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순응주의 본문

글과 그림

순응주의

새샘 2020. 10. 26. 11:43

<애쉬가 실험에 사용한 직선(출처 3)>

 

폴란드계 미국인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 Solomon Asch(1907~1996)는 미국 스워스모어 대학 Swarthmore College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력 테스트를 가장한 아주 간단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는 실험 대상자 즉 피험자들을 한 사람씩 따로 불러 위 그림의 왼쪽 직선을 보여주고서, 오른쪽 3개의 보기 직선에서 길이가 같은 것을 찾게 했더니 99% 이상이 보여준 직선과 같은 길이의 C를 선택했다.

 

이번에는 피험자 집단을 한꺼번에 같은 방에 모아 놓고 같은 실험을 해 보았다.

단 집단 실험에서 애쉬는 1명을 제외한 나머지 피험자들에게는 B를 정답으로 선택해 달라고 이미 부탁해 놓은 상태였다.

피험자 집단 중 단 1명만이 진짜 피험자였다.

가짜 피험자들에게 먼저 차례로 답을 묻고 나서, 맨 마지막에 진짜 피험자에게 답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애쉬의 집단 실험 결과 오답률(출처 2 그림을 출처 3 자료에 맞춰 수정)>

 

피험자 집단은 2~16명으로애쉬의 이 실험 결과는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놀라울 정도였다.

가짜 피험자가 1명(집단 피험자 수 2명)일 때는 진짜 피험자의 오답률은 3%에 불과했다.

하지만 가짜 피험자가 2명(집단 피험자 수 3명)일 때 앞서 답한 가짜 피험자 답을 그대로 따라서 conformed[순응하는, 동조하는] 답하는 오답률이 무려 13%로 증가했다.

가짜 피험자가 3명(집단 피험자 수 4명)일 때는 오답률은 급격하게 증가하여 32%를 기록하였고, 가짜 피험자 수가 4명(집단 피험자 수 5명) 이상일 때는 오답률은 약간 증가하긴 했지만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가짜 피험자 수가 6명(집단 피험자 수 7명)일 때의 최고 오답률 37%를 정점으로 하여, 늘어난 가짜 피험자 수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오답률은 약간 낮아지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가짜 피험자 수 3명일 때 최적 순응[동조] 효과 optimum conformity effect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애쉬의 실험은 순응주의의 위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사람들을 순응하게 만드는 데는 그렇게 많은 사람이 필요한 게 아니라 서너 명이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는 '사람 셋이 한 사람 바보 만들기 문제 없다!'는 말이 빈말이 아니라는 증거인 동시에 '오류에 빠진 집단은 개개인의 사고에 어마어마한 위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여준다.

 

그런데 진짜 이상한 것은 실험을 끝낸 진짜 피험자에게 나머지 피험자들은 오답을 가리키게 미리 짰다고 설명을 해줬음에도 60퍼센트에 이르는 진짜 피험자들이 여전히 자기가 말한 대답이 정답이라고 우겼다는 사실이다.

 

이런 현상을 파뉘르지슴[부화뇌동] panurgisme[일명 파뉘르주와 양떼]이라 부른다.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 라블레 Fransois Rabelais의 풍자소설 '제4서 팡타그뤼엘 The Fourth Book of Pantagruel'에 나오는 주인공 파뉘르주 Panurge가 이끄는 양떼의 행동에서 비롯된 용어다.

이것은 상인에게서 양을 한 마리 산 파뉘르주가 비싼 값에 속아서 샀다는 걸 알고 화를 못 참고 양 한 마리를 바다에 던져 버리자 나머지 양들도 모두 그 양을 뒤따라 바다로 뛰어든 현상을 이른 것이다.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모를 때 개인은 아무 생각 없이 집단의 선택을 따르고 싶음 마음을 갖게 된다.

하지만 동화되고 싶어 무조건 남들과 똑같이 하려는 것은 무척 해로운 발상이다.

그 선택의 결과가 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스템으로 편입되면 우리는 집단적인 유권자이자 소비자로 만들어질 뿐이다.

 

거짓을 듣는 데 익숙해진 세상에서는 사람들이 진실을 의심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끈질기게 설득하면 결국 스스로 생각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생각이 게으른 사람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생각하면서 자기만의 의견을 갖는 것이 꼭 필요하다.

 

※출처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기억 1'(열린책들, 2020)

2.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tranger234&logNo=22106983776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3. https://www.simplypsychology.org/asch-conformity.html

 

2020. 10. 26.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