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102세 철학자 김형석이 말하는 건강장수 비결 본문
2022년 3월 12일 포털사이트에 오른 중앙일보 기사는 102세 철학자 김형석이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진 이유에 대한 인터뷰였는데, 이 인터뷰의 마지막 부분이었던 건강장수와 인생에 대한 질의응답만을 간추려 올린다.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시는데 건강 비결이 궁금합니다.
아침 6시쯤 일어나서 몸을 풀어 줍니다.
식사는 늘 똑 같아요.
우유 반 잔에 호박죽 반 잔, 계란 반숙에 샐러드, 그리고 토스트나 찐 감자를 먹어요.
점심이나 저녁은 생선이나 고기 위주로 먹고요.
차로 이동할 때는 무조건 잡니다.
어려서부터 과로나 무리는 안 해요.
100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90에서 멈춥니다.
신체적으로 건강해서 오래 사는 게 아니라 무리하지 않는 사람이 오래 사는 것 같아요.
-무리하지 않으면 건강하게 살 수 있을까요?
항상 공부해야 합니다.
일과 공부를 안 하면 몸도 마음도 빨리 늙어요.
주변에 100세까지 산 사람 7명이 있는데 공통점이 있더군요.
첫째, 욕심이 없어요.
둘째, 남 욕을 하지 않아요. 사람은 정서적으로 늙습니다.
내 친구인 안병욱(1920~2013) 교수는 '젊게 사는 방법은 공부·여행·연애'라고 하더라고요.
-인생의 황금기는 언제일까요?
60~75세까지가 가장 좋았다는 결론에 이르렀어요.
내가 나를 믿고 따를 수 있고, 또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나이가 되니까요.
75세까지 성장하면 그다음에는 어떻게 유지하느냐가 문제예요.
살아보니 90세까지는 늙는 게 아니에요.
90세까지는 누구나 일할 수 있어요.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행복은 인간답게 사는 노력과 과정, 그리고 성취에서 주어지는 것이라고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나에게 주어진 책임과 사회적 책임을 다 맡아서, 내 인격을 갖추게 되면 행복은 자연히 따라오니까 누구든지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어요.
사랑 있는 곳에 행복이 함께한다는 사실은 경험을 통해 깨달았어요.
또 하나는 감사하는 마음이 낳는 행복도 있지요.
-성공과 행복 중 한 가지를 선택하셔야 한다면..
사회적으로 윗자리에 가느냐 못 가느냐가 결코 성공의 기준은 아닙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고, 그 일에 최선을 다할 수 있다면 그게 행복이에요.
한 가지 더, 너무 빨리 성공하려고 하지 말라는 거예요.
능력이 완성되지 못했는데 높은 자리에 올라가면 결국 떨어지고 말거든요.
-인생에서 남는 건 무엇일까요?
100년 이상 살아보니 내가 나를 위해서 한 일은 남는 게 없다는 결론을 얻었어요.
이웃과 더불어 사랑을 나누는 사람, 사회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기 위해 애쓴 사람, 정의가 무너지는 사회에서 정의롭게 살려고 노력한 사람은 인생의 마지막에도 남는 게 있어요.
내 즐거움, 행복이라는 건 내가 만들어서 차지하는 게 아니라 남이 만들어서 주는 거예요.
내 인생은 나를 위해 있는 게 아니고 보답하기 위해, 주기 위해서 있는 것 같아요.
나도 그렇게 살아 보려고 친구들과 노력했는데 여러분도 이웃들과 더불어 그런 뜻을 가지고 새 출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출처: 중앙일보 2022.03.12 기사, [SUNDAY 인터뷰] 102세 철학자 "국민, 왜 尹 뽑았나"···'102새 철학자' 김형석 딱 두가지 꼽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4807
2022. 3. 12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송유수관도인 이인문 "강산무진도" (0) | 2022.03.15 |
---|---|
청일전쟁 때 조선인 사망자가 가장 많았다! (0) | 2022.03.14 |
1990년대 서울에서 발굴된 유적들 6: 석촌동 주변 유적, 고척동 계남근린공원 테니스장 부지 유적 (0) | 2022.03.11 |
피타고라스 (0) | 2022.03.11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1부 고대 근동 - 2장 고대 근동의 신과 제국(서기전 1700~500년) 3: 이집트 신왕국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