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웃음 본문

글과 그림

웃음

새샘 2020. 6. 15. 12:09

<출처-https://news.joins.com/article/17993452>

웃음은 뇌에서 발생하는 사고事故 accident에 의해 촉발된다.

 

좌뇌는 감각이 받아들이는 괴상하거나 역설적인 정보를 소화하지 못한다(좌뇌는 계산하고 추론하는 논리적 기능을 담당).

허를 찔린 좌뇌는 즉시 고장 상태에 빠지면, 받아들인 이질적인 정보를 우뇌로 보낸다(우뇌는 직관적, 예술적 사고를 담당).

 

이 정체불명의 소포를 받게 된 우뇌는 순간적인 전류를 보내어 좌뇌의 활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그 사이에 자신은 이 정보에 대해 개인적이고도 예술적인 설명을 시도한다.

 

평소에는 항상 깨어 있는 좌뇌의 순간적인 활동 정지는 즉시 대뇌를 이완시키면서 엔도르핀 endorphin(endogeneous morphine)[이 호르몬은 사랑의 행위를 할 때도 나옴]을 분비시킨다.

역설적인 정보가 좌뇌에게 거북하게 느껴질수록 우뇌는 더 강한 전류를 보내게 되고, 엔도르핀의 분비량은 더욱 많아진다.

 

동시에 이질적인 정보가 야기되는 긴장 상태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메커니즘으로서, 몸의 각 부분이 전체의 긴장 완화에 참여한다.

 

허파는 공기를 체외로 세차게 배출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웃음의 '신체적' 과정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어 광대뼈 근육 및 흉곽과 복부의 단속적斷續的인[끊어지고 이어짐이 반복되는] 움직임으로 몸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몸의 더 깊은 곳에서는 심장 근육과 내장이 경련을 일으킴으로써 일종의 체내 메시지를 발출하여 복부 전체의 긴장을 푼다.

이 이완이 심해지면 때로는 괄약근까지 풀어지게 된다.

 

요약하자면,

우리의 정신은 역설적 또는 이질적인 성격의 뜻밖의 정보를 소화할 수 없으므로 스스로의 활동을 정지시킨다.

'고장'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사고는 가장 기묘한 쾌락의 원천이 된다.

더 많이 웃을수록 우리의 건강은 더 좋아진다.

이 활동은 노화를 늦추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준다.

 

웃음이 주는 6가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웃음은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해준다.

2. 유머 감각은 이성을 유혹하는 수단이 된다.

3. 잘 웃는 사람이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게 보인다.

4. 웃음은 마음의 상처를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5. 웃음을 통증을 완화시킨다.

6. 웃음은 지적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글의 앞 부분인 웃음의 메커니즘은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열린책들, 2011)에서 옮긴 것이고, 뒷 부분인 웃음의 6가지 효과는 중앙일보 2015. 6. 10 기사 '웃음이 주는 6가지 효과'(https://news.joins.com/article/17993452)에서 발췌하였다.

 

2020. 6. 15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