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오원 장승업 "수리" "고양이" "쏘가리" 본문
"우리의 취흥을 필묵에 담아볼 거나"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1843~1897)은 조선왕조의 마지막을 장식한 전설적인 화가다.
그러나 그림을 좀 안다는 사람에게 오원은 미궁 속의 화가이기도 하다.
오래전 모처럼 <오원 장승업 특별전>이 열렸을 때 전시를 보고 온 미술애호가 한 분이 필자에게 불만이 가득 찬 목소리로 말했다.
"도대체 오원의 아이덴티티 identity(정체성正體性: 변하지 아니하는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가 무업니까? 작품이 아름답다는 겁니까 아니면 개성 있는 화가라는 겁니까?"
오원의 명성에 이끌려 전시회에 가보았는데 화조화, 동물화, 산수화, 신선화, 기명절지도 등 한결같이 소재가 진부하고 상투적인 데다 진경산수나 풍속화는 한 점도 없고 문인화다운 문인화도 없더라는 것이다.
정확히 본 것이다.
사실 이것이 오원 장승업의 예술 세계이자 오원 장승업의 약점이다.
그는 주어진 소재를 거침없이 잘 그려내어 명성을 얻은 것이지, 작가 정신을 발현한 화가는 아니었다.
그럴 만한 소양이 없었고 작가적 고뇌도 없었다.
장지연張志淵의 ≪일사유사逸士遺事≫에 따르면 장승업은 조실부모한 일자무식의 비렁뱅이로 한 부잣집에서 머슴을 살았다고 한다.
그 부잣집은 수표교에 살던 이응헌李應憲 또는 역관 출신의 변원규卞元奎라고도 한다.
장승업은 주인집 도련님이 글공부하는 것을 어깨너머로 배우고, 주인이 사랑방에서 손님들과 함께 중국의 명화를 감상하는 것을 보다가 문득 그림의 이치를 터득하여 붓도 쥘 줄 모르면서 산수화, 화조화 등을 닥치는 대로 그려내었다.
이 소문은 장안에 퍼져 그는 졸지에 인기 화가가 되었고 급기야 궁궐에까지 알려져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자비대령화원: 조선 후기 왕실과 관련된 서사 및 도화 활동을 담당하기 위하여 도화서에서 임시로 차출되는 화원)이 되었다.
장승업은 의기양양하여 "단원, 혜원만 '원園'이냐 나(오吾)도 '원'이다"라며 자신의 호를 오원吾園이라 했다.
그러나 그는 객기가 넘치고 술과 여자를 몹시 좋아했으며 특히 어떤 것에도 얽매이기를 싫어하는 통제불능의 인물이었다.
그림을 그려 돈을 벌면 주색으로 탕진했고 마흔 살에 늦장가를 들었으나 하룻밤을 지내고는 처를 버렸다고 한다.
구속받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했기에 왕실 병풍을 제작하라는 명을 받고 궁궐에 불려갔을 때 두 차례나 도망쳐 큰 벌을 받을 지경에 이르렀다가 민영환의 도움으로 간신히 화를 면하기도 했다.
이러한 무절제한 성격 때문에 무성의한 태작駄作(졸작拙作)도 남발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오원의 작품은 걸작과 졸작이 뒤엉켜 어떤 작품으로 말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평가를 받게 된다.
반면 이러한 기질이 긍정적으로 나타날 때는 강렬한 필법과 묵법으로 화면상에 웅혼한 기상이 감돈다.
오원의 명작으로는 리움미술관 소장의 <수리>와 <꿩>을 꼽는다.
<호취도豪鷲圖>라고도 불리는 <수리> 그림을 보면 노목의 굵은 가지에 올라앉은 한 쌍의 수리를 그렸는데, 아래쪽 수리는 먼 데를 응시하는 눈빛이 매섭기 그지없고, 위쪽 수리는 땅 아래 먹잇감을 보았는지 꼬리를 치켜 올리고 고개는 한쪽 방향으로 틀고 있다.
나뭇가지를 박차고 비상하기 위해 날카로운 발톱이 드러나 있다.
