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국 옐로우스톤
- 싱가포르
- 체코
- 스웨덴
- 울릉도
- 영국
- 알래스카
- 프랑스
- 노르웨이
- 폴란드
- 알래스카 크루즈
- 덴마크
- 헝가리
- 러시아
- 영국 스코틀랜트
- ㅓ
- 중국 베이징
- 미국 플로리다
- 미국 알래스카
- 영국 스코틀랜드
- 1ㄴ
- 알래스카 내륙
- 미국 하와이
- 일본 규슈
- 남인도
- 하와이
- 오스트리아
- 독일
- 미국 요세미티
- 미얀마
- Today
- Total
새샘(淸泉)
오원 장승업 "홍백매도" 본문
"눈으로 듣고 귀로 보는, 매화꽃의 노래"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의교향곡 9번 <합창 Choral>이 가슴을 울린다.
웅장한 <합창>을 듣고 있노라면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홍백매도紅白梅圖>가 눈앞에 펼쳐진다.
파도가 거칠게 휘몰아치다가 다시 잔잔해지는 바다 같다.
대학교 4학년 때, 고등학교에 교생실습을 나간 적이 있다.
시간표에 맞춰 생활하다 보니 숨이 멎을 것만 같았다.
그때마다 음악실에서 흘러나오는 교생들의 바이올린 violin 연주와 피아노 piano 연주가 숨통을 틔워주었다.
음악은 공기청정기였고 비타민 vitamin이었다.
그 뒤부터 음악은 인생의 동반자가 되었다.
추운 겨울을 이겨낸 붉은 동백과 희고 붉은 매화가 개화의 질주를 시작했다.
신문이나 TV에 앞다투어 장식하는 봄꽃이, 그러나 장승업의 <홍백매도>만 하랴.
아름드리나무에서 매화꽃이 몇백 발의 폭죽처럼 터졌다.
만개한 매화꽃이 장관을 이룬다.
눈으로 듣고 귀로 보는 '꽃들의 합창'이 마치 현실마저 잊게 한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개화사상이 싹트고, 역관과 의원 같은 기술직 중인계층과 하급관리로 구성된 여항문인閭巷文人들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그들은 재력과 학식을 바탕으로 서화를 수집하고 시회를 갖는 등 유행을 선도해갔다.
화가들은 중인계층의 기호에 맞춰 청나라에서 유입된 서양화법을 사용하여, 개성이 강한 이색적인 화풍으로 인기를 모았다.
그중 남종화풍을 독창적으로 구사한 장승업의 그림은 베스트셀러 bestseller였다.
하지만 장승업에 관한 기록은 적고, 그마저도 확실하지 않다.
언론인 장지연張志淵(1864~1921)이 쓴 ≪일사유사逸士遺事≫(1922)에는 "장승업은 일찍 부모를 잃고 의지할 곳이 없어 떠돌다가 수표교에 있는 이응헌의 집에 머슴으로 들어간다. 일자무식이었으나 천성이 총명하여 주인집 아이들의 글 읽는 것을 들으며 글을 익혔다. 역관인 이응헌은 명화 수집가여서 중국 대가의 명작과 진귀한 물품을 많이 소장하고 있었다. 이를 먼발치서 본 장승업은 명작을 그대로 모방하기에 이른다. 장승업의 그림을 본 이응헌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후원자가 되었다. 장승업의 화명畵名이 세상에 알려지자 사방에서 그림을 청하는 이가 줄을 이었고, 수레와 말이 골목을 메웠다"고 전한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1864~1953)은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1928)에 "장승업을 '신운神韻이 핑핑 도는' 그림의 대가로, 기억력이 뛰어나서 한 번 본 그림은 세월이 지나도 그대로 재현하는 재능이 뛰어난 화가"라고 평했다.
그런가 하면 미술평론가 근원近園 김용준金瑢俊(1904~1967)은 ≪근원수필近園隨筆≫(1948)에서 "장승업의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는 근대 서화계에 유행시킨 화목畵目(그림의 종류)으로, 장식적이며 환상적이어서 서화 애호가들에게 호사취미豪奢趣味(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취미)로 확산시켰다"고 했다.
