앞 잔디밭 끝쪽에 있는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상징탑.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설문대할망은 키가 엄청나게 큰 거인 여신으로, 한라산을 베개 삼고 누우면 한 발은 성산일출봉에, 다른 발은 제주시 앞바다의 관탈섬에 걸쳐졌다.

관탈섬에 빨래를 놓은 뒤 팔은 한라산 꼭대기를 짚고 서서 발로 문질러 빨았다고 한다.

 

제주의 360여 개의 많은 오름(산 또는 산봉우리의 제주 사투리)들은 설문대할망이 제주를 만들기 위해 치마폭에 흙을 담아 나를 때 치마의 터진 구멍을 통해 조금씩 새어 흘러내린 흙이 쌓여 만들어졌고, 마지막으로 날라다 부은 흙이 바로 한라산이 되었다.

 

설문대할망은 아들이 500명 있었는데, 어느 날 설문대할망이 아들들에게 줄 죽을 끓이다 그만 발을 헛디뎌 죽에 빠지고 말았다.

아들들이 저녁에 돌아와 잘 익은 죽을 먹으면서 모두들 오늘따라 죽이 유난히 맛있다며 아우성이었다.

하지만 막내아들만 어머니가 보이지 않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해서 죽을 먹지 않았다.

죽을 다 먹고나서야 밑바닥에서 사람의 뼈를 본 아들들은 어머니가 보이지 않는 이유를 비로소 알게 된 것이다.

막내아들은 어머니의 살을 먹은 형제들과는 같이 살 수 없다며 서귀포 삼매봉 앞바다로 내려가서 슬피 울다 외돌개(이전에는 외돌괴라 불렀다)가 되었고, 나머지 아들들은 죽을 먹던 자리에서 한없이 울다 지쳐 몸이 굳으면서 기암괴석의 군상이 되고 말았다.

사람들은 이 바위들을 오백장군 또는 오백나한이라 불렀다.

그리고 이 곳을 영실靈室(신들의 방)이라고 이름 짓고 바위들을 영실기암靈室奇이라고 했다.

 

카트 탑승장 옆에 핀 헛꽃에 암술과 수술이 달린 탐라산수국.

 

카트를 타고서 돌문화공원 관람 시작.

해설사와 함께 카트를 타고 하늘연못까지 가면서 건물과 전시물에 대한 해설을 듣고 눈으로만 감상한 다음 하늘연못에서 내려 개별적으로 공원 안을 돌아보는 일정이다.

 

용암석을 전시해놓은 어머니의 방

 

길 끝에 보이는 오백장군 갤러리 건물

 

어머니를 그리는 선돌

 

길가에 늘어선 돌하르방들

 

제주전통가옥 돌담장 안에 초가 2채(안거리와 밖거리)가 있는 두거리집과 3채(안거리, 밖거리, 모거리)가 있는 세거리집이 대표적이다.

 

세거리집은 문을 들어서면 모거리(창고)가 나오고, 그 옆에 자식 부부가 사는 밖거리(바깥채), 맨 안쪽에 주인 부부가 사는 안거리(안채)로 구성된다.

아래 사진에서 맨 앞이 모거리, 왼쪽 뒤가 안거리, 그리고 밖거리는 모거리 오른쪽 끝 지붕 처마 아래쪽에 보인다.

 

인터넷에서 찾은 세거리집(사진 출처-http://www.nantogether.com/495).

왼쪽 모거리, 가운데 안거리, 오른쪽 밖거리의 배치.

 

두거리집은 앞쪽에 밖거리, 뒤쪽에 안거리가 배치된 구조이다. 

 

방사탑防邪塔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마을 공동으로 사람 키 높이 이상으로 쌓아 올린 원뿔 모양의 돌탑으로, 부정과 액운,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편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 대상물이다.

육지의 장승이나 솟대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방사탑의 꼭대기에는 돌탑을 쌓은 돌보다는 크거나 길다란 바위나 돌 조형물을 올려놓는다.

 

카트 타고 가면서 길 옆 기와 더미와 뒤집어놓은 장독들 뒤로 보이는 제주돌박물관

 

카트 타고 가면서 길 옆 돌담 뒤로 보이는 돌박물관

 

제주전통초가 앞 오백장군 돌들

 

메밀밭

 

카트에서 내려 걸어가면서 바라본 제주돌박물관과 그 뒤로보이는 하늘연못

 

하늘연못은 설문대할망 신화 속에 나오는 설문대할망이 빠져죽었다는 죽솥과 연못 물장오리, 그리고 한라산 백록담을 상징적으로 디자인한 수상 원형무대로서 돌박물관 옥상에 만들어진 연못이다.

지름 40m, 둘레 125m 크기로서 수상무대에서는 연극, 무용, 연주회 등에 필요한 전위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연못 주위에 비치된 긴 장화를 신거나 바지를 무릎 위까지 올리고 연못 안 수상무대까지 걸어 들어간다.

 

하늘연못 안 수상 원형무대에서 바라본 하늘연못 가장자리와 돌박물관

2022. 9. 27 새샘, 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