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지난 세월의 향기 본문

글과 그림

지난 세월의 향기

새샘 2024. 9. 22. 11:36

"향기는 말, 외모, 감정이나 의지의 힘보다 강한 설득력을 지닌다."

-파트리크 쥐스킨트 Patrick Süskind,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중에서-
 
 
인류 최초의 무덤으로 이스라엘 Israel의 샤니다르 동굴 Shanidar Cave에서 발견된 6만 년 전의 사람뼈를 꼽는다.
이것을 무덤으로 간주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시신 주변에서 발견된 다양한 꽃가루 성분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당시 살아있는 사람들이 먼저 떠나간 가족을 추모하여 다양한 향기를 풍기는 꽃다발을 놓았던 것으로 추정한다.
 
향기는 인간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하지만 몇천 년 동안 땅속에 있는 유물에서 향긋한 냄새를 기대하는 건 대부분의 경우 무리다.
그럼에도 가끔은 예상치도 못한 몇백 년 세월의 무게를 견딘 향기와 만나기도 한다.
 
2002년 한일 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이 들썩일 때 필자는 러시아 Russia 상트페테르부르크 Saint Petersburg의 고고민족학박물관(일명 쿤스트카메라 Kunstkamera)에서 조용히 한국의 유물을 조사하고 있었다.
당시 그곳에는 러시아가 구한말에 한국과 외교관계를 맺으며 주고받은 선물과 북간도北間島(또는 동간도間島 :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로 이주한 고려인들이 쓰던 유물 2,000여 점이 있었다.
 
보름 남짓한 출장 기간에 수많은 유물을 정리해야 하는 정신없던 상황에서 고고민족학박물관의 관계자가 꼭 보여줄 것이 있다면서 무엇인가를 책상 위에 올려놓았다.
큰 종이를 풀어 보니 모두 45개의 약재 첩이 나왔다.
또박또박 한문으로 이름이 써 있었고 그 안에는 각각의 한약 재료가 포장이 되어 있었다.
이 한약은 아관파천俄館播遷 이후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시기에 웨베르(또는 베베르) Waeber(또는 Weber) 공사에게 전달된 것이다.
고종황제는 러시아 공사가 임무를 마치고 러시아로 돌아가는 길에 혹여나 병이 날까 걱정하였고, 응급 한약들을 한 포 한 포 정성스럽게 싸서 웨베르 공사의 주치의인 야쭈트에게 상세한 복용법과 각 한약의 이름을 적어서 준 것이다.
 
각 약봉지에는 한문과 그것을 번역한 이름과 효능이 러시아어로 정성스럽게 적혀 있었다.
그 약봉지들이 풀리지 않은 채 100여 년 전 그때 그 모습으로 내 앞에 놓여 있었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그 중에 한문으로 감초'甘草'라고 쓰인 작은 봉지를 열었다.
봉지 안에는 지난 세월이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생생하게 노란 감초가 남아 있었다.
더욱 놀라운 건 감초 특유의 달큼한 향이 풍겨오는 것이 아닌가.
한약에서 가장 흔하게 쓰는 약초인 감초 냄새였다.
한 입 깨물어 맛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날 정도로 나를 매혹하는 향기였다.
그 순간 쿰쿰한 곰팡이 냄새가 나는 유물창고의 분위기가 한번 변하는 느낌이었다.
 
 

○고수풀과 고향의 추억

 
향신료 가운데서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 중 하나가 바로 고수풀이다.
필자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에 조사를 갈 때 식당에서 인사말 다음으로 많이 하는 중국어가 "비에팡샹차이(향채 좀 빼주세요)"일 정도다.
하지만 이 고수풀은 중국과 초원 일대에서 유목민들이 널리 사용한다.
 
초원의 사람들은 강한 향기를 풍기는 약초를 썼다.
그들에게 향기라는 것은 바로 각 풀의 약효를 의미했다.
심지어 고고학 유적에서도 이 고수풀은 널리 발견된다.
강한 향기뿐만 아니라 세균의 증식을 막는 등의 약리 효과를 과거의 사람들도 알았던 듯하다.
 
