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국 옐로우스톤
- 폴란드
- 알래스카 크루즈
- 알래스카 내륙
- 영국 스코틀랜트
- ㅓ
- 울릉도
- 영국
- 덴마크
- 헝가리
- 1ㄴ
- 하와이
- 알래스카
- 미국 플로리다
- 중국 베이징
- 노르웨이
- 미국 하와이
- 영국 스코틀랜드
- 미얀마
- 스웨덴
- 오스트리아
- 남인도
- 미국 요세미티
- 러시아
- 미국 알래스카
- 체코
- 프랑스
- 일본 규슈
- 독일
- 싱가포르
- Today
- Total
목록2024/08 (19)
새샘(淸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EqAE/btsI5QMWvcc/kGRZtYcWeqd4fFKkIITyok/img.jpg)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인 갈잎 큰키나무 느릅나무는 한반도가 위치한 북반구 온대 지역에 국한되어 자라며, 세계적으로 약 20~30개의 종이 있다.학명은 울무스 다비디아나 Ulmus davidiana, 영어는 Wilson's elm(윌슨느릅나무) 또는 Japanese elm(일본느릅나무), 중국어 한자는 유楡(느릅나무 '유')이다. 흉년에는 대용식이 되었고, 뿌리는 약으로 쓴다.목재는 고급 건축재로 이용된다. ○생물학적 특성 느릅나무는 우리나라 온대림(갈잎넓은잎나무숲) 대표종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느릅나무속에 속하는 주요 종에는 참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난티나무, 비술나무 등이 있다.참느릅나무는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인 반면 떡느릅나무나 난티나무는 더 추운 곳에 분포한다.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LH8H/btsI6e0VaLY/SkL6ays2Nd2JS0pRg90JK1/img.jpg)
세월이 무심한 것인지 역사가 비정한 것인지 시간이 오래면 오랠수록 우리가 기억하는 인물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몇몇에 지나지 않는다.정조·순조 연간이라면 100년 남짓 되는 세월인데 그 당시 활동했던 화가로 우리에게 알려진 이는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긍제 김득신 등 열댓 명 정도밖에 안 된다. 그러나 1800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문인화가는 별도로 치더라도 예조의 도화서에는 언제나 20명의 화원이 근무하고 있었고, 규장각에 소속된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도화서에서 왕실로 임시로 차출되는 화원)도 30명이 있었다.'차비'란 '임시'란 뜻이고 '대령'이란 명령을 기다린다는 뜻이니 요즘으로 치면 일종의 임시직 화원인 것이다.한 세대에 최소한 50명의 화원이 있었다는 얘기다. 그 많은 화가의 삶과 예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ErTwq/btsI3iQ7m5k/JlZDopwmQrt7AjrlAUP7C1/img.png)
12장 서론 근대의 '르네상스 Renaissance' 개념은 1350~1550년에 이탈리아 저술가들이 처음으로 사용했다.그들에 따르면 로마 시대와 그들 자신의 시대에는 변화도 없고 단조로운 1,000년 동안의 어둠의 시대가 끼어 있다는 것이다.이 암흑시대 동안 예술과 문학의 뮤즈 muse(학예學藝의 신神)들은 야만과 무지에 쫓겨나 유럽을 떠났다.그러나 거의 기적적으로 14세기에 들어 뮤즈들은 갑작스럽게 다시 돌아왔고 이탈리아인들은 위대한 '문예의 부흥'을 이루기 위해 뮤즈들과 더불어 기꺼이 협력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이 제시된 이래 역사가들은 중세와 근대 사이에 르네상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실제로 18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대다수 학자들은, 르네상스가 단지 학문과 문화의 역사에서 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shH2/btsI3YjX7GU/WB8TNemh9FjEAcliWuFOaK/img.jpg)
청동기의 세 가지 의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용도는 바로 제사였다.이는 고대에 무기보다 더 강력한 기능이었다. 고려시대의 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가장 먼저 청동 거울을 떠올릴 것이다. 그중에서도 다뉴세문경多鈕細紋鏡(잔무늬거울)이라는 유물을 본 적이 있는가? 아름답고 세밀한 잔무늬가 특징인 이 거울은 세형동검細形銅劍과 함께 약 2,300년 전부터 남한 전역에서 만들기 시작했다. 가장 유명한 청동 거울은 전남 영암에서 출토된 정문경精文鏡으로 국보 제141호로 지정될 정도로 보관 상태가 뛰어나 당시의 기술을 잘 보여준다. 최근에는 청주 오송역 근처에서도 청동 거울(위 사진)이 발견되었다.청동 거울은 가히 한국이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청동기다. 이 거울의 생김새를 자세히 살펴보자. 가운데 부분을 확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Om61/btsI2SjL5oT/kBMgkNmL651QFJAdL4iKlK/img.jpg)
