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18. 7/8 미국 알래스카 자동차 여행 2일째 둘글: 페어뱅크스6-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UAF) 본문

여행기-해외

2018. 7/8 미국 알래스카 자동차 여행 2일째 둘글: 페어뱅크스6-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UAF)

새샘 2019. 2. 23. 12:24

알래스카 자동차 여행로

앵커리지 국제공항-(비행기)-페어뱅크스 국제공항-노스 폴-페어뱅크스-데날리 국립공원 및 보존지구-탈키트나-와실라-마타누스카 빙하-에클루트나-앵커리지-거드우드-휘티어-쿠퍼랜딩-수어드-수어드 크루즈 터미널

 

7/8 페어뱅크스-힐리-데날리 국립공원 입구 여행로

 

7/8 페어뱅크스 여행로

숙소-알래스카대학교 북부박물관-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파이오니어 공원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UAF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UAF는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에 있는 미국의 공립 연구대학교이며, 알래스카 대학교 시스템 Unviersity of Alaska System, UA system의 중심 캠퍼스로서 육지, 바다, 우주를 포함하는 모든 지구 공간에 대한 연구비(land-grant, sea-grant, space-grant)를 지원받는 대학이기도 하다.

 

알래스카 대학교 시스템은 1975년에 만들어졌으며, 현재 3개의 종합대학교 -UAF, UAA(Unviersity of Alaska Anchorage, 알래스카 앵커리지 대학교), UAS(University of Alaska Southeast, 알래스카 남동 대학교)-와 19개의 캠퍼스로 구성되며, 학생 수는 약 3만 명이다. 3개의 종합대학교는 각각 소도시에 몇 개의 캠퍼스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UAF는 1917년에 설립되어 1922년에 학생 모집을 시작했다. 최초 설립 당시 이름은 알래스카 농업 대학 및 광산 스쿨 Alaska Agricultural College and School of Mines이었다가 1935년 알래스카 대학교 University of Alaska로, 다시 1975년 현재의 명칭인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 Unvierity of Alaska Fairbanks가 되었다.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가 자랑하는 지구물리연구소 Geophysical Institue가 있는 크리시티안 T. 엘비 빌딩(흔히 '엘비 빌딩'이라고 부름) Christian T. Elvey Building(사진 오른쪽 건물)과 이 연구소의 왼쪽 건물은 북극 Arctic 연구의 핵심 연구가 들어서 있는 슌-이치 아카소푸 빌딩 Syun-Ichi Akasofu Building.

UAF 지구물리연구소는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포커 플랫 연구 발사대 Poker Flat Research Range란 이름의 대학 소유 탐사용 로켓 발사대를 운영하고 있다. 이 로켓 발사대에서 미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하여 UAF는 물론 다른 미국의 대학교들이 탐사용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고 한다.

 

지구물리연구소가 들어서 있는 엘비 빌딩 Elvey Building은 1970년에 준공된 7층 건물로서 기존의 지구물리연구소를 확장한 것이다. 오른쪽 단층 건물 벽에 그려진 미술 작품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한다. 왼쪽 끝의 붉은 원과 오른쪽 끝의 하얀 원은 각각 해와 달로서 그 아래 지구에 미치는 중력을 나타낸 것이며, 가운데 2개에서 위로 솟구친 붉은 색은 화산 분출, 그리고 푸른 색은 지구의 물을 묘사한 것이다.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 지구물리연구소의 포커 플랫 연구 발사대에서 발사된 로켓 모형이 연구소 앞 잔디밭에 세워져 있다. 이 로켓 이름은 블랙 브란트 IX. 이 포커 플랫 발사대에서만 발사된 로켓수는 NASA의 로켓만 해도 수백 개에 달하며 오로라 연구와 대기권 부근 우주 탐사를 위해 발사되었다고 한다.

 

로켓 모형 주위의 안내판들

아래 안내판은 이 로켓 발사대에서 발사된 로켓 종류별 사진과 설명

 

아래 안내판의 오른쪽 사진은 2015. 1. 26 이 로켓 발사대에서 발사된 4개의 로켓 발사 장면을 30분 동안 찍어 합성한 것.