시베리아 Siberia에서 살아본 사람이라면 가장 힘든 것은 바로 모기라는 걸 안다.
추운 시베리아에서 웬 모기인가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겨우내 얼어붙은 숲은 봄이 되어 한번에 녹으면서 모기가 살기에 적합한 소택지가 된다.
그러니 숲에 들어가면 모기들에 둘러싸이게 된다.
필자가 처음 시베리아의 발굴장을 갔을 때에도 제일 힘들었던 건 음식도, 고된 일도 아닌, 바로 모기였다.
벌떼처럼 달려드는 모기는 상상을 초월한 정도로 참기 힘들었다.
모기퇴치약을 몸에 뿌리는 것으로는 도저히 해결이 되지 않았다.
힘들어하는 필자에게 러시아 동료들은 모기약은 몸에도 안 좋고 실제로도 도움이 안 된다며 대신에 자기들처럼 고수풀을 많이 먹어보라고 권했다.
하지만 필자에겐 너무 역한 맛이어서 많이 먹지는 못했다.
그래도 기분 탓인지 나에게 달려드는 모기가 좀 적어진 것 같았다.
시베리아 사람들은 여러 음식에 고수풀을 넣어 먹고 다양한 잡초를 태우는, 다소 원시적으로 보이는 방법으로 모기를 쫓는 걸 선호했다.
 
 

파지릭 고분 내 매장 유물 복원도(출처-출처자료1)

 
고수풀은 2500년 전 알타이 고원 Altai Plateau에서 번성했던 유목민들의 문화인 파지릭 문화 Pazyryk Culture에서도 발견되었다.
흔히 알타이의 얼음공주 (Siberian) Ice Maiden(또는 Princess of Ukok/Altai Princess)라고 불리는 우코크 고원 Ukok Plateau의 아크-알라하 Ak-Alakha 고분에서는 여성 미라의 바로 옆엔 놓인 돌그릇에서 고수 씨앗이 발견되었다.
시신 옆에 향을 피우기 위해 고수 씨앗을 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이 고수풀의 원산지가 지중해라는 점이다.
고수풀의 영어 이름인 'coriander'와 비슷한 이름이 이미 3500년 전에 지중해에서 발달한 미케네 문명 Mycenaean Civilization의 선형문자線形文字 linear letter B(기록되어 전해지는 가장 이른 시기의 그리스어인 미케네 그리스어 Mycenaean Greek를 기록했던 음절 문자. 영국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 Arthur John Evans가 1900년 크노소스 Knossos에서 이 문자가 새겨진 점토판을 대량 발굴했다)에서 보인다.
이후 페르시아 문명 Persian Civilization이 발흥한 근동과 중앙아시아에서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집트 Egypt에서도 고수풀의 씨앗이 가진 효능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약 3900년 전에 발달한 이집트 제12왕조의 무덤들에서 고수풀의 씨앗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스 Greece에서도 고수풀을 숯에 넣어서 그 연기를 흡입하는, 일종의 훈증법을 사용했다는 건 호머 Homer, 히포크라테스 Hippocrates, 헤로도토스 Herodotus 등의 기록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고대 지중해, 그리스, 이집트의 사람들이 모두 쓸 정도로 고수풀은 인간의 문명과 함께한 약초였다.
 
실제로 고수풀은 여러 면에서 유용한 약초다.
하지만 이 고수풀은 알타이에서는 야생으로 자라지 않는다.
고수풀이 자라기엔 알타이의 자연환경이 너무 추운 탓이다.
그렇다면 파지릭인 Pazyryk들은 어떻게 고수풀을 알고 사용할 수 있었을까.
이는 파지릭인들 무덤의 껴묻거리를 보면 짐작할 수 있다.
파지릭인들은 페르시아 계통의 사람들이 초원을 찾아서 시베리아로 온 것임이 밝혀졌는데, 그들이 사용한 카펫 carpet과 수많은 귀중품들은 당시 페르시아 계열의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사람들은 원래 고향에서부터 사용하던 여러 향료들과 고수풀을 수입해서 썼다고 생각할 수 있다.
 