기술력의 상징인 청동기는 고조선 당시 강한 군사력을 상징하는 위엄 있는 무기이기도 했다.맨위 사진은 전사의 무덤에서 나온 껴묻거리, 바로 위 사진은 전차를 탔던 전사를 복원한 모습이다.보통 전차라고 하면 영화 Ben-Hur>나 Gladiator>에 묘사된 스펙터클한 영화 spectacle moive(규모가 크고 볼거리가 많은 영화) 장면을 떠올린다.나아가 50대 이상이라면 에 등장한 원형경기장이 가장 먼저 생각날 것이다.3시간 30분의 러닝 타임 running time(상영 시간)에서 전차신은 20분에 불과하지만, 관객에게 이 장면은 몇십 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다.그만큼 불을 뿜는 듯한 전차의 모습은 사람들에게 강렬하게 남아 있다.하물며 3,000년 전 사람들에게 전차가 얼마나 강력한 존재였는지는 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LXoV/btsI2SKFHDr/5v88exwmFgylSCqKXgxCwK/img.png)
2011년 대전대학교 목요문화마당은 대전에서 활동하고 있는 5인조 -보컬, 기타2, 베이스, 드럼- 남성 하드록 hard rock 인디밴드 '블리츠 BLiTz'가 들려줬던 > 라이브 동영상이다. 2024. 8. 13 새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yw13/btsI0KHpJcn/k1mUVUqinwouTjDvMtIE6K/img.jpg)
세계사에서 거대한 하나의 문명 청동기시대를 이루었던 청동기는 단순히 기능적인 의미만 담고 있지 않다.청동기에 포함된 의미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기술력으로의 상징, 두 번째가 무기로의 능력,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제사용품으로서의 의미다. 고조선의 역사를 스스로 기술한 자료은 없으며, 현재 고조선에 관한 기록은 중국에서 발견된 몇 가지 사료에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이것만으로는 당시 사회상을 모호하게 뭉뚱그려 추측할 수밖에 없다.이런 상황에서 청동기는 당시 사회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사적 상징물이다. 그러면 청동기의 세 가지 의미를 상세히 살펴보자.먼저 기술력이다. 청동기는 고급 기술을 습득한 장인만이 주조할 수 있었다.이러한 청동기 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NqpU/btsISpcAesq/8R1VSg67O0MQaOBKHlVXnK/img.jpg)
청와대 위치 청와대 관람안내도: 영빈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자리한 청와대靑瓦臺 Blue House는 조선 고종 때인 1869년부터 경무대景武臺 자리였다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제는 여기에 조선 총독 관저를 지어 관사로 사용했고, 1945년 광복 후에는 미군정사령관 관저로 사용되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정부에 인계되었다. 이때부터 이승만 초대 대통령 내외가 이화장에서 경무대로 거처를 옮기면서 건물 1층을 집무실, 2층을 대통령 관저로 사용하였다. 본관을 비롯하여 이곳은 옛 지명에 따라 경무대로 불렸으며, 대한민국 구정의 중심 공간이 되었다. 1960년 취임한 윤보선 대통령은 1961년부터 본관 건물 지붕이 청기와로 덮여 있다고 하여 경무대란 이름을 지금의 청와대로 바꾸었다. 196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WM8m/btsIUyyMYrG/IT3rajVV36P6F8JxgaLdK0/img.jpg)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늘푸른 떨기나무인 눈잣나무는 설악산 등 높은 산의 극한 상황에서 거의 누워 자라는 잣나무이다.학명은 피누스 푸밀라 Pinus pumila, 영어는 dwart Siberian pine(난쟁이 시베리아소나무), 중국어 한자는 천리송千里松, 만년송萬年松, 언송偃松(누울 언偃) 등이다.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로 차츰 사라져가고 있어 보호가 시급하다. 눈잣나무는 우리나라 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 부근에서만 볼 수 있고, 극렬한 환경에서 주인 노릇 하며 천신만고 살아가고 있고, 북한의 금강산·묘향산·장백산 등 높은 산꼭대기에만 남아 있다는 신기한 사실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다. ○다양한 이름과 특징 우리나라 잣나무 종류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울릉도 섬잣나무는 씨에 발달한 날개가 달려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