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초원 김석신 "금호완춘도" 본문

글과 그림

초원 김석신 "금호완춘도"

새샘 2022. 5. 24. 13:11

김석신, 금호완춘도, 종이에 담채, 30.6x53.7cm, 개인(사진 출처-출처자료1)

 

긍재 김득신의 동생 초원蕉園 김석신金碩臣(1758~?) 역시 그림을 잘 그려 개성 김씨 집안 화가로 이름을 올렸다.

김석신은 자식이 없는 큰아버지 복헌 김응환의 양자로 들어가 화가로서 성공했다.

 

지금 전하는 김석신의 그림은 전부 사생화寫生畫[실재하는 사물을 보고 모양을 간추려서 그린 그림]다.

첫째로, ≪도봉첩道峯帖≫은 한국전쟁 동안 없어져버린 화첩이며, 이 화첩 표지에 붙었었던 <도봉도道峯圖> 그림만 남아 현재 볼 수 있다[새샘 블로그 2021. 6. 24 '정황 "노적쉬치도", 김석신 "도봉도". "가고중류도", 강희언 "인왕산도" 참조(https://blog.daum.net/micropsjj/17040230)].

이 그림은 서용보와 이제학을 따라서 도봉 근처를 갔다가 그렸던 사생 그림이다.

그림 실력이 대단해서 이만한 실력이면 그림이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전하는 그림은 없다.

 

둘째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1864~1953)이 예전에 가지고 있던 한강을 내려오면서 그린 그림첩이어서 흔히 ≪한강첩漢江帖≫으로 불리는 화첩에는 김석신의 그림이 네 폭이 들어 있는데, 그 중 배 타고 내려오는 그림인 <가고중류도笳鼓中流圖> 아주 인기가 많은 그림이다[새샘 블로그 2021. 6. 24 '정황 "노적쉬치도", 김석신 "도봉도". "가고중류도", 강희언 "인왕산도" 참조(https://blog.daum.net/micropsjj/17040230)].

 

한강변 금호동 근처 별서別墅[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으로서, 별장과 비슷하나 농사를 짓는다는 점이 다름]에서 봄을 즐기는 아회도雅會圖[풍류를 즐기거나 시문을 짓기 위한 문인들의 고상한 모임]<금호완춘도琴湖玩春圖> 역시 ≪한강첩漢江帖≫에 들어 있는 그림이다.

 

김석신, 금호완춘도, 종이에 담채, 30.6x53.7cm, 개인(사진 출처-출처자료2)

 

별서에서 한담을 하면서 봄의 자연을 즐겨 구경하는[완상玩賞] 모습을 그린 아회도인 <금호완춘도>에 그려진 집들은 아회가 열리고 있는 추수루秋水樓, 그 오른쪽에 부녀자가 거처하는 안채(내사內舍), 추수루 뒤 활엽수림 안의 기와집, 그리고 추수루 왼쪽 산골짜기 시냇물인 계류溪流 근처에 지은 정자인 수각水閣과 그 뒤 모정茅亭[짚이나 새 따위로 지붕을 인 정자]인 개석정介石亭 등이다.

그리고 화면 왼쪽 위에 있는 기암 부근에서 시냇물(계류)이 흘러내리고, 시냇물 옆으로 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못인 지당池塘이 있으며, 곳곳에 소나무(노송), 대나무, 버드나무, 매실나무와 활엽수림과 같은 식물들이 주변 산수와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금호완춘도>는 당시 동호東湖의 두모포豆毛浦, 입석포立石浦와 인접한 한강변 경승지景勝地[경치 좋은 곳]에 조성된 별서 풍경으로서 사랑채로 보이는 추수로 안에 문인들이 모여 있으며, 시냇물이 흐르는 인접한 산수에 정자인 수각과 개석정, 그리고 장대석의 지당이 배치되어 있다. 

 

위에서 든 다섯 폭의 그림 외에 남화풍인 조그만 편화片畵[화첩에서 떨어져 나온 낱장 그림] 하나가 현재 전해지는 김석신 그림의 전부일 정도이다.

 

이렇게 드문 김석신의 사생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실력이 아주 대단해서 그림이 조금 더 남아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이 든다.

 

그런데 김석신이 그린 그림은 어딘지 모르게 겸재풍을 닮고 있어 정선파鄭敾派로 분류되는데[[새샘 블로그 2021. 6. 24 '정황 "노적쉬치도", 김석신 "도봉도". "가고중류도", 강희언 "인왕산도" 참조(https://blog.daum.net/micropsjj/17040230)], 어찌하여 형 득신은 단원풍을 닮고, 아우 석신은 겸재풍을 닮았는지 의아스럽지만, 그 까닭을 지금으로선 알 수가 없다.

 

※출처

1. 이용희 지음,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 - 동주 이용희 전집 10'(연암서가, 2018)

2. 임의제·소현수, '아회도에 나타난 조선 후기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3호, 46~57쪽, 2014. 9.

 

2022. 5. 24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