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독일
- 미국 요세미티
- 울릉도
- 체코
- 프랑스
- 미국 알래스카
- 미국 플로리다
- 폴란드
- 영국 스코틀랜트
- 노르웨이
- 러시아
- 오스트리아
- 영국
- 1ㄴ
- 하와이
- 미국 하와이
- 알래스카 크루즈
- 헝가리
- 스웨덴
- 싱가포르
- 미얀마
- 영국 스코틀랜드
- 덴마크
- ㅓ
- 남인도
- 알래스카 내륙
- 일본 규슈
- 중국 베이징
- 미국 옐로우스톤
- 알래스카
- Today
- Total
새샘(淸泉)
이팔청춘이란? 본문
'이팔二八'이란 둘이 여덟이니 더해 열여섯이 된다.
열여섯은 나이 열여섯을 가리킨 것이 아니라, 사람의 몸에 정精이 다 찼을 때 그 정의 숱(부피나 분량)을 말한 것이다.
옛 보감寶鑑에 이르길 정이 다 찬 상태인 만정滿精의 숱을 한 되 여섯 홉이라고 했으니, 홉풀이를 하면 열여섯 홉이 된다.
고로, 정이 열여섯 홉이 되는 때에 이르러 사람이 가장 왕성히 생동하는 바,
사내로 말하자면 싸닫혀 있던 '봉알'은 까열려 '불알'이 되고,
작은 몸 가지에 불과했던 'ㅈㅈ'는 비로소 살꽂이로 쓸만하기에 'ㅈ'이라 일컫는다.
계집으로 말하자면 밋밋하던 가슴 '젖판'이 일어나 '젖봉오리'가 되고,
살시울로 막혀있던 'ㅂㅈ'는 살꽂이를 받을 만 하기에 'ㅆ'이라 이름한다.
사내가 관례冠禮(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어른이 된다는 의미로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의례)를 하여
'상투'를 머리 위로 올려 트는 뜻은 한 사내의 'ㅈㅈ'가 'ㅈ'이 되었다는 걸 만천하에 드러내는 일이고,
계집이 계례筓禮(여자가 올리던 성인 의식으로서 땋았던 머리를 풀고 쪽을 찌었다)를 하여
머리 밑에 '쪽'을 쪄 겉꽂이를 꽂아 두는 뜻은 사내의 'ㅈ'을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때 비로소 남녀가 서로 얼우니, '지아비 부夫' 자와 '지어미 모母' 자가 다 '상투'와 '쪽'에서 나온 글자다.
※출처: 하용준 지음, 북비 2, 글누림, 2006.
2022. 1. 1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80년대 서울에서 발굴된 유적들 11: 현저동 옛서울구치소 (0) | 2022.01.11 |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1부 고대 근동 - 1장 서양문명의 기원 7: 메소포타미아 사회 5-우르 왕조와 아모리족의 흥기 (0) | 2022.01.04 |
단원 김홍도 "서원아집도" 6폭병과 8폭병 (0) | 2022.01.01 |
1980년대 서울에서 발굴된 유적들 10: 경복궁 (0) | 2021.12.31 |
<사이언스>지가 2021년 올해의 최고 연구성과로 선정한 인공지능 '로제타폴드' (0) | 2021.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