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본 규슈
- ㅓ
- 영국
- 영국 스코틀랜트
- 미국 플로리다
- 덴마크
- 울릉도
- 스웨덴
- 체코
- 독일
- 영국 스코틀랜드
- 알래스카 내륙
- 프랑스
- 하와이
- 알래스카 크루즈
- 1ㄴ
- 미얀마
- 중국 베이징
- 미국 알래스카
- 미국 옐로우스톤
- 오스트리아
- 노르웨이
- 미국 요세미티
- 남인도
- 러시아
- 헝가리
- 폴란드
- 싱가포르
- 알래스카
- 미국 하와이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363)
새샘(淸泉)

인간은 미생물과의 싸움을 위한 무기들을 차근차근 만들어왔다.첫 번째가 백신 vaccine이다.1796년 에드워드 제너 Edward Jenner가 최초로 천연두 백신인 우두접종을 성공시키면서 같은 원리를 이용해 광견병 백신(1884), 결핵 백신인 BCG(1909), 디프테리아 diphtheria 백신(1921), 파상풍 백신(1924) 등이 개발되었다.두 번째는 소독 disinfection이다.조셉 리스터 Joseph Lister의 공헌으로 소독법이 정착되어 수술 부위나 상처가 세균에 의해 2차 감염이 되지 않도록 했다.그러나 백신과 소독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이미 몸 안에 들어온 병원균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라는 점이었다. 1922년 영국 세균학자 알렉산터 플레밍 Alexander Fleming(18..

꽃턱과 꽃대가 주머니처럼 비대해지면서 작은 꽃들이 그 안에 들어가 꽃이 보이지 않아서 무화과無花果란 이름이 붙었다.지중해 연안이 고향이며 성경에도 여러 번 등장한다.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인 뽕나무는 외국에서 들여온 나무다.겨울이 잎이 떨어지는데, 추위에 비교적 약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남, 경남 등의 바닷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그리스 Greece·이란 Iran 등지에서는 오래전부터 무화과나무를 심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으로 들여온 것은 13세기 무렵으로 추정된다.따라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그보다 훨씬 뒤이며, 나무 크기로 보아 근래에 심은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본 가장 큰 무화과나무는 울릉도에 있는 것이었다.가슴높이 줄기지름이 30센티미터가 훨씬 넘었다.다..

여행로: 비내섬-충주댐-석종사-수주팔봉 출렁다리·칼바위-탄금호 국제조정경기장·중앙탑사적공원·충주탑평리7층석탑 비내섬에서 출발하여 남동쪽의 석종사로 향하는 도중 하류로 물을 방류하는 충주댐 수문을 조망할 수 있는 휴게소에 잠시 들린다.길이 464미터, 높이 97.5미터로 1985년에 완공된 충주 다목적댐은 한강에서는 소양강댐에 이어 두 번째이고 남한강에서 가장 많은 저수용량을 자랑한다.그리고 충주댐 하류에는 방류수 때문에 생길 수 홍수를 방지하는 조정지댐도 있다.충주댐으로 인해 수몰된 상류의 충주호는 호반 관광지로 변모했다. 인터넷에서 찾은 충주댐 수문에서 물이 방류되는 광경(출처-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6%A9%EC%A3%BC%EB%8C%90). 충주시 직..

고고학과 유물에 대해 말하다 보면 도굴盜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오래된 문화재나 보물은 비싼 값에 유통될 수 있기 때문에 도굴꾼들의 단골 표적이 되곤 한다.보존·연구되어야 하는 문화유산들이 단지 경제적 이익에 눈먼 사람들에 의해 무자비하게 파괴되고 약탈되는 상황은 고고학자들에게 악몽과도 같다. 한편 도굴은 여러 매체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다루어지기도 한다.고대의 유물을 찾아 떠나는 모험 이야기는 (그 행위의 타당성은 논외로 친다면) 스펙터클한 spectacle(규모가 크고 볼거리가 많은) 재미를 선사하기 때문이다.가령, 할리우드 Hollywood 어드벤처 adventure(모험) 영화 Indiana Jones>가 대표적이다.인디아나 존스는 고고학자로 나오지만 정작 고고학자들은 가장 싫어하는 캐릭터 ch..