장승업이 그림으로 개화기를 이끌 수 있던 것은 역관들의 후원 덕분이었다.
역관의 세거지世居地(한 고장에서 대대로 사는 곳)인 광통교 주변이 장승업의 활동 무대였던 만큼 장승업은 역관집안 출신인 혜산蕙山 유숙劉淑(1827~1872)에게 그림을 배웠다고 전해진다.
유숙은 산수, 인물, 화조, 풍속화에 능한 남종화풍의 화가이다.
장승업의 초기작품에는 유숙의 영향이 나타나지만 이후 중국 원대元代의 그림 방작倣作(모방작模倣作: 다른 작품을 본떠서 그린 작품)을 통해 기교적이고 신운이 감도는 '오원 형식'의 그림을 형성하였다.
청나라 말기, 상해 지역에서 유행한 서화문화를 적극 수용하기도 한 그는 산수, 인물, 신선도, 영모화조翎毛花鳥(날짐승, 길짐승, 꽃, 새), 기명절지(정물靜物: 그릇, 꽃가지, 과일, 채소, 문방구 따위) 등에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
<홍백매도>는 10폭 병풍이다.
고목인 매실나무의 줄기가 화면을 압도한다.
화면에 꽉 차게 클로즈업 close-up(돋찍기)시킨 듯한 나무줄기와 가지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포즈 pose(자세)를 잡았다.
거미줄처럼 뻗은 가지마다 희고 붉은 매화꽃이 점점이 피고 진다.
고목은 영욕의 세월을 보낸 뒤 새로 나오는 가지에 자리를 내준다.
옅은 먹색을 입은 나무는 화면의 배경으로 자리를 잡는다.
짙은 먹으로 그린 앞쪽의 가지는 휘어져 큰 줄기를 감싸 안았다.
먹의 농담濃淡(짙음과 옅은)을 달리한, 크고 작은 나뭇가지가 공간에 변화를 준다.
장승업은 주색酒色을 밝히고 격식에 얽매이지 않았던 자유분방한 성격이었다.
그런 그가 고종의 눈에 띄어 화사로 임명되었지만 궁궐은 감옥과 다를 바 없었다.
시간과 장소에 얽매여 하는 작업은 엄청난 스트레스 stress였다.
장승업은 궁궐을 빠져나왔다가 다시 잡혀서 붓을 들기를 거듭했다.
결국은 소리 소문 없이 자취를 감추었다.
장승업의 화풍은 제자 심전心田 안중식安中植(1861~1929)과 소림小琳 조석진趙錫晉(1853~1920)에게 계승되어 근대화단의 맥을 이었다.
<합창>은 베토벤의 말년작으로, 연주자들의 화음이 조화를 이룬 걸작이다.
그림에서도 조화는 필수다.
각 요소는 다른 요소와의 관계 속에서 각자의 톤 tone(색조色調)을 전달한다.
<홍백매도>도 줄기와 가지, 가지와 꽃, 형상과 여백 등이 조화롭게 화합하는 가운데 마침내 거대한 합창을 완성했다.
화합은 서로의 빈 곳을 채워주며 함께하는 상생의 길이다.
우리는 그 길을 따라 서로에게 빛이 되는 꽃이었으면 좋겠다.
※출처
1. 김남희 지음, '옛 그림에 기대다', 2019. 계명대학교 출판부
2. 구글 관련 자료
2025. 3. 24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왁스먼과 결핵약 스트렙토마이신 (0) | 2025.03.28 |
---|---|
창조는 복제에서 시작된다 '모방' (5) | 2025.03.25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5부 근대 초 유럽 - 16장 17세기의 새로운 과학 1: 서론 및 과학혁명의 지적 기원 (2) | 2025.03.22 |
의학의 역사는 플레밍의 페니실린 발견 전후로 나뉜다 (0) | 2025.03.21 |
목숨을 건 음침한 도박 '도굴' (2)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