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능호관 이인상 "수하한담도" 본문

글과 그림

능호관 이인상 "수하한담도"

새샘 2024. 5. 9. 12:20

<이 그림은 그대를 위해 그린다고 미리 적어놓노라>

 

이인상, 수하한담도, 18세기 전반, 종이에 수묵, 33.7x59.7cm, 삼성미술관 리움(사진 출처-출처자료1)

 

조선 후기 회화의 특징은 진경산수, 속화, 문인화의 유행이다.

여기서 문인화란 새로 전래된 명나라 문인화풍의 담담한 그림을 말한다.

그러나 문인화풍이 도입될 때는 화풍만 들여온 것이 아니라 문인들이 자신의 예술적 서정을 그림으로 표현한다는 문인화의 기본 자세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영조 시대에 문인화의 형식적 화풍을 가장 잘 소화한 화가가 현재 심사정이라면, 문인화가답게 살아가며 직업 화가의 예술과는 전혀 다른 문인화의 세계를 보여준 이는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1710~1760) 이었다.

 

능호관의 그림은 주로 벗, 즉 문인들과의 교류 속에서 제작되었다.

때문에 그의 그림에는 화제畵題와 관기觀記(감상문)가 쓰여 있는 것이 많다.

그림에 시를 붙였고, 언제 누구를 위하여 그린다는 제작 동기를 밝혔다.

부채에 그린 선면화扇面畵가 유난히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능호관에게 있어서 그림이란 문인적인 삶 자체였다.

 

능호관은 많은 벗들과 어울렸다.

능호관에 대한 당대와 후대의 평을 보면 한결같이 뛰어난 문인들과 교류했던 사실부터 말하고 있으며 그의 일생을 기록한 행장과 묘지명에서도 모두 벗들의 얘기를 빼놓지 않은 것은 이런 연유였다.

 

그의 문집인 ≪능호집凌壺集≫을 보면 시를 주고받으며 교류한 인사가 100여 명이 넘는다.

벗으로는 훗날 영의정이 된 황경원黃景源, 김종수金鍾秀, 오원吳瑗 같은 문신도 있으나 대개는 벼슬을 마다하고 학문과 한묵翰墨(문한文翰과 필묵筆墨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거나 쓰는 것)으로 지내는 '국중國中(나라 안)의 고사高士'들이었다.

 

단릉丹陵 이윤영李胤永이 그림자 같은 '절친'이었고, 한정당閒靜堂 송문흠宋文欽 형제, 배와坯窩 김상숙金相肅 형제, 신익申翌과 신申韶  형제, 오찬吳瓚 과 오원吳瑗 형제, 김무택金茂과 김순택金純澤 형제 등 수없이 많다.

신소는 무주택자였던 능호관에게 남산 기슭의 작은 집을 마련해준 친구였다.

능호관은 남산 꼭대기 달동네에 자기 집을 갖게 되자 너무도 기뻐서 비록 평수는 좁지만 창밖으로 보이는 북한산 풍광만은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인 방호산方壺山을 능가하는 기분이라며 자신의 호를 '능호관凌壺觀'이라 했다.

 

수하한담도 세부(사진 출처-출처자료1)

 

벗과의 만남은 곧 그림으로 이어져 창작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능호관은 벗들과 수많은 시회詩會를 가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35세 때인 1744년 오찬의 집에서 열린 '북동아회北洞雅會'이다.

이때의 일을 ≪능호집≫은 이렇게 전한다.

 

"갑자년(1744) 겨울 오찬의 두 조카(재순, 재유)와 함께 계산동桂山洞에서 독서를 하였는데 이윤영, 김순택, 윤면동 등이 모두 모였다. 그러자 책을 들고 물으러 오는 아이가 세 명 있었다. 윤면동은 ≪논어≫를, 김순택은 ≪맹자≫를, 나머지 사람들은 ≪서전書傳≫을 읽었다. 조반을 먹고 함께 ≪주자朱子≫를 읽었는데 달이 뜨고서야 끝났다."

 

문헌에 따르면 이 모임을 김순택은 글로 쓰고, 능호관은 그림으로 그렸다고 한다.

<북동아회도>라고 하는 이 그림은 현재 전하지 않지만 능호관이 30세 때인 1739년에 그린 <수하한담도樹下閑談圖>를 보면 벗들과의 만남이 곧 창작의 계기였음을 여실히 알 수 있다.

