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마스크 미착용 및 종류별 마스크의 비말 차단 정도를 촬영한 동영상 본문

글과 그림

마스크 미착용 및 종류별 마스크의 비말 차단 정도를 촬영한 동영상

새샘 2020. 7. 30. 17:34

<마스크 미착용 및 종류별 착용에 따른 비말 확산 정도를 시각화한 사진>

호주 시드니에 있는 뉴사우스 웨일즈 대학교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UNSW)  소속의 한 연구팀이 2020년 7월 유명 호흡기내과학술지 <흉부 Thorax>에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마스크 종류별 비말 및 에어로졸 확산 정도를 동영상으로 촬영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팀은 사람 입에서 발생하는 비말의 양과 확산 정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LED 조명시스템[GS Vitec MultiLED PT]이 결합된 고속카메라[nac MEMRECAM HX-7s]로 촬영했다.

 

마스크를 쓰지 않았을 때, 1겹 면 마스크를 썼을 때, 2겹 면 마스크를 썼을 때, 외과용 마스크를 썼을 때의 4가지 경우별로 각각 말할 때(one부터 10까지 셀 때), 기침할 때, 재채기할 때 사람 입에서 나오는 비말의 양과 확산 거리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비교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효과와 더불어 마스크 종류별 효과를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것이다.

 

다음 사항들이 이 연구팀이 내린 결론이다.

1. 1겹 면 마스크도 비말 확산 차단에 효과가 있으며, 2겹 이상의 면 마스크가 비말 확산 차단에 훨씬 효과적이다.

2. 비말 차단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은 외과용 마스크이다.

3. 외과용 마스크가 없으면 적어도 2겹 이상의 면 마스크 사용을 권장한다.

 

이 연구팀은 위의 결론에 더하여 다른 연구보고를 인용하여

집에서 만드는 수제 면 마스크는 적어도 3겹 이상이어야 하며[1겹 면 마스크는 코로나바이러스 차단 못함]

면 마스크가 외과용 마스크와 같은 효과를 가질려면 12겹이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뉴사우스 웨일즈 대학교 연구팀이 촬영한 마스크 미착용 및 종류별 마스크 착용에 따른 비말 확산 정도를 보여주는 동영상>

※출처: 1. Bahl P., et al., "비말 확산과 에어로졸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얼굴 가림과 마스크: 비디오 사례 연구 Face coverings and mask to minimize droplet dispersion and aerosolisation: a video study case", Thorax 2020;0:1–2. doi:10.1136/thoraxjnl-2020-215748.

2. The Conversation 2020. 7. 24 게재 자료, "어떤 마스크가 가장 효과적인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사람들이 하는 기침과 재채기를 촬영하였다. Whick mask works best? We filmed people coughing and sneezing to find out".

 

2020. 7. 30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