얼음공주라 불린 아크-알라하의 여성 미라는 그 신분이 제관祭官, 즉 샤먼 shaman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어쩌면 그녀가 죽어서 저세상으로 돌아갈 때 그들의 조상이 원래 살던 지역에서 흔히 자라던 고수풀의 향기를 함께 머리맡에 두어서 다시 천상의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실제로 고대 그리스의 장례에서는 향기가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성경에서도 향유는 장례를 포함한 중요한 삶의 순간에 등장한다.
≪창세기≫에는 이집트의 재상을 지낸 요셉 Joseph과 그의 아버지 야곱 Jacob을 장례 지낼 때에 향유를 부어서 죽은 자에게 예를 다했다고 적혀 있다.
≪신약≫에서도 예수의 시신을 장례할 때에 몰약沒藥[미르라 myrrh(a): 아프리카산 감람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인 몰약꽃에서 채집한 고무 수지]과 침향沈香(침향나뭇진)을 쓴다는 기록이 있다.
장례를 지내는 다양한 과정에서 시신에서 나는 악취는 피할 수 없었으니, 그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향이 쓰였다.
또한 향기는 그 사람이 살았을 때의 모습을 떠올리게 할 수 있다.

과거의 기억과 역사는 향기에도 각인되어 있다.

 
 

○체렘샤의 알싸한 맛과 단군신화

 
고수풀은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다.
반면에 단군신화에서 등장하는 마늘은 우리에게 무척 친숙한 존재다.
단군신화의 마늘은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그런 쪽이 지는 마늘인 쪽마늘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쪽마늘은 한나라 때에 실크로드를 따라서 아시아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쪽마늘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 pyramid를 건설하던 히브리 Hebrew 노예들이 즐겨 먹었던 음식이라고 ≪구약성경≫에도 기록되어 있다.
모세 Moses가 이집트를 탈출한 엑소더스 Exodus 이후에 히브리인들이 마늘이 없다는 불평을 늘어놓았다고 적혀 있다.
실제로 투탕카멘 Tutankhamun의 무덤과 같은 고대 이집트의 여러 유적에서 건조된 마늘의 흔적이 발견된다.
 
대신에 유라시아 전역에서는 '야생마늘' 또는 '곰마늘'이라고도 불리는 명이나물이 널리 애용되었다.
야생마늘은 학명으로도 알리움 우르시눔 Allium ursinum 즉 곰의 마늘이란 뜻이다.
그런데 단군신화에 쑥과 마늘이 등장한다는 점을 생각해보자.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마늘은 아마 곰마늘의 일종일 가능성이 더 크다.
최근 연구에서는 유럽의 24개 언어를 조사해본 결과 공통적으로 명이나물은 '곰마늘' 또는 '곰파'로 부른다고 한다.
 
시베리아의 원주민들은 공통적으로 봄에 알싸한 곰마늘을 즐겨 먹었다.
마늘은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해서 극동의 한대에도 널리 퍼져 있었다.
그러니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마늘은 유라시아에 전역에서 자생하던 야생마늘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울릉도에서 유래한 명이나물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지만, 이것은 최근에 생긴 명칭이다.
 
알싸한 봄의 전령사인 곰마늘의 위력을 절감한 건 시베리아 유학시절이었다.
시베리아에서 제일 힘든 시간은 한겨울이 아니다.
바로 4월이다.
이르면 10월 말부터 내리기 시작하는 시베리아의 눈은 5월 초까지도 남아 있다.
반 년 이상 눈밭에 갇혀 있다 보면 몸과 마음은 지칠 대로 지치는데, 그 마지막이 4월인 것이다.
그래서 5월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4~5월이 되면 숲에 눈이 녹으면서 곰마늘이 자란다.
명이나물보다는 러시아어 체렘샤 cheremsha가 필자에겐 더 익숙하게 들린다.
봄이 되어 맵싸한 냄새가 시장에 풍기면 드디어 지긋지긋한 시베리아의 겨울에서 벗어났다는 안도감이 들곤 했다.
체렘샤는 그냥 보면 잡초 같지만 한 입 물면 우리가 좋아하는 맵싸한 마늘의 맛이 입 안 가득 퍼진다.
쉽게, 마늘종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워낙 비타민이 풍부하다 보니 마늘향을 싫어하는 러시아 사람들고 참고 먹거나, 아니면 갈아서 소스로 만들어 먹는다.
 