2009년 대전대 목요문화마당에서 열린 '대륙을 깨우는 소리, 중국 얼후 연주의 대가'라 불리는 지아펭팡 Jia Peng Fang의 대전대 콘서트에서 들려준 얼후 연주 라이브 동영상.얼후는 줄(현絃)이 2개 달린 현악기로서 한자로 '이호二胡'라고 쓴다. 2009년 발표된 이 곡은 자애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달빛(월광月光) Moonlight'으로 표현한 곡으로 지아펭팡의 최대 히트곡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곡으로 쓰이기도 했다. 2025. 3. 14 새샘

"국가의 권위와 왕가의 존엄은 여기서 나온다" 조선왕조는 기록 문화에서 세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나라였다.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의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것이 이를 웅변으로 말해준다.그리고 이에 못지않은 또 하나의 기록 유산이자 뛰어난 공예품이 있는데 바로 어보御寶이다. 어보는 왕실에서 제작한 의례용 도장이다.예를 들어 왕세자로 책봉되면 '왕세자인王世子印', 왕비로 받아들여지면 '왕비지보王妃之寶'라는 도장을 만들어주었다.또 왕과 왕비의 덕을 기리는 존호尊號가 내려지거나 돌아가신 뒤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를 올리게 되면 그 공덕을 칭송하는 글을 새긴 어책御冊을 함께 제작하여 바쳤다.왕과 왕비가 죽으면 어보를 종묘의..
1713년의 위트레흐트 조약 Treaty of Utrecht은 식민 세력 사이의 경쟁에 새 시대를 열었다.앞서 언급했듯이 위트레흐트 조약의 가장 큰 패배자는 국경에 대한 안전만 보장받은 네덜란드 Netherlands와 에스파냐령 식민지에서 노예 시장에 대한 권리를 영국에게 넘겨주어야만 했던 에스파냐 España였다.승자는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 영토의 커다란 땅 덩어리를 획득한 영국 England과 이보다는 덜하지만 북아메리카 내륙 지역인 퀘벡 Quebec 지방의 케이프브레튼 섬 Cape Breton Island을 유지하고 인도 India에 교두보를 확보한 프랑스 France였다.18세기는 유럽 경제를 아메리카와 아시아에 묶어주었던 상업적 팽창의 지배권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끊임없는 투쟁으로 점철..

칠레 여행로: 볼리비아·칠레 국경-산 페드로 데 아타카마-칼라마 공항-(비행기)-산티아고-비냐 델마르-발파라이소-산티아고-(비행기)-푼타 아레나스 공항-푸에르토 나탈레스-밀로돈 동굴-토레스 델 파인 국립공원-칠레·아르헨티나 국경 2/6 토레스 델 파인 국립공원 여행로: 사르미엔토 호수 조망점-과나코 서식지-아마르가 석호-국립공원 안내소-노르덴셸드 호수 조망점-페호에 호수-페호에 호수 캠핑장-웨버 다리 조망점-핑고 강 다리-그레이 호수 조망점-카바냐스 델 파인 호텔 토레스 델 파인 국립공원 입구인 국립공원 안내소 도착.이 안내소 앞에 서 있는 토레스 델 파인 국립공원 안내소 푯말에는 아마르가 석호 안내소 Porteria(Checkpoint) Laguna Amarga란 말도 같이 들어 있을 뿐만아니라 ..

독일 의학자 게르하르트 도마크 Gerhard Domagk(1895~1964)는 제1차 세계대전 중 위생병으로 복무하면서 수많은 동료 군인들이 총탄이 아닌 상처 감염으로 생명을 잃는 것을 목격하고 "언젠가 감염성 질환을 반드시 해결하리라!"고 다짐했다고 한다.도마크가 사회로 복귀했던 1920년대는 다양한 화학염료를 이용해 마침내 매독 치료제 '살바르산 Salvarsan'을 합성한 파울 에를리히 Paul Ehrlich(1854~1915)를 본보기(롤모델 Roll Model)로 삼아 전 세계의 많은 연구소들이 화학염료를 이용한 세균 감염 치료제를 연구하던 시기였다.도마크 역시 한 연구소에서 새로 만든 화학염료를 다양한 세균에 감염된 쥐에게 주사해 염료들이 의학적인 치료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물이 ..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매일 새 꽃이 핀다.애국가 가사에 '무궁화 삼천리'가 들어가면서 나라꽃(국화國花)으로 자리매김했다.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인 나라꽃 무궁화는 전국에서 널리 심고 있다. 무궁화無窮花는 '꽃이 끝없이 핀다'는 뜻이 들어 있다. 학명은 히비스쿠스 시리아쿠스 Hibiscus syriacus, 영어는 Mugunghwa 또는 Rose of sharon(샤론의 장미), 중국어 한자는 근謹이나 목근木槿으로 쓴다. ○우리나라 꽃 무궁화 우리나라 꽃 무궁화.애국가에 등장하고 있는 꽃나무.우리 국민은 무궁화를 무척 좋아하며, 어떤 면에서는 존중하기까지 한다.이는 우리 민족이 얼마나 나라 사랑을 강조하는지 잘 보여준다. 고대 중국 지리책 ≪산해경山海經≫에는 "군자의 나라, 의관을..