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2018년 대한민국 생명표 본문

글과 그림

2018년 대한민국 생명표

새샘 2020. 5. 29. 14:32

<1970~2018년 성별 기대수명과 남녀 기대수명 차이>

2019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생명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본다.

생명표현재의 나이별 사망 수준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특정 나이의 사람이 앞으로 몇 살까지 살 수 있는지 즉 기대수명을 추정한 통계표를 말한다.

 

기준 자료는 직전 해인 2017년 인구 자료이며, 대표적인 국내 인구 자료는 사망자 수, 주민등록 연앙年央인구[한 해의 중간일인 7월 1일 기준의 주민등록 인구], 생명표, 사회조사(유병기간, 건강평가 항목 등) 등이며, 외국 자료는 OECD의 '기대수명 Life Expectancy'(2019. 11)과 유럽통계처 EC Eurostat의 '건강수명 Healthy Life Years'( 2019. 11) 등이다.

 

통계표에는 기대여명 average remaining life expectacny기대수명life expectancy이란 두 가지 용어가 많이 사용되는데,

기대여명은 특정 나이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를 말하는 반면, 기대수명은 나이 0세인 출생아가 살 것으로 기대되는 나이 즉 출생아의 기대여명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흔히 말하는 사람의 평균 수명은 기대수명이다.

 

1. 2018년 전체 기대수명은 82.7년, 남자 79.7년, 여자는 85.7년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6.0년 더 오래 산다.

10년 전인 2008년 기대수명보다 전체 3.1년, 남자 3.5년, 여자 2.7년 각각 늘어난 것이며, 남자의 기대수명 증가 폭이 여자보다 0.8년 더 높았다

OECD 2017년 평균보다 남자는 1.7년, 여자는 2.4년 더 높으며, 남자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 81.6년, 여자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 87.3년이다.

 

2. 2018년 기대여명을 보면 65세 남자는 앞으로 18.7년, 65세 여자는 앞으로 22.8년 더 살 것으로 예상된다.

10년 전인 2008년 65세 기대여명보다 남자 2.1년, 여자 1.9년 각각 늘어난 것이다.

OECD 2017년 평균보다 남자 0.6년, 여자 1.5년 더 높다.

최근 20년 동안 우리나라 기대여명 증가폭은 남자 4.7년, 여자 4.9년으로서, OECD 평균 남자 2.9년, 여자 2.5년보다 훨씬 빨리 증가하고 있다.

 

나이별 성별 기대여명(년)은 다음과 같다.

[0세 - 남79.74 여85.73] [1세 - 남78.99 여84.95] [5세 - 남75.03 여80.99] [10세 - 남70.06 여76.02] [15세 - 남65.09 여71.05]

[20세 - 남60.17 여66.11]  [25세 - 남55.28 여61.19]  [30세 - 남50.42 여56.28]  [35세 - 남45.59 여51.39] 

[40세 - 남40.81 여46.54]  [45세 - 남36.09 여41.71]  [50세 - 남31.51 여36.92]  [55세 - 남27.08 여32.18] 

[60세 - 남22.80 여27.48]  [65세 - 남18.66 여22.85]  [70세 - 남14.75 여18.34]  [75세 - 남11.12 여14.06] 

[80세 - 남8.07 여10.26]  [85세 - 남5.70 여7.13]  [90세 - 남3.98 여4.82]  [95세 - 남2.78 여3.25]  [100세 이상 - 남1.98 여2.25]

 

3. 2018년 출생아가 3대 사인[암, 심장질환, 폐렴]으로 사망할 확률은 남자 47.2%, 여자 38.7%이며이 가운데 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가장 높아 남자 26.3%, 여자 15.9%다.

10년 전인 2008년에 비해 3대 사인 사망확률이 남자 7.4%, 여자 8.8% 각각 증가하였다.

 

4. 2018년 출생아의 유병기간 period of illness[병에 걸려있는 기간]은 남자 15.7년(20%), 여자 20.8년(24%)으로 여자가 병에 걸려 있는 기간이 더 길다.

그리고 2018년 출생아 개인이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간은 남자 10.6년, 여자 16.7년으로서 남자는 79.7년의 기대여명 중 건강한 기대여명이 69.1년(86.7%), 여자는 85.7년의 기대여명 중 건강한 기대여명이 69.0년(80.5%)인 것으로 나타났다.

OECD 2017년 출생아의 주관적인 건강한 기대여명은 대부분이 90% 이상으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았다.

 

※출처: 이 글은 통계청, '2018년 생명표'(2019. 12. 04)를 발췌 정리한 것이다.

 

2020. 5. 29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