그 순간을 포착한 솜씨는 오원이 왜 오원이가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화면 왼쪽 위 화제는 오원 작품의 화제를 많이 쓴 몽인 정학교가 쓴 것이다.
몽인은 오원의 심사를 잘 알아 굵고 가늘게 퉁길 듯 날아갈 듯 변화무쌍한 필획들을 번드쳐 쌩하는 삼엄한 소리를 내는 듯한 글씨체로 다음과 같은 글을 써 내려갔다.
"땅 넓고 산 드높아 장한 의기 더해 주고 (지활산고첨의기 地闊山高添意氣)
마른 잎에 가을 풀 소리 정신이 새롭구나 (풍고초동장정신 楓枯艸動長精神)"
<수리>와 같은 병풍이었다가 낙질落帙된(한 질을 이루는 여러 권의 책 중에서 빠져나온) 것으로 보이는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의 <고양이>(<유묘도遊猫圖>라고도 한다)도 오원의 신들린 필치를 잘 보여준다.
아무렇게나 뻗어 올라간 노목의 줄기는 불과 몇 분 만에 그렸을 것 같은 속도감이 느껴지며 나무 아래위에서 장난치는 고양이 세 마리의 묘사는 정교하기 그지없다.
몇 해 전 리움미술관에서 <조산화원대전>이 열렸다.
조선시대 역대 화원들의 명작을 한자리에 모은 대단한 규모였는데 오원의 <수리>, <꿩>, <고양이>가 함께 전시되었다.
세 작품이 어우러진 공간에서는 필묵이 화면 밖으로 튀어나올 것만 같은 활력이 솟아나고 있었다.
다른 화가에서는 볼 수 없는 싱싱함이 가득하여 그야말로 기운생동氣韻生動(기품이 넘침)의 공간이었다.
오원이 당대의 유명화가가 된 까닭은 그동안 화단에 만연해 있던 단원 화풍의 매너리즘 mannerism(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신선미와 독창성을 잃는 일)과 추사 아류의 문인화풍에서 홀연히 벗어나, 화가란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이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매천梅泉 황현黃玹은 오원의 그림 병풍에 다음과 같이 제화하였다.
"오원 장승업의 그림은 근대의 신품神品이라고 추앙받아 유력자가 아니면 가질 수가 없다. ········· 나는 그림을 잘 모르기 때문에 그 공교롭고 묘함을 헤아리진 못한다. 다만 필치가 대단히 소방疏放(데면데면하고 방자함)하고 계산하지 않은 듯 가볍게 점철點綴(흐트러진 여러 점이 서로 이어짐)했는데도 자연스러운 가운데 그윽한 운치가 있다. 이런 것을 일컬어 신품이라고 하는가 보다."
일찍이 환재瓛齋 박규수朴珪壽는 당시 화단에 만연해 있던 문인화의 사의지법寫意之法(사물의 형태보다는 담긴 의미를 담아 그리는 화법)이 말폐末弊(마지막 폐단) 현상을 일으켜 일종의 아마추어리즘amateurism(즐기기 위하여 취미 삼아 그리는 태도)이 팽배해 있음을 호되게 비판한 적이 있다.
추사 이후 주눅 들어 있던 화원들에게 직업 화가라면 직업 화가다운 본연의 모습을 찾으라고 호소하였다.
이런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나타난 것이 오원 장승업이었고 그는 진실로 프로가 무엇인가를 보여주면서 당대의 스타가 된 것이다.
오원은 배운 것이 없어서 글자속이 없었다(글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르는 일자무식이었다).
그래서 '오원 장승업' 다섯 글자만 질질 끌리는 글씨로 겨우 써넣고 화제는 정학교, 안중식, 김영 같은 서화가들이 대필해주곤 했다.
<수리>와 <고양이> 그림의 흐드러진 필체는 몽인夢人 정학교丁學敎의 글씨다.
오원 장승업은 당시 청나라에서 유행했던 기명절지器皿折枝(여러 가지 그릇과 꽃가지, 과일 따위를 섞어서 그린 그림)도 많이 그렸다.
