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천연기념물 2: 제51호~제100호 현황 본문

동식물 사진과 이야기

천연기념물 2: 제51호~제100호 현황

새샘 2021. 3. 31. 20:28

<천연기념물 제52호 울릉도 나리동 울릉국화(사진 출처-출처자료1)>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natural monument은 문화재보호법[법률 제17711호, 2020. 12. 22 시행]에 의해 법률로 보호하는 4종의 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중 기념물에 속한다.

 

기념물은 다시 사적[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 및 특별히 기념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명승[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그리고 천연기념물[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그 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등 3종류로 나뉜다.

 

천연기념물 제1호~제100호까지를 표로 정리하고, 이 가운데 현재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천연기념물 가운데 식물에 관한 것만 식물 종류별로 글과 사진을 올리고자 한다.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의 천연기념물 가운데 현재 지정이 해제된 것이 절반을 넘는 57개에 달한다.

해제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그 위치가 북한이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동식물 서식지·동물 도래지·자연지형 등이 파괴됨으로써 천연기념물이 죽었거나 사라져버리거나 또는 더 이상 보호할 가치가 없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현재 보호 중인 43개를 종류별로 나누어보면, 식물 및 그 서식지가 35개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동물 및 그 서식지·도래지 6개광물 1개, 지형 1개 등이다.

 

2021년 3월 31일 현재 천연기념물 제51호~제100호 현황은 다음과 같다.

번호

명칭

종류

소재지

지정 또는 해제

51호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 군락

식물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1962.12.7지정

52호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

식물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

1962.12.7지정

53호

진도 진도개

동물

전남 진도군 진도읍 진도 본도

1962.12.3지정

54호

해남 학 도래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1962.12.3해제

55호

해남 학 번식지

 

(북한)황해 벽성군 일신면

1962.12.3해제

56호

웅기 앞바다 난도 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 등 서식지

 

(북한)함북 경흥군 노서면 난도

1962.12.3해제

57호

진천보 담비 서식지

 

(북한)함남 갑산군 보천면

1962.12.3해제

58호

어의궁 은행나무

 

서울 종로구 효자동

1972.5.24해제

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

식물

서울 종로구 명륜3가 유림회관

1962.12.7지정

60호

고양 송포 백송

식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1962.12.7지정
(2021.3.19글)

61호

진천 측백수림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62.12.3해제

62호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식물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

1962.12.7지정

63호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식물

경남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1962.12.7지정

64호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식물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1962.12.7.지정

65호

화순 천태산 비자나무 숲

 

전남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2007.8.9해제

66호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 북한지[북방한계선]

식물

인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1962.12.7지정

67호

용평면 가침박달 군락

 

(북한)황해 서흥군 용평면 답동

1962.12.3해제

68호

선남리 음나무

 

(북한)함남 덕원군 부내면 선남리

1962.12.3해제

69호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광물

경북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1962.12.7지정

70호

금란굴

 

(북한)강원 통천군 통천면 금남리

1962.12.3해제

71호

백천 학 및 백로 번식지

 

(북한)황해 연백군 도촌면 토월리

1962.12.3해제

72호

안동 도산면 오관烏(먹황새) 번식지

 

경북 안동시 예안면 가송리

1973.8.14해제

73호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동물

강원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1962.12.7지정

74호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동물

경북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1962.12.7지정

75호 

춘천 장수하늘소 발생지

 

강원 춘천시 북산면 추전리

1973.8.14해제

76호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식물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962.12.7지정

77호

잠실리 뽕나무

 

경기 시흥군 신동면 잠실리

1962.12.3해제

78호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식물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962.12.7지정

79호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식물

인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1962.12.7지정

80호

장성면 왕버들

 

전남 장성군 장성읍 봉덕리

1986.10.15해제

81호

개성리 백송

 

(북한)경기 개풍군 서면 개성리

1962.12.3해제

82호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식물

전남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1962.12.7지정

83호

무안 사마리 동백나무

 

전남 무안군 청계면 사마리

1967.11.1해제

84호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식물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1962.12.7지정

85호

진안 월평리 상수리나무·소나무 군락

 

전북 진안군 상전면 월평리

1962.12.3해제

86호

진안 줄사철나무 자생 북한지[북방한계선]

 

전북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1962.12.3해제

87호

금구 송악 자생 북한지

 

전북 김제시 금구면 상신리

1975.6.12해제

88호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식물

전남 순천시 송광면 이읍리

1962.12.7지정

89호

경주 오류리 등나무

식물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1962.12.7지정

90호

벌교 은행나무

 

전남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

1993.4.16해제

91호

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

식물

전북 정읍시 내장동

1967.12.7지정

92호

원성 성남리 수림지樹林地[숲]

 

강원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1973.8.14해제

93호

원성 성남리 성황림城隍林[성황당 주변 숲]

식물

강원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1962.12.7지정

94호

삼척 회화나무

 

강원 삼척시 성내동

1962.12.3해제

95호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식물

강원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

1962.12.7지정

96호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식물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1962.12.7지정

97호

주문진 교향리 밤나무

 

강원 강릉시 주문진읍 교향리

1991.11.27해제

98호

제주 김녕굴 및 만장굴

지형

제주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1962.12.7지정

99호

예산 학 번식지

 

충남 예산군 대술면 궐곡리

1965.10.12해제

100호

서산학 도래지

 

충남 서산시 해미면

1973.8.14해제

 

※출처

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2.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백서, 2003. 9.

3. 위키백과, 대한민국연의 천연기념물 (제1호~제100호)

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C%B2%9C%EC%97%B0%EA%B8%B0%EB%85%90%EB%AC%BC_(%EC%A0%9C1%ED%98%B8_~_%EC%A0%9C100%ED%98%B8)#%EC%A0%9C1%ED%98%B8_~_%EC%A0%9C100%ED%98%B8

 

2021. 3. 31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