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래스카
- 1ㄴ
- 오스트리아
- 알래스카 내륙
- 러시아
- 미국 하와이
- 영국 스코틀랜트
- 알래스카 크루즈
- 프랑스
- 영국
- 남인도
- 헝가리
- 미국 플로리다
- 노르웨이
- 싱가포르
- ㅓ
- 미얀마
- 덴마크
- 폴란드
- 일본 규슈
- 체코
- 영국 스코틀랜드
- 중국 베이징
- 스웨덴
- 미국 요세미티
- 독일
- 하와이
- 미국 옐로우스톤
- 울릉도
- 미국 알래스카
- Today
- Total
목록2024/08/13 (3)
새샘(淸泉)

청동기의 세 가지 의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용도는 바로 제사였다.이는 고대에 무기보다 더 강력한 기능이었다. 고려시대의 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가장 먼저 청동 거울을 떠올릴 것이다. 그중에서도 다뉴세문경多鈕細紋鏡(잔무늬거울)이라는 유물을 본 적이 있는가? 아름답고 세밀한 잔무늬가 특징인 이 거울은 세형동검細形銅劍과 함께 약 2,300년 전부터 남한 전역에서 만들기 시작했다. 가장 유명한 청동 거울은 전남 영암에서 출토된 정문경精文鏡으로 국보 제141호로 지정될 정도로 보관 상태가 뛰어나 당시의 기술을 잘 보여준다. 최근에는 청주 오송역 근처에서도 청동 거울(위 사진)이 발견되었다.청동 거울은 가히 한국이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청동기다. 이 거울의 생김새를 자세히 살펴보자. 가운데 부분을 확대..

기술력의 상징인 청동기는 고조선 당시 강한 군사력을 상징하는 위엄 있는 무기이기도 했다.맨위 사진은 전사의 무덤에서 나온 껴묻거리, 바로 위 사진은 전차를 탔던 전사를 복원한 모습이다.보통 전차라고 하면 영화 Ben-Hur>나 Gladiator>에 묘사된 스펙터클한 영화 spectacle moive(규모가 크고 볼거리가 많은 영화) 장면을 떠올린다.나아가 50대 이상이라면 에 등장한 원형경기장이 가장 먼저 생각날 것이다.3시간 30분의 러닝 타임 running time(상영 시간)에서 전차신은 20분에 불과하지만, 관객에게 이 장면은 몇십 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다.그만큼 불을 뿜는 듯한 전차의 모습은 사람들에게 강렬하게 남아 있다.하물며 3,000년 전 사람들에게 전차가 얼마나 강력한 존재였는지는 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