체렘샤는 우리가 알고 있는 마늘의 시원적 형태이다.
사람들은 태고적부터 마늘이 힘을 돋우는 음식이라 생각했으며, 때로는 그 강한 향 때문에 주술적인 의미까지도 부여했다.
 
한국은 건조한 기후가 아니기 때문에 과거 마늘의 흔적이 아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1만 년 전 덴마크 Denmark의 중석기시대 유적에서 야생마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다른 식물 자료들과 마찬가지로 마늘의 흔적은 고고학적으로 찾기가 힘들다.
하지만 세계 곳곳에 퍼져 있는 마늘에 대한 이야기와 그 독특한 향기, 약효를 생각하면 앞으로 더 많은 유적에서 체렘샤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이제까지 많은 연구는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쑥과 마늘의 의미를 통과의례, 빛과 하늘의 신화, 곰과 호랑이의 토템 totem 등 다양하게 해석해왔다.
그런데 단군신화의 진짜 의의는 바로 유라시아의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핀란드 Finland에서 태평양 연안의 캄차카 Kamchatka까지 곰과 관련된 신화가 없는 부족은 없다.
그리고 이 모든 지역에서는 기나긴 겨울을 지나 등장하는 알싸한 곰마늘의 향을 느낄 수 있다.

어쩌면 곰마늘의 맛과 향에서 단군신화에서 잊혀진 또 다른 이야기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초원의 향기

 

알타이 지역 카자흐스탄 베렐 고분의 복원된 말 무덤과 그 밑에 깔린 물싸리(출처-출처자료1)

 

2500년 전 알타이 지역의 유목민들은 물싸리를 베개로 주로 사용했다.

물싸리는 바이칼이나 알타이 같은 시베리아의 산속에서 많이 자생한다.
작은 노란색 꽃을 피우지만 향기가 짙고 아름답기 때문에 물싸리는 '시베리아의 에델바이스 Siberian edelweiss'라고 불리기도 한다.
러시아에서는 '쿠릴의 차 Kuril's tea'라고 불리는 물싸리는 고고학자들에겐 특히 친숙하다.
돌이 많은 곳 근처에 주로 피어 파지릭 문화의 고분, 암각화 그리고 사슴돌(녹석鹿石) Deer stone(사슴 모양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고대 거석 기념물) 같은 고대의 유적 근처에서 어김없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싸리는 무덤에서도 많이 쓰였다.
시신을 눕힐 때 그 밑에 깔았고, 무덤을 만들고 나면 그 위를 물싸리로 빽빽하게 덮었다.
 
파지릭인들에게 이 물싸리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파지릭 고분의 무덤은 주로 초가을에 만드는데 물싸리는 여름이 시작할 때 꽃을 피운다.
파지릭인들은 봄에 조상들의 무덤을 찾아가 무덤 근처에 물싸리 꽃이 피면 따서 모아두었다.
그리고 그해 조상의 곁으로 돌아가는 가족이 있으면 그의 무덤에 헌화했다.
꽃은 세계 각지에서 부활을 의미하는 상징이니, 파지릭인들에게 바로 이 물싸리가 부활의 상징이었을 것이다.
파지릭인들은 관에 황금으로 꽃장식을 수놓았는데, 이 물싸리의 꽃을 형상화한 것이다.
 
알프스의 에델바이스가 강한 생명력을 상징하듯 시베리아의 물싸리도 험난한 유목생활의 순간순간을 아름답게 해주는 꽃이었다.
저승 가는 길에 뿌려서 산화공덕散花功德(부처가 지나가는 길에 꽃을 뿌려 그 덕을 기린다는 뜻의 불교 용어)을 하는 매개체이기도 했다.
발굴을 하다 돌들로 덮인 옛 고분들 사이에서 물싸리를 보게 되면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상념에 잠기곤 했다.
파지릭인들은 이제 사라지고 없지만, 그들도 필자처럼 이 물싸리 꽃을 보며 짧은 초원의 여름, 그 한순간을 즐겼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면 왠지 마음 한편이 뭉클해지면서 따스해진다.
초원의 풀이 단순한 잡초가 아니라 과거와 나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는 그 순간, 고고학자만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의 호사를 즐기게 된다.
 
