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겸재 정선 "통천문암도" 본문

글과 그림

겸재 정선 "통천문암도"

새샘 2014. 5. 9. 14:38

" 한량없이 크나큰 물, 바다 그 위대한 세계"

 

정선, 통천문암도通川門岩圖, 조선18세기 중반, 종이에 수묵, 131.6 x53.4cm, 간송미술관 (출처-출처자료)

 

바다가 덮쳐 온다.

끝없이 넓고 깊은 동해 바다, 그 푸르고 차가운 물결이 천군만마처럼 천둥 소리를 앞세우며 밀려 들어온다.

인간이 대체 무엇이랴?

세상에 그 무엇이 이보다 더 장할 수 있으랴?

바다 앞에 서면 누구라도 왜소해진다.

 

그러나 맹자(BC 372~289)는 말했다.

 

"공자(BC 551~479)께서 동산에 올라 노나라를 작게 여기셨고, 태산에 올라서는 천하를 작다고 여기셨다. 그러므로 바다를 본 사람은 물에 대하여 말하기를 어려워하고 성인의 문하에서 노닐던 사람은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물을 보는 데 방법이 있으니, 그것은 반드시 물결부터 보는 것이다."

 

강원도 통천通川 넓은 해변가에서 깎아지른 두 절벽이 마주 보고 솟구친 절경이 있다.

사람이 그 사이를 왕래하면 마치 문처럼 보여 문암門岩이라고 하는데, 지금 긴 지팡이를 끌며 한가로운 유람길에 나선 늙은 선비가 막 지나치고 있다.

선비는 고개를 돌려 집채 같은 파도가 일렁이며 쏟아 내는 물보라를 돌아본다.

그런데 저 웅대한 파도를 보라!

뒤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고 오히려 더 짙어지고 있다.

실경이 이럴 수가 있는가?

그러나 누구라도 저 바닷가에 직접 서면 바다의 광대함에 압도되어 바로 이렇게 느낄 수밖에 없다.

저 한량없이 크나큰 물, 그 위대한 세계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맹자는 또 말했다.

 

"해와 달의 밝은 빛은 작은 틈새도 빼놓지 않고 비춘다. 흐르는 물 역시 작은 웅덩이를 하나하나 다 채우지 않고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군자가 올바른 도에 뜻을 둔 경우도 마찬가지다. 소소한 몸가짐 하나부터 찬찬히 바루어 나가지 않고서는 이르지 못한다."

 

그림 속의 선비는 이 글을 익히 외웠을 것이다.

물론 겸재 정선, 당대 최고의 주역의 대가였던 화가 자신도 그랬으리라.
그랬기에 작가는 저토록 엄청나게 그려 냈다.

덕을 하나하나 완성해 가지 않으면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듯이, 온갖 역경을 거쳐 대양을 이룬 드넓은 바다의 위용을 그린 것이다.

 

정선은 잔 붓을 여러 자루 한데 묶어 휩쓸듯이 호탕하게 파란波瀾(물결)을 그렸다.

굼실굼실 넘실대는 장쾌한 바다의 혼을 한꺼번에 지면 위에 쏟아 내었다.

그 장대한 파동은 왼쪽 위 화제 바로 아래 흐르는 구름에까지 영향을 주어, 부드럽게 굽이치는 중첩된 S자 곡선으로 그려졌다.

해천일색海天一色.

온 우주가 한 흐름이다.

물가에 우뚝 선 암벽은 억겁 세월 속에 위쪽에 뻥 뚫린 구멍이 나 있고, 그 속에 천년 노송이 뿌리박고 서서 해풍에 머리를 씻긴다.

바위를 보니 굳센 뜻이 골수에 들었지만 표면은 오랜 세월에 눅어 오히려 부드럽다.

다시 바다가 덮쳐 온다. 

 

※이 글은 오주석이 지은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2009, 월간미술)에 실린 글을 옮긴 것이다.

 

2014. 5. 9 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