 

<수하한담도>는 큰 바위 사이에 솟은 고목 아래 평평한 바위에서 동자를 데리고 온 두 선비가 한가로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아회도雅會圖(문인 사대부의 사적이며 자유로운 모임을 그린 그림)이다.

계곡의 그윽한 분위기를 자아내기 위해 바위의 형태를 과장하고 나뭇잎은 무성하게 표현하여 시원스런 그늘이 있음을 넌지시 암시하고 있다.

묵법(먹의 사용법) 없이 오직 필법(붓의 사용법)만을 사용했는데도 그 서정이 자못 그윽하다.

 

화면의 여백마다 자리를 함께한 문인들이 한마디씩 쓴 여러 화제가 예서·해서·행서의 각체로 쓰여 있어 그림에 문기를 한층 돋워준다.

화제들을 살펴보면 화면 왼쪽 위에는 능호관이 도연명의 시 <시운병서時運并序>에서 한 구절을 따서 "아랑곳없이 때가 지나가는(매매시운邁邁時雲) 평화로운 아침(목목량조穆穆良朝) 임씨댁 상자를 열어보고 술에 취한 흥에 그린다(임씨댁열함취흥사任氏宅閱函醉興寫)"라는 글을 단정한 해서체로 써넣었으며, 오른쪽에는 이윤영이 다음과 같은 오언절구를 예서체로 썼다.

 

"오래된 나무는 고색창연한 빛깔인데 (노목창연색老木蒼然色)

평평한 바위가 옛날과 지금을 보네 (평암열고금平巖閱古今)

서로 보아서 아는 흥겨운 모임이니 (상간지흥회相看知興會)

물고기와 새가 노니는 깊은 별천지네 (어조동천심魚鳥洞天深)"

 

그리고 왼쪽 아래에는 능호관이 그림을 그린 연유를 빠른 필치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임선생 백현(임매任邁의 자字)은 마음이 맑은데 (임자백현신담任子伯玄心澹)

때때로 나를 억지로 그림을 그리게 하고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 (절기호시강여작화絶嗜好時强余作畵)

다 마쳐 완성되면 쉬면서 한번 웃고 손가락을 튕길 뿐이어서 (기성편일소탄지이이旣成便一笑彈指而已)

사람들이 소매에 넣고 가버리니 (임인수거任人袖去)

이 때문에 임선생의 상자 속에는 인상의 그림이 없다 (고임자록중무인상화故任子簏中無麟祥畵)

내가 다시 그린 다음 이렇게 말미에 적어 (여복작차지기미余復作此識其尾)

남이 소매에 넣고 가는 것을 막으니 (이저인수거以沮人袖去)

임선생은 분명 나의 공연한 걱정에 웃겼네 (임자필신여지다심任子必哂多心)"

 

이들이 만난 자리는 이윤영의 집 가까이에 있는 서대문의 반송지盤松池(서지西池라고도 불림)일 가능성이 크다.

이규상李奎象≪일몽고一夢稿≫의 <문원록文苑錄>에서 "이윤영은 반송지 근처에 정자를 세우고 이인상, 김상묵 등 가까운 벗들과 글모임(문회文會)을 만들어 여름엔 꽃병에 연꽃을 꽂아두고 겨울밤엔 잘라낸 얼음덩어리 가운데에 촛불을 밝히며 이를 이름하여 '빙등조빈연氷燈照賓筵"이라고 했다"고 했다.

그들에겐 그런 낭만이 몸에 배어 있었다."

 

<수하한담도>에는 두 개의 긴 발문이 따로 붙어 있다.

첫 번째 것은 1765년 임매가 이미 고인이 된 능호관 이인상과 단릉 이윤영을 생각하며 그때의 감회를 회상한 것이고, 두 번째 것은 후배 문인이 선배 문인들의 풍류에 대한 소감을 적은 글이다.

마음 같아선 나도 여기에 잇대어 세 번째 발문을 쓰고 싶은데 내게는 그런 문인적인 소양도 시서화의 실력도 없어 이 글롤 대신할 뿐이다.

 

※출처
1. 유홍준 지음, '명작 순례 - 옛 그림과 글씨를 보는 눈', (주)눌와, 2013
2. https://blog.naver.com/kalsanja/220893304259(화제와 관기)

3. 구글 관련 자료
 
2024. 5. 9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