초원 유목민들에게 향기는 단조로운 삶에서 잠시 벗어나는 힐링 healing의 수단이기도 했다.
지금도 몽골 유목민들의 휴대품 중에는 향수병이 있다.
초원 남자들에게는 필수품과 같은 것인데, 그들은 이 향수를 몸에 뿌리지는 않는다.
약초나 꽃으로 만든 방향제를 향수병에 넣고 다니면서 사람들을 만나면 마치 담배를 나눠 피우듯이 서로의 병에 담긴 냄새를 맡으며 대화를 나눈다.
차 한 잔 마시듯 향수를 공유하는 것이다.
그렇게 향기를 맡으면서 각자의 기호도 알고 또 새로운 향기를 즐긴다.
 
유감스럽게도 오늘날 과거의 향기를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갓 발굴한 토기 조각에서는 특유의 흙냄새가 은은하게 남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건 잠시뿐!
깨진 토기 조각들을 붙이는 본드 냄새가 이내 흙냄새를 지워 버린다.
사실 고고학자들에게는 본드 냄새가 더 친숙하다.
지금은 환각 성분도 없고 더 안전한 록타이트 Loctite로 바뀌었지만, 필자가 처음 고고학을 시작할 때만 해도 강한 본드 냄새가 흙냄새와 함께 작업실에 진동했다.
그리고 유물을 보관하는 창고는 유물 자체의 냄새보다는 보존처리 약품의 역한 냄새 탓에 오래 있기 힘들 때가 많다.
물론 유물의 보존을 위해서는 감내해야 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과거 사람들을 매혹시켰던 향기가 사라진 유물을 볼 때면 뭔가가 빠져버린 듯한 아쉬움은 늘 있다.
 
 

초원의 풍경(출처-출처자료1)

 
그래서 필자는 초원으로 직접 조사를 나가는 걸 좋아하다.
과거 사람들이 좋아했던 향기를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사람들은 대부분 그들 주변에서 구할 수 있었던 꽃과 약초에서 향을 얻었다.
알타이 고분에서 발견된 약초는 고수풀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지금도 초원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약초들이다.
 
초원을 조사할 때에 틈만 나면 땅에 누워보곤 한다.
그러면 온갖 풀들의 희미한 향이 더 또렷하게 맡아진다.
민트향, 맵싸한 향, 달콤한 향.
이 초원의 향은 순간 다른 시간으로 나를 데려간다.

몇천 년 동안 이 땅에서 살아온 유목민들의 삶 속으로,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그들과 나는 이렇게 향기로 소통한다.

나 혼자 하는 공상일지도 모르겠지만.
 
결국 우리도 먼 훗날 죽어 뼈만 남고 향기조차 남지 않게 될 것이다.
그때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기억이 될까.
너무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그 기억은 흐릿해질 것이고, 어쩌면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느 날, 어느 곳, 누군가에게서, 우리가 살아 있을 때의 향기와 비슷한 어떤 냄새를 맡았을 때 우리의 아이들은 우리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향이라는 건 그래서 아주 강력한 기억의 소환제이다.
 
코를 킁킁거리며 나의 향을 맡아본다.
내게서 나는 향을 나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내게서도 어떤 향이 나고 있을 것이다.
어떤 향기로 나는 기억될까.
좋은 향이었으면 하고 바래본다.
 
대학 시절 내 친구는 나에게 운향雲香이라는 호를 지어준 적이 있다.
운향은 책을 좋아하는 선비들이 책의 곰팡내를 없애기 위해 두었던 향이다.
유독 책을 좋아했던 나에게 책 속에만 파묻히지 말고 언제나 신선한 향을 풍기는 학자가 되라는 뜻이었다.
그렇다.

나는 자기만의 세계에서 고이지 않고 언제나 신선한 향기를 품은 사람이 되고 싶다.

 
※출처
1. 강인욱 지음,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흐름출판, 2019.
2. 구글 관련 자료
 
2024. 9. 22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