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샘(淸泉)
다산 정약용 "매조도" 본문
"저 흐트러짐 없는 글씨에서 그분의 인품을 본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그림에 대한 식견은 있었지만 거기에 마음을 둔 바는 없었다.
그러나 그림이라는 것이 화가의 전유물이 아닌지라 다산은 자신의 마음에 이끌려 몇 폭의 그림을 그렸다.
그중 다산이 강진 유배지에서 제작한 <매조도梅鳥圖> 시화축은 다산 그림과 글씨의 백미이다.
이 한 폭에 유배객 다산의 외로운 삶이 다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13년 7월 14일, 그러니까 다산 나이 52세, 강진에 유배된 지 13년째 되는 해에 동암東菴에서 그림을 그리고 시를 썼다 했다.
그림을 보면 매화 가지에 앉아 있는 한 쌍의 새가 조용한 필치로 단정하게 그려져 있다.
붓의 쓰임새가 단조롭고 먹빛과 채색의 변화도 구사되지 않았건만 그림에는 애잔함이 감돈다.
여기에 덧붙인 시에는 처연한 고독감이 서려 있다.
"파르르 새가 날아 내 뜰 매화에 앉네 (편편비조翩翩飛鳥 식아정매息我庭梅)
향기 사뭇 진하여 홀연히 찾아왔네 (유열기방有烈其芳 혜연기래惠然其來)
이제 여기 머물며 너의 집으로 삼으렴 (원지원서爰止爰棲 낙이가실樂爾家室)
만발한 꽃인지라 그 열매도 많단다 (화지기영華之旣榮 유분기실有賁其實)"
유배지에 홀로 사는 외로움을 달래고자 날아든 새에게조차 함께 살자고 조르는 다산의 심사를 알 만도 한데 글씨는 단정하면서 빠르게 흘려 써서 애절한 마음이 절절이 흐르는 것 같다.
시화축 끝에는 자신이 이 축을 만들게 된 사연을 작은 글씨로 써넣었는데 그 내용은 더욱 쓸쓸하다.
"내가 강진에서 귀양살이한 지 몇 년 됐을 때 부인 홍씨가 (시집올 때 가져온) 폐백 치마 여섯 폭을 부쳐왔는데, 이제 세월이 오래되어 붉은 빛이 가셨기에 가위로 잘라서 네 첩을 만들어 두 아들에게 물려주고 그 나머지로 이 족자를 만들어 딸아이에게 준다.
(여적거강진지월수년余謫居康津之越數年 홍부인기폐군육폭洪夫人寄幣裙六幅
세구홍투歲久紅渝 전지위사첩剪之爲四帖 이유이자以遺二子 용기여用其餘 위소장爲小障 이유여아以遺女兒"
누구들 이 글을 읽고 가슴이 뭉클해지지 않겠는가.
<매조도> 시화축을 보고 있노라면 예술이란 절절한 감정에 근거할 때 제빛을 내고, 그 감정이 깊고 오랜 것일수록 감동이 크다고 말하게 된다.
다산 정약용의 이런 고독한 귀양살이를 생각할 때 그의 18년 귀양살이에는 비록 '강요된'이란 단서를 붙인다 해도 감히 '안식년'이란 단어는 쓸 수 없다고 생각한다.
※출처
1. 유홍준 지음, '명작 순례 - 옛 그림과 글씨를 보는 눈', (주)눌와, 2013
2.구글 관련 자료
2025. 1. 4 새샘
'글과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맛이 시큼해진 이유 - 파스퇴르의 등장 (4) | 2025.01.02 |
---|---|
인류의 DNA에 새겨진 방랑 본능 (2) | 2024.12.28 |
그들은 왜 유물을 위조했는가 (3) | 2024.12.27 |
코핀과 스테이시의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 4부 중세에서 근대로 - 14장 종교전쟁과 국가 건설(1540~1660) 3: 에스파냐, 프랑스, 잉글랜드의 서로 다른 경로(1600~1660) (3) | 2024.12.26 |
숭례문 현판 (1)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