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인간의 페로몬 본문
냄새로 의사 소통을 하는 곤충들과 마찬가지로,
인간도 후각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사용해서 다른 사람들과 은밀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우리에게는 냄새를 발하는 더듬이가 없으므로 겨드랑이, 유방, 두피, 생식기 등에서 페로몬 pheromone을 발산한다.
이 메시지는 무의식적으로 감지되지만 그렇다고 효과가 덜한 것은 아니다.
인간은 5천만 개의 후각 끝신경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혀는 겨우 4가지 맛을 구별할 수 있을 뿐이지만,
우리의 코는 5천만 개의 세포로 수천 가지의 냄새를 구별할 수 있다.
냄새를 통한 의사 소통 방식은 어느 때 사용하는가?
우선, 성적인 유인을 하는 데 쓰인다.
여성은 인위적인 향기를 쓰지 않고도 남성을 아주 잘 유인할 수 있다.
남성이 여성 본래의 향기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인위적인 향기로 본래의 향기를 가리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남성은 다른 여성에게 거부당할 수도 있다.
여성의 페로몬이 그에게 <말을 하지> 않은 것이다.
그 과정은 미묘하다.
두 사람은 자기들이 후각적인 대화를 나누었다는 사실조차 눈치채지 못한다.
그러고는 그저 <사랑은 맹목적이다>라고 말할 것이다.
인간의 페로몬은 적대적인 관계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들이 그러하듯, 어떤 사람이 상대방에게서 <공포>의 메시지가 담긴 냄새를 맡게 되면,
그는 자연히 상대방을 공격하고 싶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페로몬이 가장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 가운데 하나로
월경 주기가 같아지는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함께 사는 여러 여자들이 냄새를 발산하면
그 냄새들이 그들의 기관을 조절해서 동시에 월경이 시작되게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 글은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열린책들, 2011)에서 옮긴 것이다.
2020. 10. 23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응주의 (0) | 2020.10.26 |
---|---|
강서대묘 사신도 (0) | 2020.10.23 |
2차 세계대전의 영웅, 패튼과 몽고메리 (0) | 2020.10.21 |
산성 발굴로 추적하는 세력 다툼, 아차산 고구려 보루 (0) | 2020.10.20 |
언론인과 문인에게 더 큰 책임 물은 프랑스 사법부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