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울릉도
- 알래스카
- 미국 알래스카
- 프랑스
- 덴마크
- 영국 스코틀랜트
- 일본 규슈
- 독일
- 미국 옐로우스톤
- 알래스카 내륙
- 미국 요세미티
- 영국 스코틀랜드
- 러시아
- 1ㄴ
- 노르웨이
- 헝가리
- 하와이
- 오스트리아
- 싱가포르
- 영국
- 체코
- 미국 하와이
- 미국 플로리다
- 중국 베이징
- 스웨덴
- 미얀마
- ㅓ
- 남인도
- 알래스카 크루즈
- 폴란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2/09/01 (1)
새샘(淸泉)

조선 후기의 완당시대는 중국에서 새로운 미술 풍조가 들어온 시기를 말한다.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자는 원춘元春이고, 호는 완당阮堂·추사秋史·예당禮堂·시암詩庵 등 수백 개에 이르는데, 완당과 추사라는 호가 가장 유명하다. 이 완당시대라는 말을 하게 된 데에는 독특한 연유가 있다. 다시 ㅁ라하자면 이 시기에 오면 중국 강남의 문화라고 할까, 중국의 문인 풍조 文人風潮라고 하는 것이 조선과 중국 청나라 즉 조중朝中 교류에 의해서 조선에 들어오기 시작하는데, 이런 문인 분위기의 풍조를 들여 오는 것에 가장 큰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완당이다. 그런데 완당이 문인 풍조 도입에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은 좀 편협된 시각이라고 볼 수 있다.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1658~1722)의 ≪연행일기燕行日記('..
글과 그림
2022. 9. 1.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