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스트리아
- 미얀마
- 영국
- 미국 알래스카
- 영국 스코틀랜트
- 남인도
- 프랑스
- 알래스카 크루즈
- 독일
- 체코
- 알래스카 내륙
- 하와이
- 울릉도
- 싱가포르
- 미국 옐로우스톤
- 덴마크
- 스웨덴
- 미국 요세미티
- 폴란드
- 알래스카
- 일본 규슈
- 노르웨이
- 미국 플로리다
- 1ㄴ
- 미국 하와이
- 중국 베이징
- 영국 스코틀랜드
- ㅓ
- 헝가리
- 러시아
- Today
- Total
목록2023/04 (21)
새샘(淸泉)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리마 국제공항)-신시가지 미라플로레스-구시가지 아르마스광장-산마르틴 광장 미라플로레스 탐방로 사랑공원의 키스상에서 남으로 향하면서 고가도로로 들어선다. 고가도로를 건너니 해변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이 인티와타나 공원 Park Intihuatana이다. 이 공원 이름은 페루 예술가 페르난도 데 시즐로 Fernando de Szyszlo의 거대한 시멘트 조각 작품인 '인티와타나'에서 따온 것이다. 인티와타나는 마추픽추의 북쪽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잉카제국의 해시계로 추정되는 암석 조형물 이름으로서 '태양을 가두는 곳'이란 뜻의 케추아어.(새샘 블로그 '2015. 1/24 남미 페루 마추픽추3-신전 및 궁전 구역, 망루, 장의석' https://micropsjj.tistory.com/170..
고유종固有種 endemic species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생물종으로서, 자생종自生種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고유종이란 말이 더욱 적합하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식물이 한반도 고유종 식물인 것이다. 은방울꽃(한자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숲속이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생하며,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으로 등록되어 있다.우리나라 외에 중국, 일본, 몽골, 미얀마, 러시아, 유럽(독일은방울꽃), 북미(미국은방울꽃) 등에도 분포한다.학명은 콘발라리아 카이스케이 Convallaria keiskei, 영어 이름은 lily of the valley(계곡의 나리) 또는 May lily(5월 나리). 척박한 ..
완당 김정희의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받은 한말 서화가 여섯 사람—고람 전기, 형당 유재소, 소치 허련, 소당 이재관, 대원군 이하응, 운미 민영익— 중 마지막 여섯 번째는 명성황후의 친정 조카로서 조선 말기 정치인이었던 운미芸楣 민영익閔泳翊(1860~1914)이다. 김정희 문하에서 글씨를 배운 부친 민태호와 숙부 민규호의 가학을 이은 민영익은 15세 무렵부터 서화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그리고 1878년 왕실 외척으로 정계에 입문했던 초기에 김정희 제자인 허련을 자택에 머물게 하는 등 특히 추사파 서화가에 대해 우호적이었으며, 그 결과 김정희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이런 추사파와의 직간접적인 인연은 개화파와의 대립으로 갑신정변 후 상해에 정착했을 때, 민영익이 오창석, 포화蒲華, 서..
우도 여행로: 성산포항-(배)-천진항-검멀레 해변-비양도 입구-비양도 봉수대-비양도 등대-하고수동해수욕장-인어공주 촬영지-하얀 등대와 봉수대-산호해수욕장-하얀산호펜션 앞 해변-훈데르트바서파크 앞 해변-훈데르트바서파크-천진항-(배)-성산포항 제주 우도牛島의 행정구역명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이며, 섬과 주변 바다가 우도해양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꼭 소가 누워있는 모습이라고 해서 소섬이나 쉐섬으로 불리웠고, 우도팔경 등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관광지로서 해마다 약 2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제주의 가장 큰 부속섬이며 가장 제주다운 모습을 간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섬의 긴 축인 남북 길이는 3.8km, 섬 둘레는 17km이며, 쉬지 않고 걸으면 3~4시간 정도면 섬을 한 바퀴 돈..
고유종固有種 endemic species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생물종으로서, 자생종自生種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고유종이란 말이 더욱 적합하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자연적으로 자라서 살고 있는 식물이 한반도 고유종 식물인 것이다. 올 4월 산에서 핀 한반도 고유종 야생화 2종을 소개한다. 1. 금붓꽃 학명: 아이리스 미누토아우레아 Iris minutoaurea 영어: Grassy-leaf yellow iris 붓꽃과, 여러해살이풀,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남획으로 인한 멸종위기종. 우리나라와 중국 등 동북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희귀성이 있으며, 아름다운 꽃은 관상 가치가 높다.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란다. 모양은 붓꽃과 거의 비슷하지..
