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1 + 1 = 3의 연금술 본문
이 수식은 재능들이 하나로 결합되면 그것들의 단순한 합을 능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또, 음과 양, 큰 것과 작은 것, 높은 것과 낮은 것 등이 융합하면 둘 중의 어느 것과도 다르면서 둘을 넘어서는 새로운 것이 생겨나게 됨을 뜻한다.
1 + 1 = 3
이 방정식에는 우리 후손들은 반드시 우리보다 나으리라는 믿음, 즉 인류의 미래에 대한 믿음이 담겨 있다.
내일의 인류는 분명히 오늘의 인류보다 나을 것이다.
나는 그것을 믿고 그러기를 바란다.
1 + 1 = 3
이 방정식은 또한 집단과 사회적 단결이 우리의 동물적 지위를 승화시키는 가장 훌륭한 수단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런데 1 + 1 = 3은 수학적으로 거짓이기 때문에,
그것을 철학적인 원리로 받아들이기가 거북하다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한번 생각을 해 보자. 방정식
에서 우변의 -ab와 +ba를 상쇄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양변을 (a - b)로 나누면
좌변을 약분하면
a=b=1로 놓으면,
즉
위 분수식에서 분자와 분모가 같으면 그 값은 1이다.
따라서 위 분수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2 = 1
여기에 양변에 1을 더하면
3 = 2
가 되고, 우변의 2를 1 + 1로 대체하면
3 = 1 + 1
이 된다.
단 이 증명은 0과 관련된 금기를 무시함으로써 가능해진 수의 연금술이다.
방정식
에서 양변을 (a - b)로 나누는 경우에는 빠뜨릴 수 없는 전제가 있다.
a - b ≠ 0, 즉 a와 b가 같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수 체계에서 0으로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a = b =1로 놓는 것은 그 전제를 무시한 것이다.
※출처: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열린책들, 2011)
2021. 3. 24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 있기 (0) | 2021.04.01 |
---|---|
한반도 벼농사의 일본 전파설을 무참하게 깨뜨려버린 여주 흔암리 유적 곡물 (0) | 2021.03.26 |
나옹 이정 "산수화첩" "사시팔경도" (0) | 2021.03.24 |
다보스 2021 의제와 과학기술의 미래 (0) | 2021.03.22 |
미美의 변천사 (0) | 202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