 

아래 안내판은 오로라에 대한 설명이며, 왼쪽 사진은 페어뱅크스에서 발생한 오로라

 

로켓 모형 서쪽 옆 잔디밭에 서 있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 도시 및 지점에 대한 방향과 거리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이정표 - 남극 17198 km, 매킨리산 255 km 등.

 

지구물리연구소 왼쪽(서쪽) 옆 건물인 북극 Arctic 연구의 핵심 연구가 들어서 있는 슌-이치 아카소푸 빌딩 Syun-Ichi Akasofu Building. 아카소푸 슌이치 Akasofu Shunichi 赤祖父 俊一(1930~)는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의 국제북극연구센터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Center, IARC의 창립이사지구물리연구소 이사를 역임한 일본인.

 

캠퍼스의 서쪽 끝에 위치한 지구물리연구소 주변 구경을 마치고 동쪽으로 차를 몰아 먼저 구경했던 북부박물관을 지나 캠퍼스 동쪽 끝으로 향했다.

 

먼저 사이너즈 홀 Signers' Hall 앞이다. 1931년에 지은 UAF 캠퍼스 내 최초의 콘크리트 건물로서 용도는 체육관과 도서관이었다. 이름이 사이너즈 홀(서명자 홀) Signers' Hall로 붙여진 것은 1956년 2월 알래스카 헌법의 역사적인 서명을 목격하기 위해 거의 천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모였는데, 예정되어 있던 서명 장소가 천 명의 군중을 수용하기에 비좁아서 이 곳으로 옮겨 서명행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현재 사이너즈 홀은 총장실 및 입학과 등록 등의 행정을 담당하는 대학본부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사이너즈 홀 정면의 코너스톤 광장 Cornestone Plaza, 광장 내 버넬 Bunnel 동상, 그리고 뒷 건물은 듀커링 빌딩 Duckering Building.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설립 당시 교명은 알래스카 농업대학 및 광산스쿨, 그 후 알래스카대학교로 개명)의 초대총장(1921~1949 재임)이었던 찰스 E. 버넬 Charles E. Bunnel(1878~1956) 동상

 

코너스톤 광장 Cornerstone Plaza 뒤쪽 회색/흰색의 공과대학 및 광산대학이 들어선 듀커링 빌딩 Duckering Building, 그리고 오른쪽에 직각으로 서 있는 붉은 타일이 박힌 건물은 알래스카대학교 시스템 Unviersity of Alaska System, UA System의 행정 사무실이 위치한 중앙 행정건물인 버넬 빌딩 Bunnel Building.

 

듀커링 빌딩 출입문 위에 'DUCKERING BUILDING'이라는 표지판이, 그 위 창문에는 'COLLEGE OF ENGINEERING & MINES'라는 글자가 각각 붙어 있다.

 

사이너즈 홀과 듀커링 빌딩 사이로 들어가면 UAF 캠퍼스 지도가 그려진 안내판이 나오고, 안내판 뒷 건물이 엘머 E. 라즈머슨 도서관이다.

 

라즈머슨 도서관 앞에서 본 사이너즈 홀 건물의 북쪽 면 

 

앨머 E. 라즈머슨 도서관 Elmer E. Rasmusen Library은 출입문 계단 앞쪽 자작나무와 그 옆 가문비나무, 그리고 꽃밭에 탐스럽게 핀 작약.

라즈머슨 도서관은 1970년에 개관하였으며 현재 알래스카에서 최대 규모의 장서(약 150만 권)를 자랑한다. 장서 가운데 특히 알래스카와 극지방 Alaska and Polar Region(APR)에 관한 것은 세계 최고라고 자부하고 있다. 엘머 E. 라즈무슨(1909~2000)은 알래스카주의 은행가이자 정치가로서 앵커리지 시장을 역임했고, 알래스카대학교 발전을 위해 공헌하였기 때문에 그 이름을 붙였다.

 

라즈머슨 도서관 정문과 1층 로비

 

도서관 강의실에서의 강의 모습

 

도서관 극장 입구와 내부

 

도서관 극장에서 상영되는 로라 영화를 감상하였다.

 

2019. 2. 23 새샘, 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