서울에서는 다양하고 수많은 유적들이 발굴되었다.발굴된 각 유적들은 그 가치는 물론 유적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이에 발굴된 유적 가운데 재미있고 흥미로운 유적, 발굴은 했으나 지금은 없어져 버려 보고 싶은 유적, 그리고 발굴하여 지금은 복원이 되었지만 보고 싶지 않은 유적·버리고 싶은 유적으로 나누어 그 내용들을 알아보자. 조선 개국 공신인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선생(1342~1398)의 묘가 맞는지 아닌지에 대한 1989년 발굴조사는 재미있고 흥미로운 발굴 중 하나이다.봉화 정씨 문헌공파文憲公派에서는 그동안 정도전의 묘로 전해오는 묘를 발굴하였다.발굴 대상 묘는 총 3기로 이 중 제1호분으로 이름 지은 묘가 정도전의 묘일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발굴단도 제1호분이 정도전의 묘일 가능성..
산행로: 석수역 1번 출구 시흥대로 건너편 파리바게뜨 금천석수점-호암산 숲길공원-호암산성-제2우물 터-점심 쉼터-석구상-호암산 정상(393)-헬기장-관악산공원 갈림목-관악산 초록숲길 철쭉동산-관악산공원 일주문-관악산역-(경전철)-신림역-신림역 5번 출구 깡통닭갈비(8.2km, 3시간 40분) 산케들: 晏然, 大仁, 正允, 大谷, 長山, 牛岩, 慧雲, 새샘(8명) 4월 22일 토요일 4월 네 번째 산행인 호암산을 오르려는 여덟 명의 산케들이 석수역 앞 시흥대로 건너편 파리바게뜨 빵집에 모였다. 이달 들어 네 번째 산행으로 4월의 마지만 산행 같지만 30일이 일요일이라서 아직 한 번 더 남았다. 산케들이 호암산 주변의 둘레길과 호암산 아래에 있는 호압사는 자주 다녔지만 정작 호암산 정상 등정은 오늘이 처음!..
4~6세기 서유럽 그리스도교 사상의 형성 성 히에로니무스, 히브리어·그리스어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 340년경~420년 성 암브로시우스, 종교 문제에 관한 교회의 자율권 확대 340년경~397년 성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신국≫ 등 저술 354~430년 보이티우스, 고전사상과 중세사상의 가교를 놓다 480~524년 카시오도루스, 수도사의 고전 문헌 연구 및 필사 옹호 490년경~583년경 4세기와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쇠퇴하자 서양의 몇몇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은 그로부터 800년 동안 세계를 주도하게 될 신학 사상을 만들어냈다. 정치적 쇠퇴와 신학적 발전의 동시 발생은 우연이 아니었다. 서로마 제국이 붕괴하자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은 고전기의 유산이 소멸되고 있으며, 신은 세상을 일시적인 시험장소로밖에 여..
2013년 1월 '2013 조용필 위대한 탄생 투어 콘서트' 서울 공연이 열린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이날 조용필이 불렀던 1절 라이브 동영상이다. 이 노래는 1985년 발표된 7집 '여행을 떠나요'의 수록곡. 이 순간을 영원히 아름다운 마음으로 미래를 만드는 우리들의 푸른꿈 (어어어 어어어) 하고 싶은 이야기 노래로 만들어요 우리는 모두 다 사랑하는 친구들 (어어어 어어어) 아아아 노래를 사랑의 노래를 미지의 세계를 찾아서 떠나요 사랑의 노래를 멈추지 말아요 언제나 끝이 없어라 알 수 없는 질문과 대답 저 넓은 하늘 끝까지 우리들의 사랑을 노래해요 (어어 어어) 2023. 4. 22 새샘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리마 국제공항)-신시가지 미라플로레스-구시가지 아르마스광장-산마르틴 광장 미라플로레스 탐방로 1월 18일 미국 애틀랜타 공항에서 현지시각 17시 25분에 출발하여 1월 19일 0시에 페루 수도 리마의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 Jorge Chávez International Airport(리마국제공항 Lima International Airport, LIM)에 무사히 도착했다, 현 공항 이름은 1965년 페루의 비행사 호르헤 차베스 다르트넬을 기리기 위해 변경되었다.(아래 사진 출처-https://www.peruhop.com/lima-airport-general-information-useful-tips/). 호르헤 차베스 공항에서의 출국 심사. 태평양 연안 도시인 페루 수도 리마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