이는 시창청공詩窓淸供(마음의 창문을 통해 보이는 맑고 깨끗한 선비의 물건)이라는 문인풍의 정물화가 도안화된 그림이다.
기명절지는 오원에게는 정말로 잘 맞지 않는 화제였다.
그러나 아무리 배우지 못했다 해도 시정詩情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고, 또 그런 소재를 많이 그리다 보면 자기화시킬 수도 있는 법이다.
<쏘가리>(<쏘가리와 그릇>이라고도 부른다)라는 작품은 오원다운 기명절지화라 할 만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화면 왼쪽에 춘방春舫 김영金瑛이 대필한 화제를 보면 내용은 이렇다.
"노란 국화를 꺾어 큰 술독(준뢰樽罍)에 올려놓으니 그야말로 술꾼들이 제철을 맞는 가을이다. 귤이 노랗게 익었고 무도 살이 잘 쪘는데 낚시꾼은 대어를 낚아왔으니 두세 명의 지기와 어울려 무하향無何鄕(어디에도 없는 곳)을 이루며 기탄없이 놀면서 세상 밖의 시비는 불문에 부칠 일이다."
화면 오른쪽에는 누구인지 모르지만 우당藕塘 대인大人에게 드린다고 하였으니 혹 오원, 춘방, 우당 셋이 모여 술자리를 하면서 그린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림은 화제의 내용대로 커다란 중국식 술독에 국화꽃 화분이 놓여 있고 항아리 손잡이에는 싱싱한 쏘가리 한 마리가 달려 있다.
아래쪽엔 술 주전자와 당근, 무, 파 등 안주감이 풍성하다.
마른 붓질로 거침없이 쓱쓱 그려간 붓놀림이 소략疏略한(꼼꼼하지 못하고 간략한) 가운데 항아리는 큼직한 볼륨감을 자랑하고 있고, 매달린 쏘가리는 지느러미가 생생하고 눈동자도 동그랗다.
쏘가리를 잡아맨 끈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있는데 술독 위의 국화꽃은 청초하여 화면에는 신선한 멋과 유머조차 느껴진다.
오원 필묵의 멋이 확연히 드러나는 작품이다.
화제를 보면 임진년(1892)에 그렸다고 적혀 있으니 오원의 나이 50세로 필력이 한창 원숙할 때다.
화제를 쓴 춘방은 그런대로 이름을 얻은 서화가인데 가끔 서화를 감상하고는 감정인鑑正印을 찍곤 했다.
이 그림에는 '증경아안즉아유 曾經我眼卽我有'라는 도장을 사용했다.
풀이하면 그 뜻은 이렇다.
"이미 내 눈을 거쳐간 것은 내 것"
오원 장승업은 불행하게도 화가로서 자기 관리를 하지 못하고 쏟아지는 주문에 일일이 응하면서 졸작을 남발했다.
그러나 우리는 친구를 사귈 때나 역사적 인물을 기릴 때나 그의 장점을 찾아 인생의 벗으로 삼고 역사적 교훈으로 삼지 않는가.
오원의 <수리>, <고양이>, <쏘가리> 같은 명작이 없었다면 조선 말기의 회화가 얼마나 쓸쓸했을까를 생각해본다면 오원의 회화사적 위상은 자명해진다.
※출처
1. 유홍준 지음, '명작 순례 - 옛 그림과 글씨를 보는 눈', (주)눌와, 2013
2. 새샘 블로그 2023. 6. 22 '오원 장승업 "호취도" "쌍치도" "수탉" (https://micropsjj.tistory.com/17040776)(<수리> 화제)
3. 구글 관련 자료
2024. 11. 13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고학을 꽃피우게 한 제국주의 (6) | 2024.11.15 |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4부 중세에서 근대로 - 13장 종교개혁 4: 잉글랜드 종교개혁 (3) | 2024.11.15 |
해장국 - 숙취를 해결하며 화합을 도모하다 (9) | 2024.11.12 |
시험관 아기의 역사 및 생명 복제와 아기 양 돌리 (1) | 2024.11.11 |
파괴와 복원, 고고학 발굴의 패러독스 (9)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