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142,857이란 수의 신비 본문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는 신비로운 수가 하나 있다.
142,857이 바로 그것이다.
1)먼저 이 수에 1부터 6까지를 차례로 곱하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142,857×1=142,857
142,857×2=285,714
142,857×3=428,571
142,857×4=571,428
142,857×5=714,285
142,857×6=857,142
이렇듯 언제나 똑같은 숫자들이 자리만 바꿔가며 나타난다.
142,857×7은? 999,999이다!
142,857×8=1,142,856이다. 이 수는 1과 142,856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수를 더하면 142,857이 된다.
142,857의 제곱은 20,408,122,449이다. 이 수는 20,408과 122,449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수를 더하면....142,857이 된다.
이런 형태의 수를 순환수(cyclic number)라고 한다.
2)이번에는 더하기를 한번 해보죠.
142+857=999이고, 999÷7=142.7 142857 142857 142857 14....이 된다.
14+28+57=99이고, 99÷7=14. 142857 142857 142857 14....이 된다.
1+4+2+8+5+7=27이고, 27÷7=3.857 142857 142857 142857 14....이 된다.
3)그럼 나누기는?
1÷7=0. 142857 142857 142857 14....
2÷7=0. 285714 285714 285714 28....
3÷7=0. 428571 428571 428571 42....
4÷7=0. 571428 57142 571428 57....
5÷7=0. 714285 714285 714285 71....
6÷7=0. 857142 857142 857142 85....
이렇게 곱하기 경우와 동일하게 142,857이란 숫자가 순환된다.
7÷7=0. 999999 999999 999999 99....
8÷7=1. 142857 142857 142857 14....
9÷7=1. 285714 285714 285714 28....
22÷7=3. 142857 142857 ...으로서 원주율 π 값과 근사값 으로서 옛날에는 이것을 π 값으로 대신 사용했다고 한다.
※이 글은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Bernard Werber)가 쓴 <신>(열린책들, 2008)에 실린 글과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를 참조하였다.
2009. 3. 10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 김홍도 "마상청앵도" (0) | 2009.03.31 |
---|---|
김중혁 단편소설 "악기들의 도서관" (0) | 2009.03.17 |
추사 김정희 "세한도" (0) | 2009.02.28 |
단원 김홍도 "주상관매도" (0) | 2009.02.19 |
산악 숭배 (0) | 200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