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코로나19로 날개 단 디지털 의료 본문
◆소프트웨어·앱 활용...환자 상태 전송하고 투약량 계산
◆코로나 자가격리 앱, 디지털 치료 보편화 가능성 보여줘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의료 체계에도 변화가 점쳐지고 있다.
전통적인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 디지털 형식으로 빠르게 전환할 것이란 기대가
바이오 업계에서 감지된다.
감염병 확산 같은 위기 상황에서 방역과 예방 활동을
개인이나 전자기기에 상당 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실감한 만큼,
코로나19 이후 의약시장의 '디지털화'와 '개인화'는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4월 6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치료제 Digital Therapeutics' 시장은
2018년 21억 2천만 달러에서 2026년 96억 4천만 달러로 연평균 20%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먹거나 주사 놓는 방식의 기존 약과는 달리 디지털 치료제는
전자기기나 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형태의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치료제의 가장 큰 특징은 과학적 임상연구를 통해 얻어진 증거를 토대로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한다는 것이며,
이를 '근거 기반 중재적 치료 evidence-based practice(EBP)'라고 한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병과 신경정신 질환이 급증하면서 의료진의 영향이 직접 미치지 못하는
일상생활 속 치료 영역이 디지털 치료제의 수요로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8월까지 미국 식품의약국 US FDA은 디지털 치료제 8개를 승인했다.
당뇨병과 암, 조현병, 천식, 약물중독, 공황장애 등
환자 개개인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병이 치료 대상이다.
환자 상태 변화를 포착해 약 투여량을 계산해주거나
인지 재활 치료 목적의 행동 요령을 알려주는 식이다.
초소형 센서를 담은 조현병 알약도 허가 받았다.
일본 오츠카제약과 미국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 Proteus Digital Health가 함께 만든
이 약을 먹으면 센서가 위액과 만나 전기신호를 만들어내고,
이 신호가 환자가 착용한 전자기기를 통해 의사에게 전송된다.
경기 화성 공장에서 생산을 준비 중인 한국 오츠카제약 관계자는
"기존 약과 전혀 다른 생산 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내 바이오기업들도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라이프시맨틱스 LifeSemantics는 암 환자 스스로 몸 상태를 관리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와이브레인 ybrain은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켜 뇌에 자극을 주는 소프트웨어를,
뉴냅스 Nunaps는 뇌 손상에 따른 시야 장애를 치료하는 가상현실(VR) 프로그램을
각각 개발하고 있다.
박지훈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의료기기 PD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의약품과 의료기기, 헬스케어 앱 간 경계가 허물어지며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본격 형성되면,
그 동안 불충분했던 의료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디지털 치료의 핵심은 개인이 생산한 건강 데이터가 의료 서비스의 중심이 되는 데 있다.
업계에선 코로나19 때문에 사용 중인 자가격리 앱이
디지털 치료의 보편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시각이 나온다.
개인이 스스로 앱을 통해 매일 증상을 확인·보고하고, 보건 당국이 이 데이터를 방역에 활용하는 방식이
디지털 치료제가 그리는 미래 모습과 비슷하다는 점에서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디지털 치료의 흐름을
4차 산업혁명 측면에서 접근했던 과거엔 기술의 필요성이 피부에 잘 와 닿지 않았는데,
코로나19를 계기로 많은 공감대를 얻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의료의 디지털화는 진단 치료 보조 영역으로도 폭넓게 확대되고 있다.
미국 페어 테라퓨틱스 Pear Therapeutics는 마약이나 알코올 중독 환자들에게
욕구 관리 요령을 알려주며 절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앱을 내놓았다.
미국 인비절라인 invisalign은 치아 구조를 디지털로 재현하는 3차원 스캐너를 출시했다.
본 뜨는 과정이 필요 없이 환자들의 불편 해소는 물론 감염 위험도 낮출 수 있다.
미국 코그노아 cognoa는 발달장애아동을 조기 진단, 치료하는 AI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하지만 디지털 의료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다.
의료진이 환자와 직접 마주치지 않는 디지털 진단치료가 활성화되려면
결국 원격의료 체제가 갖춰져야 한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세계 각국에선 원격의료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기 시작됐다.
뉴욕타임스 NYT는 지난 5일(현지시각) 영국의 한 원격의료기기 업체의 서비스 수요가
매주 100%가량 늘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 국가보건서비스 National Health Service(NHS)가 지난 3월 6일
"가능한 1차 병원의 진료를 모두 원격으로 하라"고 권고한 데 따른 변화다.
미국은 원격의료에 대한 보험 재원을 마련했고,
홍콩 언론도 공공의료의 대안으로 화상진료를 주목하고 있다.
이승규 부회장은 "국내에서도 디지털 의료기술이 국민 건강과 직결돼 있다는 인식이 생겨난 지금이
원격의료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적기다"라고 강조했다.
※이 글은 한국일보 인터넷판 2020. 04. 07 04:30의 입력기사로서 임소형·손성원 두 기자가
공동작성한 기사 내용을 옮긴 것이며, 일부 내용은 새샘이 수정·보완하였다.
2020. 4. 8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살아가면서 10년 단위로 겪는 사춘기 (0) | 2020.04.12 |
---|---|
바이러스 전파, 야생동물 멸종, 환경 사이의 연결고리 (0) | 2020.04.10 |
MIT 선정 2020년 10대 혁신기술 (0) | 2020.04.06 |
언제쯤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올까? (0) | 2020.04.04 |
우리 고대사의 열국시대16 - 백제의 건국과 성장3: 성장과 변천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